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만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망원경의 발달-반사망원경
뉴턴이 만든 망원경은 거울을 이용해서 망원경을 만들었다.
오목거울을 주경으로 쓴다. 거울의 초점거리가 길면 접안부의 위치가 바닥에서부터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5. 망원경의 발달-반사 망원경
카세그레인이 만든 반사망원경은 오목거울인 주경의 초점거리 안에 볼록거울을 놓아 합성 초점거리의 몇 배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경통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주경에 구명을 뚫어야 함으로 소구경의 망원경은 잘 만들지 않고, 대구경의 망원경에 사용한다고 한다.
6. 망원경의 발달-반사굴절 망원경
슈미트 카메라
보정판으로 코마수차와 구면수차를 보정시켜서 밝고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진 촬영용으로 많이 쓰여 슈미트 카메라라고 불린다.
7. 망원경의 발달-반사굴절 망원경
슈미트 카세그레인식
슈미트 카세그레인식은 슈미트 카메라의 사진 건판 대신 구면경을 달아 눈으로 관측할 수 있게 만든 망원경이다. 형태가 슈미트 카메라와 카세그레인식을 합쳐 놓은 것 같다고 해서 슈미트 카세그레인식이라고 한다.
<망원경 조립>
실제로 망원경을 조립하면서 망원경의 조립방법과 사용방법 등 여러 가지를 배웠다.
삼각대를 설치한다.
가대를 설치를 한다.
무게추를 단다.
경통을 가대에 설치한다.
경통과 무게추의 균형을 잡는다.
파인더를 달고 주망원경과 정렬을 한다.
가대에 있는 위도와 극축을 정렬한다.
<간이 망원경 만들기>
이번시간에는 별을 관측하려고 했으나 구름이 많이 있어서 관찰을 못하고 망원경 만들기를 했다.
준비물: 절연테이프, 양면테이프, 칼, 볼록렌즈, 자, 검은색 골판지
1. 두 개의 볼록렌즈의 초점거리를 잰다.
2. 렌즈의 초점거리의 합만큼 골판지를 자른다.
3. 골판지의 끝부분에 양면테이프를 붙인다.
4. 볼록렌즈를 양면테이프가 있는 곳에 부착시키고 골판지를 말아준다.
5.렌즈가 빠지지 않도록 절연테이프를 붙인다.
6. 다른 볼록렌즈는 초점거리에 맞추어서 위에서 한 것과 같이 만든다.
7. 크기가 작은 원통이 큰 원통 속에 넣어서 관찰한다.
<천체 투영>
과학교육원 옥상에 있는 천체 투영실에서 별을 관찰하고, 별자리를 알아보았다. 그곳은 빛이 있으면 별을 못 보기 때문에 촬영은 못했다.
일본의 1970년대 천체 투영기이다. 이 투영기는 전구를 이용하여 투영을 한다. 그리고 이투영기는 우리나라에서 몇 대 없다고 한다.
느낀점
내가 별에 관심이 있고 때
4. 망원경의 발달-반사망원경
뉴턴이 만든 망원경은 거울을 이용해서 망원경을 만들었다.
오목거울을 주경으로 쓴다. 거울의 초점거리가 길면 접안부의 위치가 바닥에서부터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5. 망원경의 발달-반사 망원경
카세그레인이 만든 반사망원경은 오목거울인 주경의 초점거리 안에 볼록거울을 놓아 합성 초점거리의 몇 배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경통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주경에 구명을 뚫어야 함으로 소구경의 망원경은 잘 만들지 않고, 대구경의 망원경에 사용한다고 한다.
6. 망원경의 발달-반사굴절 망원경
슈미트 카메라
보정판으로 코마수차와 구면수차를 보정시켜서 밝고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진 촬영용으로 많이 쓰여 슈미트 카메라라고 불린다.
7. 망원경의 발달-반사굴절 망원경
슈미트 카세그레인식
슈미트 카세그레인식은 슈미트 카메라의 사진 건판 대신 구면경을 달아 눈으로 관측할 수 있게 만든 망원경이다. 형태가 슈미트 카메라와 카세그레인식을 합쳐 놓은 것 같다고 해서 슈미트 카세그레인식이라고 한다.
<망원경 조립>
실제로 망원경을 조립하면서 망원경의 조립방법과 사용방법 등 여러 가지를 배웠다.
삼각대를 설치한다.
가대를 설치를 한다.
무게추를 단다.
경통을 가대에 설치한다.
경통과 무게추의 균형을 잡는다.
파인더를 달고 주망원경과 정렬을 한다.
가대에 있는 위도와 극축을 정렬한다.
<간이 망원경 만들기>
이번시간에는 별을 관측하려고 했으나 구름이 많이 있어서 관찰을 못하고 망원경 만들기를 했다.
준비물: 절연테이프, 양면테이프, 칼, 볼록렌즈, 자, 검은색 골판지
1. 두 개의 볼록렌즈의 초점거리를 잰다.
2. 렌즈의 초점거리의 합만큼 골판지를 자른다.
3. 골판지의 끝부분에 양면테이프를 붙인다.
4. 볼록렌즈를 양면테이프가 있는 곳에 부착시키고 골판지를 말아준다.
5.렌즈가 빠지지 않도록 절연테이프를 붙인다.
6. 다른 볼록렌즈는 초점거리에 맞추어서 위에서 한 것과 같이 만든다.
7. 크기가 작은 원통이 큰 원통 속에 넣어서 관찰한다.
<천체 투영>
과학교육원 옥상에 있는 천체 투영실에서 별을 관찰하고, 별자리를 알아보았다. 그곳은 빛이 있으면 별을 못 보기 때문에 촬영은 못했다.
일본의 1970년대 천체 투영기이다. 이 투영기는 전구를 이용하여 투영을 한다. 그리고 이투영기는 우리나라에서 몇 대 없다고 한다.
느낀점
내가 별에 관심이 있고 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