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프로이드의 생애
Ⅱ. 정신분석학의 기본 가정
Ⅲ. 정신분석이론에서 도덕성의 개념
Ⅴ. 정신분석이론에서의 의식
Ⅵ. 본능과 원자아
Ⅶ. 자아
Ⅷ. 초자아
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성격이론)의 세 가지 원칙
Ⅹ.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단계
Ⅺ.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을 조사하게 된 동기
Ⅱ. 정신분석학의 기본 가정
Ⅲ. 정신분석이론에서 도덕성의 개념
Ⅴ. 정신분석이론에서의 의식
Ⅵ. 본능과 원자아
Ⅶ. 자아
Ⅷ. 초자아
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성격이론)의 세 가지 원칙
Ⅹ.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단계
Ⅺ.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을 조사하게 된 동기
본문내용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해줘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럼으로써 아동들이 본능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할 때나 외부의 여러 가지 유혹을 느낄 때 양심에 비추어 욕구나 유혹에 저할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을 조사하게 된 동기
제가 프로이드의 이론을 자세하게 공부하고 정리를 하게 된 이유는 ‘도덕적 측면에서 왜곡된 행동들을 보이는 아동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라는 물음을 정신분석 이론이 어느 어떤 이론들보다 분명하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는 저의 초등학교 시절을 잘 대변해주어서 더 관심이 갔습니다. 아이들이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 하는 행동, 어리광을 부리고 떼를 쓰는 행동, 화가 나 친구를 때린 후 곧바로 끌어안고 미안하다고 하면서 입을 맞추는 행동, 남에게 자꾸 잘못의 탓을 돌리는 행동 등이 모두 건강하지 못한 자아로부터 비롯된다고 보았습니다. 즉, 본능적 욕구와 사회적 환경 사이에 적절한 조화점을 찾지 못하고 왜곡된 형태로 드러난 행동들로 보았습니다. 저는 위에서 말하는 잘못된 행동들을 초등학교 다닐 때 모두 했으며 선생님의 속 썩이는데 앞장 섰었습니다. 어른이 되어서 생각해보면 집에서 옛날부터 주로 혼자 있고 놀아주는 사람이 없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싶어했고 잘못된 방향으로 자아가 발산된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초등학교 4학년 때, 진실한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를 아무 제약 없이 내 뱉게 해주신 선생님을 만난 뒤로는 모든 것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말썽만 일으키던 아이가 학업에 전념하고 되고 원만한 교우관계를 갖게 되었습니다. 아동들이 교사의 권위나 혹은 학급의 경직된 분위기에 눌려 자신의 진실한 내면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면 도덕교육은 위장된 목소리들의 경연장이 되거나 아니면 아동들의 관심과는 무관한 교사만의 일방적인 가치전달의 시간이 됩니다. 아동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본능적 요구를 비롯하여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드러내놓고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비로소 교사는 아동들이 욕구를 분출할 수 있는 현실적인 출구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도 있고 또한 아동들은 이러한 기회를 가질수록 저처럼 왜곡된 행동의 빈도를 줄여나가고 도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원론(인간사랑. 서강식 김태훈 이범웅 박찬석 지음. 인간사랑. 2013 개정판)
www.naver.com - naver캐스트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을 조사하게 된 동기
제가 프로이드의 이론을 자세하게 공부하고 정리를 하게 된 이유는 ‘도덕적 측면에서 왜곡된 행동들을 보이는 아동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라는 물음을 정신분석 이론이 어느 어떤 이론들보다 분명하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는 저의 초등학교 시절을 잘 대변해주어서 더 관심이 갔습니다. 아이들이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 하는 행동, 어리광을 부리고 떼를 쓰는 행동, 화가 나 친구를 때린 후 곧바로 끌어안고 미안하다고 하면서 입을 맞추는 행동, 남에게 자꾸 잘못의 탓을 돌리는 행동 등이 모두 건강하지 못한 자아로부터 비롯된다고 보았습니다. 즉, 본능적 욕구와 사회적 환경 사이에 적절한 조화점을 찾지 못하고 왜곡된 형태로 드러난 행동들로 보았습니다. 저는 위에서 말하는 잘못된 행동들을 초등학교 다닐 때 모두 했으며 선생님의 속 썩이는데 앞장 섰었습니다. 어른이 되어서 생각해보면 집에서 옛날부터 주로 혼자 있고 놀아주는 사람이 없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싶어했고 잘못된 방향으로 자아가 발산된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초등학교 4학년 때, 진실한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를 아무 제약 없이 내 뱉게 해주신 선생님을 만난 뒤로는 모든 것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말썽만 일으키던 아이가 학업에 전념하고 되고 원만한 교우관계를 갖게 되었습니다. 아동들이 교사의 권위나 혹은 학급의 경직된 분위기에 눌려 자신의 진실한 내면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면 도덕교육은 위장된 목소리들의 경연장이 되거나 아니면 아동들의 관심과는 무관한 교사만의 일방적인 가치전달의 시간이 됩니다. 아동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본능적 요구를 비롯하여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드러내놓고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비로소 교사는 아동들이 욕구를 분출할 수 있는 현실적인 출구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도 있고 또한 아동들은 이러한 기회를 가질수록 저처럼 왜곡된 행동의 빈도를 줄여나가고 도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원론(인간사랑. 서강식 김태훈 이범웅 박찬석 지음. 인간사랑. 2013 개정판)
www.naver.com - naver캐스트
키워드
추천자료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과 스키너행동주의이론
[인간과심리A형]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평가, 프로이드...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정신분석이론에 대해 논하시오.(이론정리, 이론분석)
(A+, 인간과 심리,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 프로...
(A+, 인간과 심리,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 프로...
[프로이트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A+)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A+,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_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기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