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비만
II. 고혈압
III. 동맥경화
IV. 심장질환
V. 당뇨병
VI. 암
* 참고문헌
II. 고혈압
III. 동맥경화
IV. 심장질환
V. 당뇨병
VI. 암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 주변 조직을 침범한다. 또한 신체 곳곳에 전이되어 퍼질 수 있다. 전이는 원래의 종양이 커지거나 임파선이나 혈류를 통해 신체의 다른 부위로 옮겨가는 것을 말한다.
암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는데 암종(carcinomas), 육종(sarcomas), 림프종(lymphomas), 백혈병(leukemias)이 그것이다. 암종은 피부나 점막 등의 상피세포로부터 발생하고 단단한 종양이 된다. 육종은 근육, 뼈, 지방 그리고 다른 연결조직에서 발생한다. 림프종은 임파선 조직에서 발생하고, 백혈병은 혈액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아무도 정상 세포가 어떻게 해서 비정상 세포로 변하는지를 확실히 알지 못한다. 그러나 암이 유전적 요인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에 계속해서 오랜 기간 노출되었을 때 암이 발생할 수 있다. 발암물질은 신체세포가 그 구조를 바꾸고 통제로부터 벗어나 마음대로 성장하도록 한다. 발암물질의 예로는 담배, 일사광선이나 방사선에의 과다한 노출 등이 있다.
모든 암의 1/2 이상이 65세 이상의 노인에게서 발생되지만 어떤 연령에서도 암은 발생
할 수 있다. 20-40세 사이에는 암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보편적이지만, 60-80세 사이에는 남성에게서 암이 더 많이 발생한다. 전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암으로 더 많이 사망한다. 여성에게 치명적인 암은 유방암, 결장암, 직장암, 폐암, 자궁암 등이며, 남성에게 치명적인 암은 전립선암, 폐암, 결장암, 직장암, 방광암 등이다.
그림. 성별 암발생분율
위의 그림과 아래의 그림은 우리나라 성별 암발생분을(Cancer Incidence Proportion by Sex)과 연령별 유방암 발생률에 관한 것이다.
그림. 유방암의 연령군별 발생률
특히, 중년기에는 폐암과 유방암이 가장 보편적이다. 폐암의 80%는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한다(Williams, 1991). 여성은 10명 중 1명꼴로 유방암에 걸리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이 높다. 유방암은 자가검진이나 유방조영술, 초음파검사 등의 정기
검진으로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암전문의들은 암과 관련된 일곱 가지 증후를 확인한 바 있다. 낫지 않는 종기, 비정상적 출혈이나 분비물, 배변이나 배뇨습관의 변화, 잔기침이나 쉰 목소리, 소화불량, 유방이나 그 외 다른 부위에서 손으로 만져지는 멍울, 사마귀의 눈에 보이는 변화 등이 그것이다.
심장질환과 마찬가지로 생활양식과 환경적 요인이 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식습관, 흡연, 음주, 석 면, 화학적 오염물질, 방사능과 같은 축소에 노출되는 것 등이 암발생에 영향을 준다.
*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노인발달 이해와 상담 : 김은혜 저 / 2012 / 북모아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 장휘숙 저 / 2012 / 박영사
암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는데 암종(carcinomas), 육종(sarcomas), 림프종(lymphomas), 백혈병(leukemias)이 그것이다. 암종은 피부나 점막 등의 상피세포로부터 발생하고 단단한 종양이 된다. 육종은 근육, 뼈, 지방 그리고 다른 연결조직에서 발생한다. 림프종은 임파선 조직에서 발생하고, 백혈병은 혈액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아무도 정상 세포가 어떻게 해서 비정상 세포로 변하는지를 확실히 알지 못한다. 그러나 암이 유전적 요인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에 계속해서 오랜 기간 노출되었을 때 암이 발생할 수 있다. 발암물질은 신체세포가 그 구조를 바꾸고 통제로부터 벗어나 마음대로 성장하도록 한다. 발암물질의 예로는 담배, 일사광선이나 방사선에의 과다한 노출 등이 있다.
모든 암의 1/2 이상이 65세 이상의 노인에게서 발생되지만 어떤 연령에서도 암은 발생
할 수 있다. 20-40세 사이에는 암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보편적이지만, 60-80세 사이에는 남성에게서 암이 더 많이 발생한다. 전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암으로 더 많이 사망한다. 여성에게 치명적인 암은 유방암, 결장암, 직장암, 폐암, 자궁암 등이며, 남성에게 치명적인 암은 전립선암, 폐암, 결장암, 직장암, 방광암 등이다.
그림. 성별 암발생분율
위의 그림과 아래의 그림은 우리나라 성별 암발생분을(Cancer Incidence Proportion by Sex)과 연령별 유방암 발생률에 관한 것이다.
그림. 유방암의 연령군별 발생률
특히, 중년기에는 폐암과 유방암이 가장 보편적이다. 폐암의 80%는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한다(Williams, 1991). 여성은 10명 중 1명꼴로 유방암에 걸리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이 높다. 유방암은 자가검진이나 유방조영술, 초음파검사 등의 정기
검진으로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암전문의들은 암과 관련된 일곱 가지 증후를 확인한 바 있다. 낫지 않는 종기, 비정상적 출혈이나 분비물, 배변이나 배뇨습관의 변화, 잔기침이나 쉰 목소리, 소화불량, 유방이나 그 외 다른 부위에서 손으로 만져지는 멍울, 사마귀의 눈에 보이는 변화 등이 그것이다.
심장질환과 마찬가지로 생활양식과 환경적 요인이 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식습관, 흡연, 음주, 석 면, 화학적 오염물질, 방사능과 같은 축소에 노출되는 것 등이 암발생에 영향을 준다.
*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노인발달 이해와 상담 : 김은혜 저 / 2012 / 북모아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 장휘숙 저 / 2012 / 박영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