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가 말하는 철학과 우리가 말해야 하는 도덕 교육 - 3 공정한 생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칸트가 말하는 철학과 우리가 말해야 하는 도덕 교육 - 3 공정한 생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칸트의 이론
1.선의지와 의무
2. 순수실천이성
3. 준칙과 법칙
Ⅲ 나의 경험
1. 나의 경험
2. 경험 사례 분석
Ⅳ 교과서사례및 적용
Ⅴ 결론

본문내용

누구든지 모두가 동등하게 그 행동을 하여야 함이 요구된다는 것이 보편성의 격률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라고 생각하였다.
도덕 4학년 2학기
(3) 공정한 생활
2.적용
\"너의 준칙을 통하여 너 자신이 항상 보편적 목적의 왕국의 법칙을 세우는 구성원처럼 행위해라\"이다. 즉 목적 자체로서의 각 이성적 존재는 모든 법칙에 관해서 자기 자신을 동시에 보편적 입법자로 간주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성적 존재를 목적 자체로 규정하는 것은 바로 그의 준칙이 보편적 입법을 행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거꾸로 자신의 준칙이 보편적 입법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것은 타인을 목적 자체로 간주해야 가능하다. 이성적 존재는 스스로 보편법칙을 부여하고 동시에 그 자신도 그 법칙에 복종하는 성원이어야 한다. 칸트의 이론을 초등도덕교육방법에 적용시켜보자. 아이들은 학교에서 생활하면서 학교 규칙을 준수할 때가 상당히 많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친한 친구가 학교 규칙을 어겼는데 선생님은 모른 상황에 처해 있다. 그 아이는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을 것이다. 과연 선생님에게 알릴 것인지 모른체 할것인지에 대해 말이다. 이 때 교사는 아이들에게 올바르게 가르쳐야 한다. 도덕 법칙을 따르는 내적 동기가 되고, 도덕 법칙은 이성으로부터 나온다. 이러한 도덕 법칙을 존중하고 준수하는 것은 도덕적인 사람이라면 지켜야 할 의무이다. 도덕적인 법칙에 일치하는 가 그렇게 않은가로 우리는 행위의 선함과 악함을 가릴 수 있다라고 아이들에게 법칙을 준수할 수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5.결론
칸트의 이론을 공부하며 나는 많은 고민을 한 건 사실이다. 칸트 이론 중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어떤 걸로 초점을 맞춰야 할까? 초등도덕교과서를 뒤지면서 현실하고 가장 가까운 또한 아이들이 쉽게 직면할 수있는 공정성을 택하여 접목을 하였다. 지금 현대 시대는 학벌 지연 등으로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기업체에 입사하거나 승진할때나 어떤 잘못을 할 때면 자기랑 더 가까운 사람 편을 드는게 현실이다. 현대인들은 지극히 계산적인 사람들이 되어버렸다. 현대인들은 더 이상 도덕법칙을 신경쓰지 않는다. 지극히 결과만 우선시 할 뿐이다. 이런 사회에서 우리는 이 시대가 원하는 인간상과 그 삶의 양식을 칸트의 이론을 통해서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예비교사인 우리들은 칸트의 이론을 토대로 올바른 도덕 기준을 가지고 아이들을 가르쳐야 할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