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 - 덕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행복으로 가는 길 - 1 성실한 생활 - 최선을 다한 기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도덕교육 - 덕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행복으로 가는 길 - 1 성실한 생활 - 최선을 다한 기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될 수 있겠지’하며 실망하지 않고 이를 악물었습니다. 야산에서 가마를 들고 뛰는 일은 이만저만 힘든 게 아니었습니다. 가마 무게 자체가 너무 어마어마한 데다 사람까지 타고 있으니 숨이 턱에 차고 온몸에는 땀이 비 오듯 했습니다. 촬영 뒤에 밥을 먹을 땐 수저를 들 힘조차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그는 그 역할에 실망하지 않고 자신이 맡은 역할에 최선을 다했습니다. 그 뒤에도 그는 오랫동안 계속해서 단역만 맡았지만, 극중 단 한 마디의 대사라도 주어지면 며칠 동안 궁리하고 연습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습니다.
한 번은 그에게 웨이터 역할이 주어졌는데, 주어진 대사는
“뭘 드시겠습니까?”
그 단 한 마디였습니다. 그 대사를 몇 번이나 곱씹다가 그는 직접 웨이터의 행동과 말씨를 관찰하기 위해 술집에 갔습니다. 그리고 웨이터의 목소리, 손놀림을 유심히 보기 위해 시도 때도 없이 웨이터를 불렀습니다.
“물 한 잔만 갖다 줘요.”
“냅킨 좀 주시겠어요?”
등등 술과 안주는 조금 시켜 놓고 남모르는 꿍꿍이로 심부름만 시켜 대며 그 대사를 수도 없이 연습했습니다.
그는 이렇듯 작은 배역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고 연습에 연습을 거듭한 결과 마침내 오늘날의 대배우가 된 것입니다.
1. 영화배우 한석규씨는 가마꾼 역할을 맡았을 때 어떠한 마음가짐을 가졌나요?
(예시 답안 : ‘무슨 배역이든 열심히 하면 언젠가는 주인공이 될 수 있겠지’하며 실망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열심히 하려는 마음가짐을 가졌습니다.)
2. 한석규씨가 웨이터 역할을 맡고 그것을 잘해내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였나요?
(예시 답안 : 주어진 대사는 딱 한마디였지만 직접 웨이터의 행동과 말씨를 보고 연습하 기 위해 술집에 갔습니다. 그리고 시도 때도 없이 웨이터를 불러 그를 유심히 관찰하였 습니다.)
3. 그는 오랫동안 단역만 맡았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이런 상황에 처해 있다면 어떻게 할 것 인가요?
(예시 답안 : 저도 한석규씨처럼 절망하지 않고 꾸준히, 성실하게 노력하였을 것입니다.)
5. 영화배우 한석규씨가 지금과 같이 유명한 배우가 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요?
(예시 답안 : 오랫동안 단역만 맡았지만 이에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노력하였습니다. 작은 역할도 소홀히 하지 않고 끊임없이 연습하였고 결심한 것은 절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6. 현재 여러분이 직면한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나요?
③ 교훈 전달 방법 3
학생 스스로 어려움을 극복한 사례를 얘기하는 시간을 마련하여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방법도 좋을 것이다. 다른 친구들에게 자신이 한 일을 뿌듯하게 말할 수 있는 기회를 갖 는다는 것은 단지 그 교훈이 교과서에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고 또한 그 일을 해냈다는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게 해 준다. 그것은 아이가 저절로 덕이 어려움을 극 복하고 행복으로 가는 방법임을 깨닫는 동시에 앞으로 살아가면서 겪을 힘든 시간을 이겨 내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5. 결론 및 느낀점
나는 여태까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 이론, 그 중에서도 특히 행복의 조건으로서의 덕, 그리고 행복과 덕들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덕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행복으로 가는 길’임을 주제로 과제를 수행해보았다.
나는 여태껏 수많은 과제를 해오면서 이처럼 나의 솔직한 얘기를 소재로 삼은 적이 없었다. 그래서 보고서 첫 시작에서 더욱 더 많은 고민을 해야만 했다. 쑥스럽고 부끄러워서 다른 얘기로 풀어나갈까도 생각해 보았지만 만약 그랬다면 정말 후회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과제를 통해서 나는 학점을 받는다는 것보다 더 큰 가치를 얻었기 때문이다. 첫 ‘나의 이야기’에서 밝혔듯 나는 암울한 생활을 하고 있었고 그 해결책을 찾아보기는 했으나 모두 문제의 본질이 아닌 외부적인 것에서만 맴돌았다. 당연히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찾지 못하고 힘든 시간만 계속 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맘도 가벼워지고 예전보다 훨씬 더 많이 웃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이 과제를 통해 깊이 깨달은 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내 삶의 문제점의 근본적인 해결책이자 앞으로 펼쳐질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교훈이다.
인간은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그만의 탁월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리고 인간에게 있어서 그것은 덕을 실현하는 길이다. 덕이라는 것은 단지 이타적인 것, 선한 것이 아니다. 덕은 우리가 항상, 늘 발현할 수 있는 것이었다. 용기, 자신감, 긍지, 신념, 절제, 성실 등 마음만 먹으면 나도 덕스러운 인간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덕스러운 인간이기는커녕, 내 삶에 만족을 못하고 ‘덕’을 모르며, 내 자신을 갉아먹는 생활을 하고 있었다. 결국 나는 너무나 지쳐버렸고 행복이란 무엇인지 묻게 되었다. 딱 이 시점에서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한 도덕수업을 듣게 되었고, 심도 깊은 과제를 통해 마침내 내 삶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었다. 그것은 ‘나에게 주어진 상황에서, 행운이나 불행에 얽매이지 않고, 나의 탁월성을 발휘할 수 있는 덕을 실현하는 것이 행복이며, 그 끝에는 자아실현이라는 가장 큰 행복이 있다.’는 깨달음 덕분이다.
나는 지금 행복한 인간이다. 왜냐하면 나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들이 날 응원해주며, 꿈이 있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마음껏 할 수 있는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평생에 있어서 나에게 큰 힘이 되어줄 교훈도 얻었다.
그리고 지금 한 가지 더 행복한 일이 생각이 났다. 나는 교사가 될 것이기에 내가 지금 깨달은 바를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이야기 해 줄 수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아이들에게도 큰 힘이 되어줄 수 있다. 정말 생각만 해도 가슴이 벅차오르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나는 아이들에게 여러 도덕 윤리를 주지시키는 역할도 해야 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선생님이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에 더욱 감동받고 감화된다. 이런 점에서 나는 아이들에게 가르칠 소중한 교훈 한 가지를 교대생이 된지 1년 반 만에 얻어내었고 매우 기쁘다.
내가 한 과제가 부족한 점이 많지만, 죽을 때 까지 간직해두고 보고 싶은 과제임은 분명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