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리사회적 이론
I. 주요 개념
1. 자아
2. 자아정체감
II. 성격발달과정
1. 신뢰감 대 불신감
2.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3. 주도성 대 죄책감
4. 근면성 대 열등감
5. 정체감 형성 대 역할혼미
6. 친밀감 대 고립감
7. 생산성 대 침체감
8. 자아통합 대 절망감
* 참고문헌
I. 주요 개념
1. 자아
2. 자아정체감
II. 성격발달과정
1. 신뢰감 대 불신감
2.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3. 주도성 대 죄책감
4. 근면성 대 열등감
5. 정체감 형성 대 역할혼미
6. 친밀감 대 고립감
7. 생산성 대 침체감
8. 자아통합 대 절망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선택하여 사회적 활동을 왕성하게 한다. 그러나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한 성인은 사회적 관계를 회피하며 다른 사람을 거절하고, 친밀감을 나타내는 것을 자신의 정체감에 대한 위협으로 보아 친밀감을 두려워한다.
7. 생산성 대 침체감
성인 중기에 해당하는 이 시기는 자신에게 몰두하기보다는 자녀와 직업을 통해 생산적인 활동에 참여하는데, 만일 그렇지 못하면 사회심리적으로 침체된다. 일단 두 사람 간의 친밀성이 확립되고 나면, 그들의 관심은 두 사람만의 관계를 넘어서 그 밖의 사람으로 확대되기 시작한다. 가정적으로는 자녀를 낳아 키우고 교육하게 되며, 사회적으로는 다음 세대를 양성하는데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또 직업적인 성취나 학문적 예술적 업적을 통해서도 생산성이 발휘된다.
만일 어떠한 이유로 생산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면 침체감이 형성된다. 이 경우 타인들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신의 욕구에 더 치중하는 경향을 보이며 타인에 대한 관대함이 결여되고 인간관계는 황폐화된다.
8. 자아통합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
개인은 인생의 황혼기에 자아통합이나 절망의 상태에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 시기에는 신체적 노화에 적응해야 하고, 사회적으로 은퇴하며, 배우자와 친구의 죽음을 직면하면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된다. 삶을 되돌아보았을 때 겸허하게 자신의 인생을 수용하고 성공과 기쁨, 갈등, 실패조차 자신의 삶에서 의미 있는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자아통합을 성취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자신이 살아온 인생이 무의미하고 가치 없다고 느껴 자아통합을 성취하지 못하면, 절망과 자기혐오 속에서 생을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망 속에서도 자신은 그때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면서 자기 나름의 의미와 보람을 찾게 되면 인생에 대한 참다운 지혜를 획득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7. 생산성 대 침체감
성인 중기에 해당하는 이 시기는 자신에게 몰두하기보다는 자녀와 직업을 통해 생산적인 활동에 참여하는데, 만일 그렇지 못하면 사회심리적으로 침체된다. 일단 두 사람 간의 친밀성이 확립되고 나면, 그들의 관심은 두 사람만의 관계를 넘어서 그 밖의 사람으로 확대되기 시작한다. 가정적으로는 자녀를 낳아 키우고 교육하게 되며, 사회적으로는 다음 세대를 양성하는데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또 직업적인 성취나 학문적 예술적 업적을 통해서도 생산성이 발휘된다.
만일 어떠한 이유로 생산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면 침체감이 형성된다. 이 경우 타인들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신의 욕구에 더 치중하는 경향을 보이며 타인에 대한 관대함이 결여되고 인간관계는 황폐화된다.
8. 자아통합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
개인은 인생의 황혼기에 자아통합이나 절망의 상태에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 시기에는 신체적 노화에 적응해야 하고, 사회적으로 은퇴하며, 배우자와 친구의 죽음을 직면하면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된다. 삶을 되돌아보았을 때 겸허하게 자신의 인생을 수용하고 성공과 기쁨, 갈등, 실패조차 자신의 삶에서 의미 있는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자아통합을 성취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자신이 살아온 인생이 무의미하고 가치 없다고 느껴 자아통합을 성취하지 못하면, 절망과 자기혐오 속에서 생을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망 속에서도 자신은 그때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면서 자기 나름의 의미와 보람을 찾게 되면 인생에 대한 참다운 지혜를 획득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전제,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자아정체감, 에릭슨 심리사...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자아정체감 정의와 자아정체감 필요성,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의 이론적 배경,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과 자아정체감, 심리...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 배경,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 성격,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
에릭슨의 생애,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기본가정,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특성, ...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의 자아정체감 개념과 자아정체감 발달,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기본전제와 특성,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의 자아정체감과 ...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 특징,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 발달,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의 주요내용 및 차이점...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의 주요내용 및 차이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