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831,000 원
(3) 총 사업액 중 자부담 780,000 원
(4) 신청금액 중 인건비 350,000 원
8. 사업의 평가방법
결과목표
하위목표
프로그램
평가방법
평가지표
측정도구
청소년 인터넷 중독 문제에 대한 원인 이해와 인터넷 중독에 대한 자기인식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이 되는 원인을 참가자가 직접 사례를 조사 발표한다.
O.T 및 인터넷 중독 사례 조사
교육 참석 시, 올바른 인터넷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체크리스트 실시한다.
교육 참석률
교육 참여도
과제수행정도
교육 출석부
교육 진행일지
올바른 인터넷 이해에 대한 체크리스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검사 ‘K척도’를 통해 자신의 위험성 및 중독성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자가진단 및 조사발표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결과 분속 소감문을 작성한다.
K-척도(인터넷 중독 자가진단)에서 30% 형성 변화를 나타내었을 경우
K-척도
프로그램 과정 기록서
인터넷 사용 시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통한 이용 시간의 감소
참가자에게 인터넷 사용 시간을 줄이기 위한 ‘과제주기’를 부여하고 참가자가 목표를 세우고 체크리스트를 통해 목표의 달성 여부를 체크하도록 한다.
월 2회의 모임을 통해 자신의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강화물을 제공한다.
모든 프로그램
교육출석부 및 진행일지를 통해 참석률과 기여도를 평가한다.
주어진 과제물을 수행한다.
목표 성취 체크리스트 작성
교육 참석률
과제 수행정도
체크리스트
교육 출석부
교육 진행일지
참가자의 문화 활동 및 문화 교류를 통한 사회성 향상
월 1회 대학생 자원봉사자와 참가자의 멘토링 프로그램(미술치료)을 통해 참가자의 사회적 지지 기반을 마련한다.
월 1회 멘토링 프로그램 참가자가 영화 연극관람, 독서토론, 자원봉사, 노인 체험 등의 문화적, 사회적 활동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 참가한다.
여름방학을 이용해 참가자와 멘토 자원봉사자와의 사회성 향상 캠프를 계획 참가한다.
멘토링(우리는 친구!)
영화관람(세상속으로 Go!Go!)
미술치료(신나는 미술시간~)
농촌 봉사 활동 및 여름캠프
교육출석부 및 진행일지를 통해 참석률과 기여도를 평가한다.
과제수행표를 통해 대상자의 앎의 의지와 변화정도를 측정한다.
프로그램 과정 기록서를 통한 집단반응과 사전 사후에 만족도 검사를 통해 일정 기준 이상이 성취되어야 한다.
교육 참석률
프로그램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만족도 조사
프로그램 사전/사후 사회활동빈도 측정
의사소통 척도 검사
동료상담 출석부
감상문 작성
캠프, 봉사활동일지 작성
만족도 조사
사회활동빈도 측정
부모교육을 통한 가족기능강화
일차적 사회안전망인 가족이라는 틀에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치료를 한다고 가정하고 본 프로그램 전체 진행 과정을 참가자 부모에게 공개함으로써, 참가자의 지지를 지원하도록 한다.
참가자와 마찬가지로 부모 또한 ‘과제주기’를 통해 목표를 설정 하게 하고 이를 체크하도록 한다.
산으로
부모상담
부모와개별모임
교육출석부 및 진행일지를 통해 참석률과 기여도를 평가한다.
각 회기 진행 과정 메일 및 우편발송
부모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교육 참석률
프로그램 사전/사후 사회활동빈도 측정
과제 수행정도
감상문 제출
부모 체크리스트
교육 출석부
교육 진행일지
9. 사업의 기대효과
1). 청소년 스스로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고, 건전한 여가활동과 청소년 간의 다양한 문화교류를 통해 대인관계를 향상시킨다. 그로 인하여 청소년이 자발적으로 인터넷 사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2). 부모들에게 교육을 통해 인터넷 중독의 이해도를 높임으로서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을 1차적
사회 안전망에서 예방하며 가족 간의 여가시간의 증대를 이끌어내 가족 기능을 강화시킨다.
(3) 총 사업액 중 자부담 780,000 원
(4) 신청금액 중 인건비 350,000 원
8. 사업의 평가방법
결과목표
하위목표
프로그램
평가방법
평가지표
측정도구
청소년 인터넷 중독 문제에 대한 원인 이해와 인터넷 중독에 대한 자기인식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이 되는 원인을 참가자가 직접 사례를 조사 발표한다.
O.T 및 인터넷 중독 사례 조사
교육 참석 시, 올바른 인터넷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체크리스트 실시한다.
교육 참석률
교육 참여도
과제수행정도
교육 출석부
교육 진행일지
올바른 인터넷 이해에 대한 체크리스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검사 ‘K척도’를 통해 자신의 위험성 및 중독성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자가진단 및 조사발표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결과 분속 소감문을 작성한다.
K-척도(인터넷 중독 자가진단)에서 30% 형성 변화를 나타내었을 경우
K-척도
프로그램 과정 기록서
인터넷 사용 시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통한 이용 시간의 감소
참가자에게 인터넷 사용 시간을 줄이기 위한 ‘과제주기’를 부여하고 참가자가 목표를 세우고 체크리스트를 통해 목표의 달성 여부를 체크하도록 한다.
월 2회의 모임을 통해 자신의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강화물을 제공한다.
모든 프로그램
교육출석부 및 진행일지를 통해 참석률과 기여도를 평가한다.
주어진 과제물을 수행한다.
목표 성취 체크리스트 작성
교육 참석률
과제 수행정도
체크리스트
교육 출석부
교육 진행일지
참가자의 문화 활동 및 문화 교류를 통한 사회성 향상
월 1회 대학생 자원봉사자와 참가자의 멘토링 프로그램(미술치료)을 통해 참가자의 사회적 지지 기반을 마련한다.
월 1회 멘토링 프로그램 참가자가 영화 연극관람, 독서토론, 자원봉사, 노인 체험 등의 문화적, 사회적 활동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 참가한다.
여름방학을 이용해 참가자와 멘토 자원봉사자와의 사회성 향상 캠프를 계획 참가한다.
멘토링(우리는 친구!)
영화관람(세상속으로 Go!Go!)
미술치료(신나는 미술시간~)
농촌 봉사 활동 및 여름캠프
교육출석부 및 진행일지를 통해 참석률과 기여도를 평가한다.
과제수행표를 통해 대상자의 앎의 의지와 변화정도를 측정한다.
프로그램 과정 기록서를 통한 집단반응과 사전 사후에 만족도 검사를 통해 일정 기준 이상이 성취되어야 한다.
교육 참석률
프로그램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만족도 조사
프로그램 사전/사후 사회활동빈도 측정
의사소통 척도 검사
동료상담 출석부
감상문 작성
캠프, 봉사활동일지 작성
만족도 조사
사회활동빈도 측정
부모교육을 통한 가족기능강화
일차적 사회안전망인 가족이라는 틀에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치료를 한다고 가정하고 본 프로그램 전체 진행 과정을 참가자 부모에게 공개함으로써, 참가자의 지지를 지원하도록 한다.
참가자와 마찬가지로 부모 또한 ‘과제주기’를 통해 목표를 설정 하게 하고 이를 체크하도록 한다.
산으로
부모상담
부모와개별모임
교육출석부 및 진행일지를 통해 참석률과 기여도를 평가한다.
각 회기 진행 과정 메일 및 우편발송
부모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교육 참석률
프로그램 사전/사후 사회활동빈도 측정
과제 수행정도
감상문 제출
부모 체크리스트
교육 출석부
교육 진행일지
9. 사업의 기대효과
1). 청소년 스스로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고, 건전한 여가활동과 청소년 간의 다양한 문화교류를 통해 대인관계를 향상시킨다. 그로 인하여 청소년이 자발적으로 인터넷 사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2). 부모들에게 교육을 통해 인터넷 중독의 이해도를 높임으로서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을 1차적
사회 안전망에서 예방하며 가족 간의 여가시간의 증대를 이끌어내 가족 기능을 강화시킨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