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와 공리주의 사상에서 조망한 안락사 문제 (문제의 소재 사례 교과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칸트와 공리주의 사상에서 조망한 안락사 문제 (문제의 소재 사례 교과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의 소재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가

Ⅱ. 사례제시 : 안락사 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

1. 라몬 삼페드로와 안락사

2. 안락사 찬반론의 배경사상
⑴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관과 안락사 반대론
1)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관의 개관
2) 의무론적 윤리관과 안락사와의 관계
- 칸트 사상과 인간의 존엄성
- 안락사와 의무론적 윤리관과의 관계
⑵ 공리주의의 결과론적 윤리관과 안락사 찬성론
1) 공리주의와 결과론적 윤리관의 개관
2) 결과론적 윤리관과 안락사 찬성론과의 관계

3. 라몬 삼페드로 사건에 대한 나의 생각
⑴ 결과론적 윤리관에 입각한 원칙적 입장
1) 의무론적 윤리관에 근거한 안락사 반대론의 비판
2) 결과론적 윤리관에 근거한 안락사 찬성 의견의 타당성
⑵ 안락사를 인정하기 위한 조건

Ⅲ. 교과서 사례분석 : 3학년 2학기 1단원 약속과 규칙 - 경원이의 약속

본문내용

안락사를 인정하기 위한 조건
안락사는 결과론적 윤리관의 원칙적 입장에서 볼 때 삶을 지속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쾌락과 삶을 종결지음으로서 얻을 수 있는 쾌락의 비교 형량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 서론에서 밝힌 점을 명심해야 한다. 죽음을 선택한다고 하는 것은 다른 어떤 선택과도 다르다는 것이다. 선택에 있어 좀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즉, 삶의 지속과 삶의 종결 사이에는 객관적 상황의 측면에서도 삶의 종결이 더 큰 쾌락을 주어야 하며, 동시에 주관적으로도 삶의 종결이 더 행복해야 한다. 양자의 둘 중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안락사는 인정될 수 없다. 즉, 모든 사람이 공감할 만큼의 고통스러운 상황이라는 것이 보편성을 획득함과 동시에 개인의 자유로운 의지로서 안락사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두 가지 조건이 완전히 충족될 경우에만 안락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인간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는 안락사가 고통 받는 인간을 해방시킬 수 있는 ‘도덕적 선택지’가 될 수 있다.
Ⅲ. 교과서 사례분석 <3학년 2학기 단원 1. 약속과 규칙 - 경원이의 약속>
※ 경원이네 반 친구인 민수는 몸이 약해 자주 결석을 합니다. 지난주에도 몸이 아파 내내 결석을 했습니다. 그렇지만 공부는 열심히 합니다. 오랜만에 학교에 나온 민수가 점심시간에 걱정스러운 얼굴로 경원이에게 다가왔습니다. “경원아, 부탁이 있어. 사회과 자료 조사 과제 좀 가르쳐 줄래? 1주일이나 결석을 했더니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 “다른 아이들도 어렵다고 하더라. 마침 내가 만들어 둔 자료 목록과 자료가 좀 있는데 내일 가져다줄게.” -중략- 책상 위에서 눈을 떠 보니 밤 12시가 넘었습니다. ‘에이, 그냥 자 버리자. 다음에 알려 주면 되겠지, 뭐.’ ‘아니야,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민수가 얼마나 섭섭해 할까.’ 하고 다시 생각했습니다.
본 사례를 수업함에 있어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사실의 강조라기보다는 ‘왜 약속을 지켜야 하는가’ 일 것이다. 때문에 약속을 지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를 설득력 있게 제시하여야 한다. 약속을 준수해야 하는 근거로서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관과 공리주의자들의 결과론적 윤리관의 입장을 균형 있게 제시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친구들이 자신과의 약속을 저버리게 되면 섭섭하지 않겠냐는 질문을 통해 약속을 준수하는 것은 나를 포함한 모든 친구들에게 필요한 규칙이라는 점을 납득시켜야 할 것이다. 이는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관의 개념을 원용한 것이다. 또한 경원이가 나중에 민수처럼 아프게 될 경우를 생각해 보도록 하는 것은 의미 있는 학습 방법이 될 것이다. 이런 경우 민수와의 약속을 저버린 경원이가 민수에게 과제에 대해 도움을 청할 수 있겠는지를 설명하고 약속을 지키는 것은 학생들 개개인에게 이익이 될 수 있음을 이해시킨다. 이는 결과론적 윤리관의 관점에서 학생들에게 약속 지킨다는 것이 중요한 규범임을 설명하는 것이다. 양자의 대립되는 입장에서 설명하여야 좀 더 설득력 있는 교수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