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칸트 이론
2. 경험 사례
3. 지도방안
2. 경험 사례
3. 지도방안
본문내용
서 칼로 매의 목을 베어버렸습니다. 잠시 후 신하가 왕에게 와서는
“바위 위쪽에 있는 샘에 커다란 독뱀이 죽어있습니다.” 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왕은 자신의 잔을 덮친 매를 생각하고는 슬퍼했습니다.
지도서에서는 이 부분을 왕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도록 기술하고 있다. 화를 참지 못하고 행동하면 남에게 피해를 입히고 잘못된 결과를 가지고 온다, 왕이 화를 참지 못해서 매를 죽였다, 왕의 행동에서 잘못된 점은 절제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절제에 관련된 부분만을 다루고 있는데 ‘매’의 입장에서도 생각해보도록 해야 한다.
매의 행동이 의미하는 것을 무엇인가. 과연 매의 행동이 옳은 것이었나. 내가 매라면 어떻게 행동 했을까. 자신이 죽을 것을 알면서도 주인을 위한 죽음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오는 것인지를 아이들로 하여금 생각하도록 해야 한다.
칸트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면 매의 죽음은 당연한 것이다.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일에는 선하지 않다고 부정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결과가 어찌 되었던(물론 안타깝게도 매가 죽었지만) 우선 왕의 생명을 살리는 것이 마땅히 따라야 할 도덕법칙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지어서 몇 해 전 뉴스에 크게 보도되었던 고 이수현씨의 사건을 다루면 좋겠다. 한국인 유학생이 전철역에서 철로로 떨어진 일본인 취객을 구하려다 전동차에 치여 숨진 사건이 큰 화제가 되었다. 타국에서 그것도 아는 사람도 아니고 전혀 모르는 처음 보는 사람을 구하기 위해 망설임 없이 플랫폼으로 뛰어든 모습을 보며 아이들의 생각을 들어보고 함께 토의해 보는 시간을 갖는 것도 좋을 듯 하다.
“바위 위쪽에 있는 샘에 커다란 독뱀이 죽어있습니다.” 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왕은 자신의 잔을 덮친 매를 생각하고는 슬퍼했습니다.
지도서에서는 이 부분을 왕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도록 기술하고 있다. 화를 참지 못하고 행동하면 남에게 피해를 입히고 잘못된 결과를 가지고 온다, 왕이 화를 참지 못해서 매를 죽였다, 왕의 행동에서 잘못된 점은 절제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절제에 관련된 부분만을 다루고 있는데 ‘매’의 입장에서도 생각해보도록 해야 한다.
매의 행동이 의미하는 것을 무엇인가. 과연 매의 행동이 옳은 것이었나. 내가 매라면 어떻게 행동 했을까. 자신이 죽을 것을 알면서도 주인을 위한 죽음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오는 것인지를 아이들로 하여금 생각하도록 해야 한다.
칸트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면 매의 죽음은 당연한 것이다.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일에는 선하지 않다고 부정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결과가 어찌 되었던(물론 안타깝게도 매가 죽었지만) 우선 왕의 생명을 살리는 것이 마땅히 따라야 할 도덕법칙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지어서 몇 해 전 뉴스에 크게 보도되었던 고 이수현씨의 사건을 다루면 좋겠다. 한국인 유학생이 전철역에서 철로로 떨어진 일본인 취객을 구하려다 전동차에 치여 숨진 사건이 큰 화제가 되었다. 타국에서 그것도 아는 사람도 아니고 전혀 모르는 처음 보는 사람을 구하기 위해 망설임 없이 플랫폼으로 뛰어든 모습을 보며 아이들의 생각을 들어보고 함께 토의해 보는 시간을 갖는 것도 좋을 듯 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