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역할 발달이론(아동의 성역할 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역할 발달이론(아동의 성역할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역할 발달이론

I. 진화론적 이론

II. 정신분석이론

III. 사회학습이론
1. 차별적 강화
2. 관찰학습

IV. 인지이론

V. 성도식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성별에 대한 완벽한 이해가 성 유형화를 촉진한다. 그러나 실제로 성 유형화는 이미 아동이 성숙한 성 정체감을 획득하기 전부터 잘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이는 Kohlberg의 성역할 발달 이론의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표. 콜버그의 성 이해 단계
V. 성 도식 이론
Martin과 Halverson(1981, 1987), Bem(1981, 1985)등이 주장하는 성 도식(gender-schema) 이론은 사회학습이론과 인지발달이론의 요소를 결합한 것이다. 정보처리이론에 기초하여 성 유형화가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이나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 동시에 성 도식화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다고 설명한다. 성 도식은 개인이 주의를 기울이고 기억하려고 하는 정보에 영향을 주며, 사람들로 하여금 남성적 특성과 여성적 특성을 구분하게 해준다.
아동은 먼저 어떤 사물이나 행동 또는 역할이 남성과 여성에게 적절한 것인지 구별할 수 있도록 내 외 집단(in-group - out group schema)이라는 일반도식을 획득한다. 예를 들자면 트럭은 남자아이에게 적합하고, 여자아이는 울어도 되지만 남자 아이는 안 된다는 것과 같은 내용을 터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도식이 형성되면 아동은 자신의 성에 일치하는 다양한 행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구하여 자신의 성 도식(own-sex-schema)을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 성 정체감을 형성한 여자아이의 경우 바느질은 여자아이 일이고, 모형비행기 조립은 남자아이 일이라고 배운다. 그러고 나서 자신은 여자아이기 때문에 자신의 성 정체감과 일치되게 행동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자신의 성 도식에 첨가할 수 있는 바느질에 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 반면 모형비행기 만드는 정보는 거의 무시해버린다.
이와 같이 자신의 성 도식은 아동들의 정보수집에 영향을 미친다. 아동들은 자신의 성 도식과 일치하는 정보는 쉽게 기호화하고 기억하지만 도식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잊어버리거나 자신의 성 유형과 좀 더 일치하도록 왜곡하여 기억할 가능성이 높다(Liben & Signorella, 1993; Martin & Halverson, 1983).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그들의 정형화된 지식이나 선호가 매우 구체화되는 6-7세경에 뚜렷하다(Welch-Ross & Schmidt, 1996). 즉, 아동의 성역할 발달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성도식에 근거한 선택적인 기억과 선호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5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8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