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정 내에 적용하여 응용해볼 수 있다. 따라서 여성을 사회 최소 수혜자의 위치로 추락시키는 요인이었던 가사노동, 육아, 배려노동 등에 남성할당제를 도입하는 것도 한 방책이 될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 고학력, 고위층의 여성이라 할지라도, 실제로는 가사노동, 육아, 사회연결망 등에서 남성에 비해 현저하게 불리한 여건을 감수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이러한 규제도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3. 결론
지금까지 서론에서 맞벌이 가정에서의 불공정한 가사분담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정의의 기준이 왜 가정의 영역에는 적용되지 않는지에 대해, 또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운평등주의가 지닌 한계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그리하여 그 결론은 가정의 영역이 \"정치화\"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그러한 사회적 힘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이 아니라, 분명 사회적 차원에서의 합의와 규제가 필요하다. 가정 내의 정의관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성찰과 토론을 통해, 성차별적인 관계를 대치할 새로운 가족의 성격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리하여 여성들이 노동세계에서도 공정한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사회가 변화해야 한다. 그리고 롤즈의 차등의 원칙에 맞게, 사회의 최소 수혜자로서 여성들의 전반적 지위향상이 필요하다. 그래야 가정에서든 사회에서든 노동과 가사에 있어 정당하게 대우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어야 비로소 가사노동과 육아, 배려노동의 참 의미가 사회적으로 공유될 것이다. 따라서 더 이상 사회 속에서 \"배려\"의 측면이 여성에게 강요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성도 당당하게 가정에서 가사분담의 공정한 분배를 요구할 수 있고, 그를 통해 공정한 노동과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사회정의론 교제
경향신문(2012), \'맞벌이 부부 가사노동 시간 부인이 남편보다 최대 7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0212150005&code=940100)
머니투데이(2012), \'맞벌이 부부 가사노동 시간, 여성이 남성의 6배\'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91816203746871&outlink=1)
김희강(2006), \"성불평등과 평등이론\", 2006년도 하계학술회의, 학술발표자료
홍찬숙(2008), \"사회정의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검토\", 페미니즘연구, 학술논문
3. 결론
지금까지 서론에서 맞벌이 가정에서의 불공정한 가사분담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정의의 기준이 왜 가정의 영역에는 적용되지 않는지에 대해, 또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운평등주의가 지닌 한계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그리하여 그 결론은 가정의 영역이 \"정치화\"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그러한 사회적 힘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이 아니라, 분명 사회적 차원에서의 합의와 규제가 필요하다. 가정 내의 정의관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성찰과 토론을 통해, 성차별적인 관계를 대치할 새로운 가족의 성격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리하여 여성들이 노동세계에서도 공정한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사회가 변화해야 한다. 그리고 롤즈의 차등의 원칙에 맞게, 사회의 최소 수혜자로서 여성들의 전반적 지위향상이 필요하다. 그래야 가정에서든 사회에서든 노동과 가사에 있어 정당하게 대우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어야 비로소 가사노동과 육아, 배려노동의 참 의미가 사회적으로 공유될 것이다. 따라서 더 이상 사회 속에서 \"배려\"의 측면이 여성에게 강요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성도 당당하게 가정에서 가사분담의 공정한 분배를 요구할 수 있고, 그를 통해 공정한 노동과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사회정의론 교제
경향신문(2012), \'맞벌이 부부 가사노동 시간 부인이 남편보다 최대 7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0212150005&code=940100)
머니투데이(2012), \'맞벌이 부부 가사노동 시간, 여성이 남성의 6배\'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91816203746871&outlink=1)
김희강(2006), \"성불평등과 평등이론\", 2006년도 하계학술회의, 학술발표자료
홍찬숙(2008), \"사회정의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검토\", 페미니즘연구, 학술논문
추천자료
가사문제 및 육아 문제
인천지역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실태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론) 가족과 친밀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
[성, 사랑, 사회 공통C형] 출산, 양육, 가사 노동 등 재생산을 여성의 일로만 보는 시각을 ...
(성사랑사회 A형) 한국사회의 어떤 특징들이 엄마되기와 엄마노릇을 더 어렵게 하는지, 엄마...
[성,사랑,사회 C형]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적되, 과제물을 준비하는 과...
2017 성사랑사회A형] 한국사회에서 일하는 여성이 겪는 어려움 가운데 여성이라서 겪게되는 ...
2017년 성사랑사회E형] 한국사회에서 엄마역할을 하면서 겪게되는 어려움, 한국사회가 엄마들...
양성평등의 개념과 관련이론연구특성사례분석및 양성평등 실현방안제시 -양성평등(남녀평등)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