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버그의 이론과 초등교육 - 딜레마 사례 - 교실 수업 적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콜버그의 이론과 초등교육 - 딜레마 사례 - 교실 수업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콜버그
2. 도덕성 발달 이론
3. 콜버그 이론의 평가
4. 나의 경험에 이론 적용하기
5. 주위의 여러 가지 딜레마 사례 분석
6. 교실 수업에 적용하기
7. 결론

본문내용

조금 정직하지 못함을 탓하는 게 좋을 것 같아.(3단계)
T : 네, 여러분의 의견을 들어보니, 말씀드리는 것과 말씀드리지 않는 것, 두 종류로 나누어 지는 것 같네요. 말씀드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이쪽으로, 말씀드리지 않아야 한 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이쪽으로 모여주세요. 자, 각자 자신들의 생각을 토의해보고 발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 : 네, 여러분들 모두 토의 내용을 잘 들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이 상황이 되면 선생님께 말씀드릴까, 아니면 정직하지 못한 행동이라도 참 고 있을까 고민하게 되겠죠? 그럼 이렇게 한 번 생각해 볼까요? 우리 반에서 가장 친 한 친구가 동수와 같은 상황에 처해 있다고 합시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선생님께 말하겠 나요? 아니면 숨겨주겠나요?
S2 : 저는 아까 ‘말씀드리자’ 그룹에 있었는데, 제일 친한 친구가 동수 입장에 처한다면 말 씀드리지 않을 것 같아요. 말씀드리면 친한 친구를 배신하는 것 같아서요.
S3 : 저는 선생님께 살짝 말씀드리고, 제가 말했다고 하지 마시라고 부탁드리고 싶어요.
T : 네, 여러분들의 생각 잘 들었습니다. 정말 이 상황에 처한다면 여러분들도 많은 고민을 가지게 되겠죠. 어려운 문제입니다.
여러분들 중, 다른 그룹의 토의 내용을 듣고 생각이 바뀐 친구들이 있나요? 있으면 한 번 손들어 볼까요?
S : (학생들이 손을 든다)
T : 네, 다른 학생들의 생각을 들으면서 자신의 생각이 변화되는 걸 느낀 친구들도 많네요. 앞으로도 여러분 이런 상황에 처하게 되면, 한번 더 심사숙고 해보고 ‘내가 상대방의 입 장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하는 것도 생각해보면서 상황을 잘 해결해 나가는 자세를 기르 도록 합시다. 오늘 토론은 여기서 마치도록 할게요.
다음은 실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상황으로 간략한 가상 딜레마 토론을 만들어 보았다. 우리 아이들은 요즘, 사회가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문제에 부딪혀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작은 문제에도 당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아이들을 위해 교과서를 이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아이들이 처할 수 있는 상황으로 딜레마 토론을 하는 것도 효과적인 도덕성 발달과 발달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수업목표 교과서 밖의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통해 도덕적 발달 단계를 알아 보고 토론을 통해 발달 단계를 한 단계 더 성숙시킬 수 있다.
같은 반인 친구가 반에서 힘 센 아이들에게 둘러싸여서 맞고 있다. 선생님께 빨리 말씀드리거나 힘센 아이들을 말리거나 않으면 맞고 있는 아이가 많이 다칠 것 같은 상황이다. 하지만 선생님께 말씀드리면 힘 센 아이들에게 고자질을 하였다고 나중에 맞을 것 같고, 그렇다고 이 싸움을 말리자니 힘에서 밀리고. 이 상황에서 나는 어떻게 할 것인지 말해보자.
S1 : 싸움을 말려야 해요. 싸움이 커지면 나중에 보고 있던 사람도 알리거나 말리지 않았다 고 혼나지 않을까요?
S2 : 그냥 모른척 하고 싶어요. 나랑 상관도 없는 일이잖아요.
S3 : 내가 말릴 수 없다면 선생님께 당장 말하겠어요.
T : 그렇다면 맞고 있는 친구가 너희와 가장 친한 친구라면 어떻게 하겠니?
S2 : 그래도 힘 센 친구들이 무서워서 선뜻 나서지 못할 것 같아요.
S3 : 맞고 있는 친구가 친하거나 친하지 않거나, 선생님께 말해서 힘 센 아이들이 더 이상 못 때리도록 하겠어요. 사람을 때리는 것은 나쁜 일이고 보고만 있을 수는 없어요.
위의 상황에서 S1과 S2는 1단계 적인 도덕적 발달 단계를 보인다. 처벌-복종 중심으로 생각하고 있는 경향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S3은 친하든 친하지 않든, 어떤 상황에서도 사람을 때리는 것은 나쁜 일이므로 막아야 한다고 말한다. 3단계 적인 사고를 보이고 있다. 타인의 눈에 ‘착한 아이’로 보이기 위한 단계인 것이다. 그렇게 행동함으로서, 사람들은 자신을 착한 아이로 볼 것이고 그렇게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콜버그의 도덕적 딜레마 토론을 이용한 이론과 간략한 수업 모습을 살펴 보았다. 이와 같은 딜레마 토론은 아이들에게 도덕적 판단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토론하는 과정에서 자신보다 높은 단계의 도덕적 단계를 가지고 있는 친구와 함께 토론을 할 경우, 자기 자신이 그 친구의 생각을 따르게 되고,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며 도덕적 단계가 한 단계 성숙해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한 단계 정도의 도덕 발달 단계 차이는 단계가 낮은 아이들이 성숙하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하지만, 두 단계나 그 이상으로 높은 단계를 가진 아이와의 토론은 효과를 주지 못한다. 발달 단계가 두 세 단계 낮은 아이는 그 보다 높은 단계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도덕성 발달을 위해 딜레마 토론을 적극 도입하여 아이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도덕적 판단력을 기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7. 결론
도덕 교육을 통해 아이들은 배려, 협동심, 공감하는 방법, 어른을 공경하는 방법 등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외에도 아이들에게 교사는 도덕적 판단력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 요즘 아이들은 사소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남에게 의존하려고 하거나, 작은 문제에 부딪힐 때, 해결하고자 하는 대신 쉽게 포기하고 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아이들에게 도덕적 판단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교사가 제시한 딜레마를 친구들과의 토론을 통해 해결해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혼란이나 갈등 상황을 잘 헤쳐나갈 수 있는 힘을 기르게 되고 올바르게 자아실현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콜버그가 제시한 도덕 딜레마 토론을 통해 도덕 단계를 발달시켜 나가면서 공동체적으로 더욱 도덕적인 사람이 되어 갈 수 있는 것이다. ‘나라면 그 상황에서 어떻게 하였을까?’ 에 대한 답을 찾으며 길러진 판단력은 후에 아이들의 삶에 있게 될 많은 선택 중에서 올바른, 최선의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는 데에 일조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도덕 발달의 심리학’, 콜버그, 교육 과학사
초등학교 5학년 도덕 교과서
‘도덕 발달의 철학’, 콜버그, 교육과학사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