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 사미인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평 - 사미인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의 생애
2. 작품의 시대적 특징, 경향
3. 작품 분석
4. 감상

본문내용

원의 이해와 감상
\'사미인곡\'의 본사 부분인 추원과 동원으로 \'추원\'에서는 달, 혹은 별(북극성)을 임(임금)에 비유하여 그 달빛 같고, 별빛 같은 마음으로 선정을 베풀어 줄 것을 갈망했고, \'동원\'에서는 따뜻한 햇볕을 부쳐 보내고 싶어하는 여성다운 알뜰한 정성과 긴긴 겨울 밤 독수공방(獨守空房)의 사무치는 외로움을 여성다운 애절함으로 노래했다. \'졈낫\'은 선정(善政)을 비유한 것이고, \'뎐공후\'는 외로움을 달래는 매개물로 동원되었다.
결사 - 변함없는 충성심
하루도 열두 때, 한 달도 서른 날, 잠시라도 임 생각을 맡아 가지고 이 시름을 잊으려 하여도 마음속에 맺혀 있어 뼛속까지 사무쳤으니, 편작과 같은 명의가 열 명이 오더라도 이 병을 어떻게 하랴. 아, 내 병이야 이 임의 탓이로다. 차라리 사라져 범나비가 되리라. 꽃나무 가지마다 간 데 족족 앉고 다니다가 향기가 묻은 날개로 임의 옷에 옮으리라. 임께서야 나인 줄 모르셔도 나는 임을 따르려 하노라. - 임에 대한 충성심
\'사미인곡\'의 결사로 임에 대한 뼈에 사무치는 그리움과 절대로 변하지 않는 사랑의 일념을 노래한 부분으로, 전반부에서는 하루 열 두 때 한 달 설흔 날 한 시도 잊지 못하는 뼈에 사무치는 그리움과 한을 거의 절망에 가까운 탄식으로 노래를 했고, 후반부에서는 이러한 그리움과 한을 영혼으로 승화시켜 죽어 범나비가 되어서라도 영원히 임을 따르겠다는 강렬한 집념을 표현하였다. 이 집념이 바로 충신의 불변의 충성을 뜻하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는 일이다. 고려 때의 정과정을 연원으로 하여 조선 성종 때 조위의 만분가를 거쳐 온 충신연군지사는 송강의 \'사미인곡\'에 이르면 이렇듯 농염한 한 사랑의 노래로 변하여 격조 높은 문학 작품이 된 것이다.
4. 감상
이 작품은 고등학교 때 처음 접해 보았던 작품이다. 정철이 동인들에게 탄핵을 받아 귀양갔을 당시 쓴 작품으로써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그리움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솔직히 난 이 글을 읽고 감동받은 기억은 없다. 내 목숨을 다해 보필할 그런 주군이 없기 때문이다. 나도 삼국시대나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태어났다면 내 목숨을 바칠 주군을 만나 평생 보필하면서 살아갔을 것이다. 요즘 세상은 모든 사람과 경쟁을 하는 시대이다. 심지어 친구 간에도 경쟁하는 세상이 되어버렸다. 옛날에도 그랬겠지만 요즘은 더욱 심화되었다. 정철 같은 지조와 절개를 지닌 사람이 된다면 꿋꿋이 현실에 맞서 싸울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