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두 왕국, 종말, 악마
3. 루터의 지지자들
4. 이랬다가 저랬다가, “악마다!”
5. 결론
2. 두 왕국, 종말, 악마
3. 루터의 지지자들
4. 이랬다가 저랬다가, “악마다!”
5. 결론
본문내용
의 권고”에서 루터는 마치 정교분리론자처럼 보인다. 세속 정부가 영적인 문제에 관여해서는 안됨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누가 악마인가’에 있다. 루터의 악마 선정은 지극히 정치적인 선택의 과정에서 일어난다. 루터는 자신을 지지하는 제후세력을 자신의 파트너로 정하고 자신과 제후세력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상이 등장할 때 마다 신경질적으로 ‘악마다. 악마가 나타났다!’고 외치고 있다. 자신의 공적 권리를 박탈하고 그 신변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는 교황권은 물론이고, 자신을 지지하며 그의 가르침에서 영향을 받아 사회의 변혁을 꾀한 기사계급과 농민계급 역시 그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가차 없이 악마로 낙인찍고 있다. 당시 독일의 각 사회 계층은 물고 물리는 착취와 억압의 관계에 놓여있었기 때문에 루터의 악마 주장은 더욱 정치적 “세력간계층간의 이해관계의 와중에 선 루터는 자신의 반대자를 논박하고, 중용을 지키는 자들로부터 지지를 얻어내고, 지지자들의 지지를 계속 확보하기 위하여 당시 새로이 나타나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이용하기도 하고, 자신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어느 계층편에 서야할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이것은 루터의 의지와 상관없이 그의 객관적사회적 입지조건이었다. 따라서 구원에 대한 가장 개인적인 의문과 시련에서 출발한 루터의 신학은 이같은 그의 사회적 입지조건 때문에 새로운 내용을 포함하여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나타난 것이 그의 정치사상이다,” 김병권, “농민전쟁과 루터 정치사상의 굴절,” 침례신학대학 석사학위논문 (1989), 30.
으로 보인다.
문제는 ‘누가 악마인가’에 있다. 루터의 악마 선정은 지극히 정치적인 선택의 과정에서 일어난다. 루터는 자신을 지지하는 제후세력을 자신의 파트너로 정하고 자신과 제후세력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상이 등장할 때 마다 신경질적으로 ‘악마다. 악마가 나타났다!’고 외치고 있다. 자신의 공적 권리를 박탈하고 그 신변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는 교황권은 물론이고, 자신을 지지하며 그의 가르침에서 영향을 받아 사회의 변혁을 꾀한 기사계급과 농민계급 역시 그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가차 없이 악마로 낙인찍고 있다. 당시 독일의 각 사회 계층은 물고 물리는 착취와 억압의 관계에 놓여있었기 때문에 루터의 악마 주장은 더욱 정치적 “세력간계층간의 이해관계의 와중에 선 루터는 자신의 반대자를 논박하고, 중용을 지키는 자들로부터 지지를 얻어내고, 지지자들의 지지를 계속 확보하기 위하여 당시 새로이 나타나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이용하기도 하고, 자신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어느 계층편에 서야할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이것은 루터의 의지와 상관없이 그의 객관적사회적 입지조건이었다. 따라서 구원에 대한 가장 개인적인 의문과 시련에서 출발한 루터의 신학은 이같은 그의 사회적 입지조건 때문에 새로운 내용을 포함하여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나타난 것이 그의 정치사상이다,” 김병권, “농민전쟁과 루터 정치사상의 굴절,” 침례신학대학 석사학위논문 (1989), 30.
으로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