LG전자 기업분석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G전자 기업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외 금융센터를 포함해 전사차원에서 전 세계적 경영활동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재무 위험을 선제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 중이다.
6. LG 전자의 SWOT
강점 : 해외에서 높아지는 브랜드 파워
약점 : 높은 LCD 분야의 비중, 취약한 소프트웨어 분야
기회 : 전자산업에서의 LCD에 대한 수요 증가
위협 : 높은 경기 민감도와 짧은 제품 수명주기
7. 영업분석 결론
LG전자에 비해 삼성전자가 투자비용이 높다. 전자산업은 LG전자와 삼성전자에 의한 독과점상태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LG전자는 내추럴헤지에 주력한 환리스크
관리를 한다.
Ⅲ.재무분석
1.주가(최근 5년간의 분석)
1)LG전자
LG전자의 주가는 2008년 5월 164,181원의 최고가를 기록한다. 이후 스마트폰 시장에 뒤늦게 진출하면서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시기도 있으나 2011년 11월에는 52,381원의 최저치를 기록한다. 2012년 12월 10일 현재 LG전자의 주가는 74,800원이다.
2)삼성전자
삼성전자의 최저 주가는 2008년 10월 403,000원이었으나 스마트폰과 태블릿PC, 3D TV시장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 2012년 12월 10일 현재 1,506,000의 주가를 보이고 있으며 계속 상승하고 있다.
2.표준대차대조표
1)LG전자
2)삼성전자
LG전자와 삼성전자의 표준대차대조표를 살펴보면 부채와 자기자본 비율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는 삼성생명이나 삼성카드 같이 자금을 끌어올 수 있는 계열사들이 있어 자기자본의 비중이 높다. LG전자는 삼성전자에
비해 부채비율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3. 표준손익계산서
표준손익계산서를 보면 당기순이익에서 삼성전자의 수치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시장에 빨리 진입하였고 품질면에서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는 점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안전성지표
1)유동비율
2007
2008
2009
2010
2011
LG전자
0.63
0.76
0.92
0.87
0.92
삼성전자
1.53
1.51
1.64
1.45
1.46
두 기업다 안정적이다.
2)당좌비율
2007
2008
2009
2010
2011
LG전자
0.42
0.75
0.83
0.75
0.82
삼성전자
1.2
1.19
1.42
1.26
1.26
두 기업 모두 적절한 수치를 보이나 당좌비율 역시 자기자본의 차이로 인해 삼성
전자가 높은 수치를 보인다.
3)부채비율
2007
2008
2009
2010
2011
LG전자
98.8
106.2
112.3
131.4
130.5
삼성전자
26.5
24.7
28.7
34.0
32.1
LG전자의 부채비율이 높으며 두 기업 다 완만한 상승곡선을 보인다.
4)이자보상비율
2007
2008
2009
2010
2011
LG전자
4.74
11.42
14.99
-7.75
-1.37
삼성전자
124.25
82.73
51.12
40.17
38.34
하락하는 그래프를 보이는데 이는 영업이익이 ‘-’수치를 가지고 있는 것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5.수익성지표
1)매출순이익률
2007
2008
2009
2010
2011
LG전자
5.20
1.75
6.73
-2.17
-0.99
삼성전자
11.75
7.57
10.75
11.79
8.30
2008년에 두 기업 다 매출순이익률이 감소하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2010년에는 재미있게도 삼성전자는 상승하는 반면 엘지전자는 하락하는데 이는 엘지전자가 스마트폰 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6.회전율지표
1)매출채권 평균회수기간
2007
2008
2009
2010
2011
LG전자
11.25
13.09
35.72
62.57
68.62
삼성전자
10.47
12.18
19.07
31.98
43.19
스마트폰, 3D TV의 경우 나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매출채권 회수기간을 가지는데 이 때문에 2010~2011년에 큰 폭으로 수치가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재고기간
2007
2008
2009
2010
2011
LG전자
15.91
12.19
9.98
11.43
12.67
삼성전자
18.94
17.90
15.15
13.63
15.41
재고관리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LG전자가 재고관리를 더 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매입채무 상환기간
2007
2008
2009
2010
2011
LG전자
27.97
26.33
35.70
50.59
52.86
삼성전자
10.99
10.58
14.58
17.57
19.65
매출채권회수기간과 비슷한 그래프를 나타내는데 매입채무의 상환 역시 스마트폰과
3D TV의 영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7.ROE분해
1)현대적방법
영업 ROA를 보면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삼성전자와 엘지전자가 시장점유율과 판매는 많이 하고 있지만 총자산순이익률이 낮다는 것을 말해준다.
2)전통적방법
총자산순이익률은 엘지전자가 높고 자기자본순이익률은 삼성전자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재무분석 결론
LG전자는 삼성전자에 부채비율이 높기 때문에 부채 상환과 현금흐름, 유동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자기자본의 비중이 높아 유동비율과 당좌 비율이 LG전자보다 훨씬 안정적이며 자금 운용에 여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LG전자, 삼성전자과 같은 경우 생산에서부터 연구개발까지 모든 기업활동을 기업
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매출액에 비해 순이익률이 낮다. 미국기업인 애플의 경우 연구
개발과 같은 핵심 업무는 직접 수행하지만 생산과 부품 같은 경우 외부 업체를 통하기
때문에 순수익률이 높다.
산업 특성상 매출채권 회수기간과 매입채무 상환기간이 점점 더 오래 걸리는 편으로 변한다.
Ⅴ.결론
1.최종결론
전자산업은 성숙기산업에 속해있고 높은 판매비중을 차지하는 IT제품의 경우 필수재가 아니므로 경기민감도가 높다. LG전자는 내추럴 헤지에 주력한 리스크 관리를 하고 LG의 경우 LCD의 비중이 높은 반면 삼성의 경우 정보통신의 비중이 높다. 높은
자기자본을 보유하고 있는 삼성이 더욱 안정적인 것을 볼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