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도덕 교육론 - 공리주의 - 5-2 - 6 나와 우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 도덕 교육론 - 공리주의 - 5-2 - 6 나와 우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달라고 시청에 여러 차례 건의했더니, 내년에는 만들어 주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올해만 동네 아이들을 위해 빈터로 두시고, 내년부터 밭을 일구면 어떻겠습니까?”
반장 아주머니의 말씀을 듣고, 아버지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지금 바로 대답을 드리기는 좀 어렵습니다. 가족들이 함께 의논해 보고 연락을 드리도록 하지요.”
아주머니들이 떠난 뒤, 하영이네 가족은 가족회의를 열고 이 문제에 대해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5. 교수 방법
가. 교수 의도
제시된 문제 상황은 공익과 사익이 충돌하는 경우이다.
공리주의의 원리에 따르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곧 ‘선’이므로 다수의 행복을 위해 하영이의 집의 희생이 요구된다. 놀이터가 생기기 전 까지만 빈터를 양보하고 텃밭을 일구는 것을 잠시 보류한다면 다수의 아이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고, 마음의 부담감도 없을 것이다. 사회생활에서 한 개인의 이익 보다는 공공의 이익이 될 수 있는 일을 선택하는 것이 공리주의의 원리이다.
하지만 공익을 위해 사익의 권리가 무시될 수 있다. 공익만을 강조한다면 소수의 사람들이 다수를 위해 희생해야하는 공리주의의 난점에서 절대 벗어날 수 없다. 학생들에게 공익의 추구에 앞서서 다수에서 제외된 ‘소수’의 행복도 배려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공익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주변에서 찾아보고 실천해보도록 한다.
나. 교수 절차
<역할놀이>
○ 상황 파악
○ 역할놀이 준비
문제 상황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역할놀이에 쓰일 대본을 꾸민다.
○ 역할놀이 참가자 선정
역할놀이에 필요한 인원수를 정하고, 참가자를 선정한다. 이 때, 많은 학생들이 참가할 수 있도록 3~4팀 정도 참가자를 선정한다.
○ 청중의 자세 살피기
역할놀이를 관람하는 청중은 단지 보는 것만이 아니라 나라면 어떻게 할지 생각하면서 보도록 한다.
○ 역할놀이 시연
3~4팀의 참가자가 역할놀이를 시연한다.
각자가 맡은 역할에서 자신의 의견을 말한다.
○ 역할놀이 소감 발표 및 평가
역할놀이를 하긴 전과 후의 자신의 의견 차이를 들어 소감을 발표하고 참가자들의 역할놀이를 평가해본다.
<배려 수업모형>
○ 상호 관계 측면에서 문제 파악
자신의 입장이 아닌 상대방의 입장에서 상황을 파악하도록 한다. 땅 주인의 입장은 어떠한지, 학생의 입장은 어떠한지 이해한다.
○ 최대한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해보기
자신의 입장만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상대방 입장이라면 어떻겠는지 공감해본다.
○ 상대방 요구를 듣고 배려해주기
서로 상대방의 요구를 듣고 자신이 배려할 수 있는 최대한의 배려를 고려해본다.
공익을 추구할 경우 하영이의 집에서 텃밭을 가꿀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본다.
○ 상대방 요구를 실천
자신이 상대방에게 배려해줄 수 있는 선에서 상대방의 요구를 들어준다. 그리고 그 후에 일어날 변화를 생각해본다.
※ 공익을 추구해야 하는 까닭이 무엇인지 이야기 해보자.
※ 공익의 추구로 무시되는 소수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보자.
※ 공익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주변에서 찾아보고 실천해보자.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