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이론 소개
2.사례와 사례분석
3.교육에의 적용
4.보고서를 마치며
5.참고문헌
2.사례와 사례분석
3.교육에의 적용
4.보고서를 마치며
5.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는 겁니다.”
관리인은 흙이 벌겋게 드러난 잔디밭을 가리켰습니다.
“미안합니다.”
사진을 찍던 사람들은 부끄러운 듯 고개를 숙이고 잔디밭에서 나왔습니다.
조금 더 가니, 어떤 아이가 못으로 긴 의자를 긁고 있었습니다.
“얘야, 너 무엇 하니?”
관리인이 물었습니다.
“이 의자가 진짜 나무로 만든 건지 알아보려고요.”
아이는 호기심 가득한 얼굴로 대답했습니다.
“오 그래서 못으로 의자를 긁고 있었구나?”
“네, 너무 궁금해서 확인해 보는 중이에요.”
“하지만 이 의자는 여러 사람이 쓰는 것이 아니냐? 궁금한 것을 알아보려는 자세는 좋지만, 의자를 못으로 긁으면 보기 흉한 흠집이 남고, 의자가 빨리 망가지게 된단다. 그런 의자에 앉는 걸 사람들이 좋아할까?”
“……”
①공원 관리인의 마지막 물음에 아이는 어떤 대답을 했을지 이야기를 꾸며 봅시다.
②우리 모두가 공원을 함부로 사용한다면 공원은 어떤 모습이 될지 상상해 봅시다.
우리는 공동생활을 하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갈 수밖에 없다. 여러 사람이 함께 어울려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서로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행동해야한다. 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편리함만을 위해서 남을 생각하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생각하고 행동한다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결국 그 피해가 자신에게 돌아오게 된다.
위 이야기는 개인의 욕망(사진 찍기, 호기심 해결)을 위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였다. 공리주의적 입장에서는 최대다수의 최대의 행복을 내세운다. 개인의 사사로운 쾌락으로 인해 사회 전체의 행복을 망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이를 일깨워 주기 위해, 위와 같은 경험이 있었던 지 환기시키고 그 경험을 발표하도록 한다. 모든 사람의 행복을 위하여 자신의 행동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발문을 통해 깨닫게 한다.
예) 만약에 내가 ~게 행동했다면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인가?
공공장소에서의 예절과 질서 지키기, 즉 여러 사람이 모여 함께 사용하는 곳에서 지켜야할 질서나 규칙은 자신을 포함한 모든 사람의 편안한 생활을 위해서 지켜져야 할 약속이라는 것을 인지시킨다.
4.보고서를 마치며
평소 윤리에 관해 관심도 많았지만 이 과제는 만만치 않았다. 기존의 고등학교 윤리시간, 대학교에서 다른 사람보다 윤리 강의를 많이 받았지만 교수님의 수업을 일방적으로 받고 내면화하는 것과 직접 알아보고 여기 저기 찾아보면서 학습한 것은 크게 달랐다. 조사를 하면서 궁금한 점을 바로바로 찾아가며 나만의 이론 정리를 해나갔다. 예전에는 긍정적으로만 바라보았던 공리주의의 한계를 깨닫게 되었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힘든 보고서였지만 그만큼 나에게 얻는 것이 많았던 과제였다.
5.참고문헌
강의 필기 기록
누드 교과서 「윤리와 사상」
복제인간, 망상기계들의 유토피아(알렉산더 키슬러지음)
공리주의 (스튜어트 밀)
사회사상사 (루이스 A. 코우저)- 공리주의 부분
백과사전
4학년 도덕 교과서
관리인은 흙이 벌겋게 드러난 잔디밭을 가리켰습니다.
“미안합니다.”
사진을 찍던 사람들은 부끄러운 듯 고개를 숙이고 잔디밭에서 나왔습니다.
조금 더 가니, 어떤 아이가 못으로 긴 의자를 긁고 있었습니다.
“얘야, 너 무엇 하니?”
관리인이 물었습니다.
“이 의자가 진짜 나무로 만든 건지 알아보려고요.”
아이는 호기심 가득한 얼굴로 대답했습니다.
“오 그래서 못으로 의자를 긁고 있었구나?”
“네, 너무 궁금해서 확인해 보는 중이에요.”
“하지만 이 의자는 여러 사람이 쓰는 것이 아니냐? 궁금한 것을 알아보려는 자세는 좋지만, 의자를 못으로 긁으면 보기 흉한 흠집이 남고, 의자가 빨리 망가지게 된단다. 그런 의자에 앉는 걸 사람들이 좋아할까?”
“……”
①공원 관리인의 마지막 물음에 아이는 어떤 대답을 했을지 이야기를 꾸며 봅시다.
②우리 모두가 공원을 함부로 사용한다면 공원은 어떤 모습이 될지 상상해 봅시다.
우리는 공동생활을 하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갈 수밖에 없다. 여러 사람이 함께 어울려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서로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행동해야한다. 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편리함만을 위해서 남을 생각하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생각하고 행동한다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결국 그 피해가 자신에게 돌아오게 된다.
위 이야기는 개인의 욕망(사진 찍기, 호기심 해결)을 위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였다. 공리주의적 입장에서는 최대다수의 최대의 행복을 내세운다. 개인의 사사로운 쾌락으로 인해 사회 전체의 행복을 망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이를 일깨워 주기 위해, 위와 같은 경험이 있었던 지 환기시키고 그 경험을 발표하도록 한다. 모든 사람의 행복을 위하여 자신의 행동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발문을 통해 깨닫게 한다.
예) 만약에 내가 ~게 행동했다면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인가?
공공장소에서의 예절과 질서 지키기, 즉 여러 사람이 모여 함께 사용하는 곳에서 지켜야할 질서나 규칙은 자신을 포함한 모든 사람의 편안한 생활을 위해서 지켜져야 할 약속이라는 것을 인지시킨다.
4.보고서를 마치며
평소 윤리에 관해 관심도 많았지만 이 과제는 만만치 않았다. 기존의 고등학교 윤리시간, 대학교에서 다른 사람보다 윤리 강의를 많이 받았지만 교수님의 수업을 일방적으로 받고 내면화하는 것과 직접 알아보고 여기 저기 찾아보면서 학습한 것은 크게 달랐다. 조사를 하면서 궁금한 점을 바로바로 찾아가며 나만의 이론 정리를 해나갔다. 예전에는 긍정적으로만 바라보았던 공리주의의 한계를 깨닫게 되었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힘든 보고서였지만 그만큼 나에게 얻는 것이 많았던 과제였다.
5.참고문헌
강의 필기 기록
누드 교과서 「윤리와 사상」
복제인간, 망상기계들의 유토피아(알렉산더 키슬러지음)
공리주의 (스튜어트 밀)
사회사상사 (루이스 A. 코우저)- 공리주의 부분
백과사전
4학년 도덕 교과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