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개관
2. 나의 경험 사례
3. 수업 적용 및 지도 방안
4. 결론
2. 나의 경험 사례
3. 수업 적용 및 지도 방안
4. 결론
본문내용
여러 학생들이 위의 친구들과 비슷한 행동을 하고 있나보네요. 그런데
위 상황에 나온 행동들이 과연 올바른 행동들일까요? 친구 1은 행동이 과한 친구들이고, 친구 2는 행동이 무척 작아서 행동에 대한 결과가 모자라는 정도의 친구들이죠. 우선 사례 1을 살펴볼까요? 음식을 친구 1처럼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어떻게 될까요?
학생들 : 배탈나요. 배가 아파요.
선생님 : 네, 그렇겠죠, 배도 아프고 살도 찔거예요. 그럼 많이 먹는 것이 좋지 않으니까, 적게 먹을까요? 친구 2처럼 적게 먹는 건 어떤가요? 게다가 이 친구는 편식까지 하네요.
학생들 : 키가 안 커요, 영양소가 모자라요.
선생님 : 네, 잘 알고 있네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생들 : 적당히 골고루 먹어야 해요.
선생님 : 네, 맞아요. 너무 과해도, 너무 적어도 좋지 않아요. 앞으로 여러분도 과한 것이 있다면 조금 줄이려고 노력하고, 부족한 것이 있다면 조금 더 늘이려고 노력하도록 해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례 2는 아이들에게 위와 같이 수업을 하고, 말을 함부로 해서는 안 되지만 말을 너무 하지 않는 것도 좋지 않다는 것을 가르치고, 사례 3에서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고 큰 소리만 치지 말고 할 수 있는 일에 용기를 가지고 뒤로 물러나지 않고 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친다. 그리고 사례 4에서는 친구들과 적당히 어울리되, 늦게까지 노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을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리하여 아이들이 ‘적당한’것의 아름다움과 적당한 것의 필요함을 느끼도록 지도한다. 이렇게 지도하면 학생들이 자신의 삶에서 스스로 중용의 자세를 기르고 배울 수 있게 된다.
4. 결론
중용의 미덕은 익히 잘 알고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례를 들고, 학생들에게 적용시 방법을 구상해보면서 나는 얼마나 중용을 지키며 살고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중용이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는 것과 어떤 일을 할 때, 그리고 판단을 내릴 때, 중용의 자세를 가지고 항상 임해야 하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에 관해 공부하면서, 행복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그리고 순간 순간 행복하게 사는 것이 나의 최고의 행복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과거를 돌아보며 ‘그 때가 행복했었지’ 또는 ‘미래에는 내가 더 행복할 거야’ 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지금 이 순간이 나는 제일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나의 자아실현에도 도움을 주었다.
위 상황에 나온 행동들이 과연 올바른 행동들일까요? 친구 1은 행동이 과한 친구들이고, 친구 2는 행동이 무척 작아서 행동에 대한 결과가 모자라는 정도의 친구들이죠. 우선 사례 1을 살펴볼까요? 음식을 친구 1처럼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어떻게 될까요?
학생들 : 배탈나요. 배가 아파요.
선생님 : 네, 그렇겠죠, 배도 아프고 살도 찔거예요. 그럼 많이 먹는 것이 좋지 않으니까, 적게 먹을까요? 친구 2처럼 적게 먹는 건 어떤가요? 게다가 이 친구는 편식까지 하네요.
학생들 : 키가 안 커요, 영양소가 모자라요.
선생님 : 네, 잘 알고 있네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생들 : 적당히 골고루 먹어야 해요.
선생님 : 네, 맞아요. 너무 과해도, 너무 적어도 좋지 않아요. 앞으로 여러분도 과한 것이 있다면 조금 줄이려고 노력하고, 부족한 것이 있다면 조금 더 늘이려고 노력하도록 해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례 2는 아이들에게 위와 같이 수업을 하고, 말을 함부로 해서는 안 되지만 말을 너무 하지 않는 것도 좋지 않다는 것을 가르치고, 사례 3에서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고 큰 소리만 치지 말고 할 수 있는 일에 용기를 가지고 뒤로 물러나지 않고 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친다. 그리고 사례 4에서는 친구들과 적당히 어울리되, 늦게까지 노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을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리하여 아이들이 ‘적당한’것의 아름다움과 적당한 것의 필요함을 느끼도록 지도한다. 이렇게 지도하면 학생들이 자신의 삶에서 스스로 중용의 자세를 기르고 배울 수 있게 된다.
4. 결론
중용의 미덕은 익히 잘 알고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례를 들고, 학생들에게 적용시 방법을 구상해보면서 나는 얼마나 중용을 지키며 살고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중용이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는 것과 어떤 일을 할 때, 그리고 판단을 내릴 때, 중용의 자세를 가지고 항상 임해야 하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에 관해 공부하면서, 행복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그리고 순간 순간 행복하게 사는 것이 나의 최고의 행복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과거를 돌아보며 ‘그 때가 행복했었지’ 또는 ‘미래에는 내가 더 행복할 거야’ 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지금 이 순간이 나는 제일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나의 자아실현에도 도움을 주었다.
추천자료
[초등도덕교육]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이론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과 초등도덕교육에의 적용 - 도덕 교과서 적용 및 지도방안 - 두 친...
아리스토텔레스와 도덕교육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와 도덕 교육에의 적용 [사상 교육론 사례 분석]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과 그 적용 - 경험 사례 - 2 절제하는 생활
아리스토텔레스 - 5학년 - 2 절제하는 생활 - 구두쇠 할아버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교육론 (연구의 필요성 내용 접근과 방법 지도방안 적용)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 니코마코스 윤리학 - 초등도덕교육에의 적용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이론과 도덕 교육적 함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