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누고, 혹은 우환이 생기면 어김없이 무당을 불러 영을 달래는 그런 집안을 몇몇 보아왔다. 많이 봐온 것은 아니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정보, 통신이 눈에 띄게 발달하고 과학적 이론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는 시대에 아직도 우리민족의 얼이 담긴 민간신앙을 믿는 다는 것은 기뻐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주체성을 잃지 않고 우리 문화를 계속해서 사라지지 않고 이어간다는 것은 실로 아름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눈부시게 발달하는 이 사회 속에서 우리의 것이 굳건히 남아 아직 존재한다는 것은 주체성을 다시금 확인 할 수 있는 기회이자 축복이다. 내가 살고 있는 제주도에 우리의 전통이 아직 남아있다는 것이 자랑스럽고 앞으로도 계속 본 받을 것이고, 후손들에게도 끊임없이 물려주고 싶은 우리의 재산이라 자신한다.
추천자료
사회학개론 - 민간신앙의 존재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 독후감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 알고 보면 여기저기 어디에나 다 있...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 독후감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나서 - 독후감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제주인의 삶에 깃든 민간신앙의 얼 -...
[사회학개론] 민간신앙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사회학개론]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나서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 민간신앙을 끌어당기는 힘
사회학개론 - 변해가는 제주지역의 신앙심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