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창작 동화
Ⅱ. 이 이야기를 선정한 이유
Ⅲ. 교수 - 학습 적용
Ⅳ. 과제를 마치며
Ⅱ. 이 이야기를 선정한 이유
Ⅲ. 교수 - 학습 적용
Ⅳ. 과제를 마치며
본문내용
수 있는데 우리는 그렇지 않죠.
T : 맞아요. 오늘 여러분과 선생님이 함께 배워야 할 것이 바로 ‘절제’라는 것이에요. 절제하는 생활이란 지나친 욕심을 버리고 자신의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모든 어려움을 이겨 내고 끊임없이 자신을 닦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 : 그럼 여러분이 알고 있는 우리 주변에 절제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야기 해 볼까요?
S : 평생 모은 재산을 선뜻 장학 기금으로 내놓는 분들이요.
가족을 보살피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소년소녀 가장들이 있습니다.
○학습자에게 적용
T : 다들 너무 잘 말해주었어요. 그러면 아까 별님이의 이야기로 돌아가서 여러분들이 별님이의 어머니라면 절제된 생활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S : 제가 별님이 어머니라면 밍크코트를 사지 않고 그 돈으로 불우 이웃을 도울꺼예요.
밍크코트를 사고 싶은 마음을 참겠어요. 값싸고 질 좋은 옷을 살 거예요.
T : 여러분들이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절제된 생활은 무엇이 있을까요?
S : 사고 싶은 가방을 사지 않고 형의 가방을 물려 쓰겠습니다.
놀고 싶은 것을 참고 부모님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집에 일찍 들어가는 것이요.
ⅲ. 정리
T : 맞아요. 절제하는 생활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오늘 절제에 대해 배워보았고 절제된 생활을 왜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겠죠? 여러분도 별님이와 같이 절제된 생활을 잘 하고 동물뿐만이 아니라 주위환경 모두를 배려하는 아이가 되도록 하세요.
Ⅳ. 과제를 마치며
나에게 도덕 수업은 어느 수업보다 어렵게 느껴지는 중압감 같은 것이 있었다. 내가 현장에 나가 도덕을 가르쳐야 할 텐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정리라든지 개요는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단지 도덕은 수업을 해서 아이들이 배우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몸소 직접 체험을 해봐야 아는 것이라고 생각해왔는데 이번 과제와 강의를 통해 도덕이라는 것도 하나의 교과로서 아이들에게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주고 딜레마 토론 등을 통해 도덕심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이 과제를 하면서 나의 도덕에 관한 수업관의 체계가 생긴 것 같다. 수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면서 도덕수업에 대한 자신감도 조금 생겼다.
마지막으로 도덕수업의 방안을 가르쳐주시고 지도해 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글을 마친다.
자료출처 주니어 네이버 - 창작동화
5학년 도덕 교과서
T : 맞아요. 오늘 여러분과 선생님이 함께 배워야 할 것이 바로 ‘절제’라는 것이에요. 절제하는 생활이란 지나친 욕심을 버리고 자신의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모든 어려움을 이겨 내고 끊임없이 자신을 닦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 : 그럼 여러분이 알고 있는 우리 주변에 절제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야기 해 볼까요?
S : 평생 모은 재산을 선뜻 장학 기금으로 내놓는 분들이요.
가족을 보살피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소년소녀 가장들이 있습니다.
○학습자에게 적용
T : 다들 너무 잘 말해주었어요. 그러면 아까 별님이의 이야기로 돌아가서 여러분들이 별님이의 어머니라면 절제된 생활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S : 제가 별님이 어머니라면 밍크코트를 사지 않고 그 돈으로 불우 이웃을 도울꺼예요.
밍크코트를 사고 싶은 마음을 참겠어요. 값싸고 질 좋은 옷을 살 거예요.
T : 여러분들이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절제된 생활은 무엇이 있을까요?
S : 사고 싶은 가방을 사지 않고 형의 가방을 물려 쓰겠습니다.
놀고 싶은 것을 참고 부모님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집에 일찍 들어가는 것이요.
ⅲ. 정리
T : 맞아요. 절제하는 생활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오늘 절제에 대해 배워보았고 절제된 생활을 왜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겠죠? 여러분도 별님이와 같이 절제된 생활을 잘 하고 동물뿐만이 아니라 주위환경 모두를 배려하는 아이가 되도록 하세요.
Ⅳ. 과제를 마치며
나에게 도덕 수업은 어느 수업보다 어렵게 느껴지는 중압감 같은 것이 있었다. 내가 현장에 나가 도덕을 가르쳐야 할 텐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정리라든지 개요는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단지 도덕은 수업을 해서 아이들이 배우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몸소 직접 체험을 해봐야 아는 것이라고 생각해왔는데 이번 과제와 강의를 통해 도덕이라는 것도 하나의 교과로서 아이들에게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주고 딜레마 토론 등을 통해 도덕심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이 과제를 하면서 나의 도덕에 관한 수업관의 체계가 생긴 것 같다. 수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면서 도덕수업에 대한 자신감도 조금 생겼다.
마지막으로 도덕수업의 방안을 가르쳐주시고 지도해 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글을 마친다.
자료출처 주니어 네이버 - 창작동화
5학년 도덕 교과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