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리주의란 무엇인가?
2. 벤담
3. 존 스튜어트 밀
4. 나의 사례 적용
5. 공리주의의 초등교육 적용
마침글.
2. 벤담
3. 존 스튜어트 밀
4. 나의 사례 적용
5. 공리주의의 초등교육 적용
마침글.
본문내용
다.」
이 처럼 이단원에서는 공익을 중요시 하여 아이들이 개인적인 이익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이익, 공익을 생각해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빈 터’라는 예화를 통하여 주변의 작은 일에서 사회의 큰 범위로 나아가서도 이러한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여기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도덕 생활에서 지켜야 할 규범들은 각각 별개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고, 어떠한 관련된 요소를 갖고 있게 마련이라는 것이다. 이 예화에서도 알 수 있듯 가치의 우열이 쉽게 분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일상에서도 둘 혹은 그 이상의 가치 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나게 되고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느냐하는 문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올바르게 선택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무조건 공익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나 옳고 그름의 정확한 기준 보다는 이러한 가치 갈등상황에 직면 하였을때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된다.
활동 1. 규범의 타당성 생각 해보기
이 상황에서 어떠한 결정을 내릴지 아이들에게 생각해 보도록 한다.
1) 빈터를 공익을 위하여 마을에 내준다
2) 빈터를 영옥이네의 이익을 위하여 텃밭으로 사용한다
각각의 두가지 상황으로 나누어 아이들에게 생각을 물어보고, 왜그렇게 생각했는지에 대해 물어본다.
활동 2. 또 다른 대안 찾기
공리주의에 따라 아이들에게 소수의 희생으로 공익을 추구하는 것이 맞다고 가르치는 것은 옳지 않다. 사적인 이익 또한 무조건적으로 무시 되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또한 사적인 이익을 중시하여 공적인 이익을 무시하는 것도 옳지 못한점을 일깨워 준다.
따라서 사적인 이익과 공적인 이익의 절충안으로 여러 가지 대안을 생각해 보도록 한다.
예를 들어 빈터를 아이들의 놀이터로 내어주고 이에 사용료를 지불하는 방법을 들어준다.
활동 3. 사회로 나아가기
요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을 선택 하여 아이들에게 생각해 보도록 한다. 아이들의 수준에서 너무 어렵지 않고 쉽게 생각 할 수 있는 사례가 좋다.
예를들어 그린벨트에서 사유지의 개발 문제를 들어볼 수 있다.
마침글.
많은 상황들에서 공익과 사익은 충돌 하게 되어있고 이들 모두를 충족 시키기란 매우 어렵다. 공리주의의 ‘최대다수의최대행복’.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선 꼭 필요하다. 하지만 공익만을 우선시하여 개인의 일방적인 희생만을 강요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공리주의에 따르면 전체의 이익을 위해 소수의 희생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면 항상 소수 약자는 희생 당해야 되므로 합리적이지 못하다. 공리주의의 이러한 점을 극복해야된다. 사회전체의 이익을 위해 공익을 고려하는 태도를 가져야 하지만 소수의 이익도 생각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공익을 추구하다보면 불가피하게 소수의 무조건적인 희생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개인을 위해 최대한의 절충책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 처럼 이단원에서는 공익을 중요시 하여 아이들이 개인적인 이익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이익, 공익을 생각해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빈 터’라는 예화를 통하여 주변의 작은 일에서 사회의 큰 범위로 나아가서도 이러한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여기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도덕 생활에서 지켜야 할 규범들은 각각 별개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고, 어떠한 관련된 요소를 갖고 있게 마련이라는 것이다. 이 예화에서도 알 수 있듯 가치의 우열이 쉽게 분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일상에서도 둘 혹은 그 이상의 가치 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나게 되고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느냐하는 문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올바르게 선택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무조건 공익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나 옳고 그름의 정확한 기준 보다는 이러한 가치 갈등상황에 직면 하였을때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된다.
활동 1. 규범의 타당성 생각 해보기
이 상황에서 어떠한 결정을 내릴지 아이들에게 생각해 보도록 한다.
1) 빈터를 공익을 위하여 마을에 내준다
2) 빈터를 영옥이네의 이익을 위하여 텃밭으로 사용한다
각각의 두가지 상황으로 나누어 아이들에게 생각을 물어보고, 왜그렇게 생각했는지에 대해 물어본다.
활동 2. 또 다른 대안 찾기
공리주의에 따라 아이들에게 소수의 희생으로 공익을 추구하는 것이 맞다고 가르치는 것은 옳지 않다. 사적인 이익 또한 무조건적으로 무시 되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또한 사적인 이익을 중시하여 공적인 이익을 무시하는 것도 옳지 못한점을 일깨워 준다.
따라서 사적인 이익과 공적인 이익의 절충안으로 여러 가지 대안을 생각해 보도록 한다.
예를 들어 빈터를 아이들의 놀이터로 내어주고 이에 사용료를 지불하는 방법을 들어준다.
활동 3. 사회로 나아가기
요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을 선택 하여 아이들에게 생각해 보도록 한다. 아이들의 수준에서 너무 어렵지 않고 쉽게 생각 할 수 있는 사례가 좋다.
예를들어 그린벨트에서 사유지의 개발 문제를 들어볼 수 있다.
마침글.
많은 상황들에서 공익과 사익은 충돌 하게 되어있고 이들 모두를 충족 시키기란 매우 어렵다. 공리주의의 ‘최대다수의최대행복’.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선 꼭 필요하다. 하지만 공익만을 우선시하여 개인의 일방적인 희생만을 강요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공리주의에 따르면 전체의 이익을 위해 소수의 희생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면 항상 소수 약자는 희생 당해야 되므로 합리적이지 못하다. 공리주의의 이러한 점을 극복해야된다. 사회전체의 이익을 위해 공익을 고려하는 태도를 가져야 하지만 소수의 이익도 생각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공익을 추구하다보면 불가피하게 소수의 무조건적인 희생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개인을 위해 최대한의 절충책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공교육과 의무교육
도덕과(도덕과교육) 가치갈등학습과 가치명료화학습, 도덕과(도덕과교육) 개념분석학습, 도덕...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적 적용 - 도덕
[도덕교육론]현대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존재 나딩스의 배려 윤리-이기주의와 개인...
[초등도덕교육] 칸트 그는 누구인가
도덕교육론 - 현대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존재 - 나딩스의 배려 윤리 - 이기주의와 ...
흄의 도덕감 이론 - 노인에 대한 버스 자리 양보 예절
콜버그 이론 - 사례분석 - 초등도덕에의 적용
도덕성 발달 이론 - 콜버그 - 이론의 쟁점 - 사례 및 분석 -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