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세기 영국의 공리주의
2. 벤담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3. Mill의 공리주의의 수정
2. 벤담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3. Mill의 공리주의의 수정
본문내용
모든 제도와 사회를 없애도 괜찮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은 없을 것이다.
칸트의 의무론은 이론 자체는 매우 훌륭하고 고상하다. 칸트라는 인물 자체의 생애와 업적 또한 존경받을 만하다. 하지만 그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군 집단이 매우 적은 것 또한 현실이다. (하지만 그 군 집단이 모이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그래도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이론은 공리주의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쾌고를 바탕으로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행위의 동기에서 행위에 이르기까지 그 절차가 매우 단순하므로, 아직 정신적으로 미숙한 아동에게도 당연히 가르칠만한 윤리 원칙이라고 생각한다.(아동이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확실히 인지할 수 있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습득할 수 있다. 이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중 하나인 민주시민의 자질에도 해당한다.) 특히나 도덕교육의 많은 부분이 가정에서 학교나 다른 소집단으로 옮겨간 상황에서(특히나 요새는 한 자녀를 둔 가정이 많아서, 소유의 개념, 양보의 자세, 잘못을 했을 때 제재를 받는 것 등에 익숙하지 않은 아동이 많다.) 윤리교육을 통한 아동의 도덕성 강화는 꼭 필요한 부분이다.
칸트의 의무론은 이론 자체는 매우 훌륭하고 고상하다. 칸트라는 인물 자체의 생애와 업적 또한 존경받을 만하다. 하지만 그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군 집단이 매우 적은 것 또한 현실이다. (하지만 그 군 집단이 모이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그래도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이론은 공리주의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쾌고를 바탕으로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행위의 동기에서 행위에 이르기까지 그 절차가 매우 단순하므로, 아직 정신적으로 미숙한 아동에게도 당연히 가르칠만한 윤리 원칙이라고 생각한다.(아동이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확실히 인지할 수 있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습득할 수 있다. 이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중 하나인 민주시민의 자질에도 해당한다.) 특히나 도덕교육의 많은 부분이 가정에서 학교나 다른 소집단으로 옮겨간 상황에서(특히나 요새는 한 자녀를 둔 가정이 많아서, 소유의 개념, 양보의 자세, 잘못을 했을 때 제재를 받는 것 등에 익숙하지 않은 아동이 많다.) 윤리교육을 통한 아동의 도덕성 강화는 꼭 필요한 부분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