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수집단과 정체성
1. 장애인과 정체성
2. 동성애자와 정체성
3. 다문화가정과 정체성
4. 북한이탈주민과 정체성
5. 재외 이주민과 정체성
* 참고문헌
1. 장애인과 정체성
2. 동성애자와 정체성
3. 다문화가정과 정체성
4. 북한이탈주민과 정체성
5. 재외 이주민과 정체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식은 다른 재외 이주민보다 강하다. 조선족자치주인 연변지구 외의 조선족은 북한과의 합의에 의해 중국 또는 북한 국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일부는 무국적자로 남아있기도 하다. 중국 조선족은 중국 공민이라는 국민정체성과 한민족이라는 민족정체성이 병존한다.
연구에 따라서는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의 양상에 따라 이중적 정체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체성의 기본 개념을 상호 충돌하는 가치체계의 통합으로 이해한다면, 재외국가의 상황에 따라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이 재외 이주민이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통합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연구에 따라서는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의 양상에 따라 이중적 정체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체성의 기본 개념을 상호 충돌하는 가치체계의 통합으로 이해한다면, 재외국가의 상황에 따라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이 재외 이주민이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통합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아동복지론)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인식전환 프로그램(학교프로그램) 보고서
[대중문화론] 다문화 가정 (다문화가족, 문화, 정의, 정책, 통계, 역사, 차별, 사례, 대중문...
다문화교육, 학교에서 겪는 문제점 사례 및 대안
다문화가정과 사회복지대책(다문화가정지원, 해외이주여성지원, 다문화가정문제)
[한국사회문제D형]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문제가 왜 어렵...
[한국사회문제D형]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문제가 왜 어렵...
다문화복지의 필요성
다문화이론의 주요 개념
정체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