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후대로 넘어오면서 점차 악령의 의미로 활용되게 되었다. 따라서 일본의 오니는 부정적인 의미의 신이한 존재라는 점에서 한국의 도깨비와는 다르다. 보통 뿔이 하나 혹은 두 개가 나 있고 어금니는 앞으로 튀어나와 있고, 키는 사람의 두 배나 되는 거구이고 온 몸에 털이 많이 나 있는 괴물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괴기스러운 형상 역시 한국의 도깨비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우리 도깨비는 이웃집 아저씨와 같은 친근하고 소박한 이미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순박하면서 친근함이 넘치는 존재
원래 신이한 존재들은 인간에게는 없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 위에 군림하는 경우가 많다. 인간의 길흉화복을 좌지우지하는 힘이 인간으로 하여금 경외감을 불러 일으키게 하는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도깨비의 경우는 좀 다르다.
가난하게 살던 과부에게 어느날 도깨비가 나타나 일을 도와주었다. 결국 나중에는 정까지 통하게 되었다. 그리고 과부에게 많은 금은보화를 주어 부자가 되게 해 주었다. 부자가 되자, 과부는 딴 생각이 들었다. 도깨비에게 은근히 제일 싫어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순순히 백말피라고 말해주었다. 과부는 자기는 돈이 이 세상에서 제일 싫다고 말했다. 도깨비가 나간 사이에 백말피를 구해다가 울타리에 칠해 놓았다. 도깨비가 돌아오다가 말피를 보고 놀라 도망치면서 과부집 마당에 돈을 하나 가득 던져 놓고 갔다고 한다.
가난하게 사는 과부에게 많은 금은보화를 가져다주어 부자로 만들어 줄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지닌 도깨비가 어이없게도 과부에게 당해서 쫓겨나는 신세가 되었다. 더군다나 돈을 제일 싫어한다는 과부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어 쫓겨나면서까지 되레 과부에게 당하는 모습은 우리가 알고 있는 여느 신이한 존재와는 다른 모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이야기 속에서 우리 도깨비가 가지고 있는 순박한 일면을 읽을 수 있다. 우리에게 도깨비가 신이한 존재이면서도 동시에 친근한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의 도깨비는 순박하면서도 친근함이 넘치는 존재이다. 돈을 빌려가 갚으면서 갚았다는 사실 자체를 잊어먹고 계속해서 갚아서 결국 그 사람을 부자로 만들어 주었다는 이야기나 노래를 잘하는 것은 노래 주머니인 혹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말을 곧이곧대로 믿고 혹을 떼어주었다는 이야기 속에서도 도깨비의 이러한 순박한 성격이 잘 드러나 있다고 하겠다. 도깨비를 부르는 말로 ‘김서방’, ‘할미’, ‘할배’, ‘각시’, ‘총각’ 등이 자주 나타나는 것도 우리 도깨비의 순박함 혹은 친근함을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견주어 볼 수 있는 다른 나라의 이물(異物)들
러시아의 도모보이(Domovoj), 레쉬(Leshij), 바바야가(Baba-jaga), 독일의 룸펠쉬틸쯔헨(Rumpelstilzchen), 하인ζ맨헨(Heinzelmannch- en), 코볼트(Kobold), 아일랜드의 레프러콘(Leprechaun), 푸카(Pooka), 영국의 홉고블린(Hob goblin), 로빈 굿펠로우(Robin Goodfellow), 북유럽의 드워프, 그리스의 헤파이스토스(Hephaistos) 등도 흔히 우리의 도깨비와 비교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 도깨비만큼 순박하거나 친근한 존재는 아니다.(강은해, 한국난타의 원형-두두리 도깨비의 세계, 예림기획, 2003을 보면 이러한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가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출처 : 한국 도깨비의 특징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국의 도깨비), 2003, 한국콘텐츠진흥원)
5. 각 나라의 도깨비
(1) 미얀마의 지옥 전설에 나오는 도깨비
(2)일본의 도깨비 ‘오니’
(3) 중국과 인도의 도깨비
순박하면서 친근함이 넘치는 존재
원래 신이한 존재들은 인간에게는 없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 위에 군림하는 경우가 많다. 인간의 길흉화복을 좌지우지하는 힘이 인간으로 하여금 경외감을 불러 일으키게 하는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도깨비의 경우는 좀 다르다.
가난하게 살던 과부에게 어느날 도깨비가 나타나 일을 도와주었다. 결국 나중에는 정까지 통하게 되었다. 그리고 과부에게 많은 금은보화를 주어 부자가 되게 해 주었다. 부자가 되자, 과부는 딴 생각이 들었다. 도깨비에게 은근히 제일 싫어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순순히 백말피라고 말해주었다. 과부는 자기는 돈이 이 세상에서 제일 싫다고 말했다. 도깨비가 나간 사이에 백말피를 구해다가 울타리에 칠해 놓았다. 도깨비가 돌아오다가 말피를 보고 놀라 도망치면서 과부집 마당에 돈을 하나 가득 던져 놓고 갔다고 한다.
가난하게 사는 과부에게 많은 금은보화를 가져다주어 부자로 만들어 줄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지닌 도깨비가 어이없게도 과부에게 당해서 쫓겨나는 신세가 되었다. 더군다나 돈을 제일 싫어한다는 과부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어 쫓겨나면서까지 되레 과부에게 당하는 모습은 우리가 알고 있는 여느 신이한 존재와는 다른 모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이야기 속에서 우리 도깨비가 가지고 있는 순박한 일면을 읽을 수 있다. 우리에게 도깨비가 신이한 존재이면서도 동시에 친근한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의 도깨비는 순박하면서도 친근함이 넘치는 존재이다. 돈을 빌려가 갚으면서 갚았다는 사실 자체를 잊어먹고 계속해서 갚아서 결국 그 사람을 부자로 만들어 주었다는 이야기나 노래를 잘하는 것은 노래 주머니인 혹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말을 곧이곧대로 믿고 혹을 떼어주었다는 이야기 속에서도 도깨비의 이러한 순박한 성격이 잘 드러나 있다고 하겠다. 도깨비를 부르는 말로 ‘김서방’, ‘할미’, ‘할배’, ‘각시’, ‘총각’ 등이 자주 나타나는 것도 우리 도깨비의 순박함 혹은 친근함을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견주어 볼 수 있는 다른 나라의 이물(異物)들
러시아의 도모보이(Domovoj), 레쉬(Leshij), 바바야가(Baba-jaga), 독일의 룸펠쉬틸쯔헨(Rumpelstilzchen), 하인ζ맨헨(Heinzelmannch- en), 코볼트(Kobold), 아일랜드의 레프러콘(Leprechaun), 푸카(Pooka), 영국의 홉고블린(Hob goblin), 로빈 굿펠로우(Robin Goodfellow), 북유럽의 드워프, 그리스의 헤파이스토스(Hephaistos) 등도 흔히 우리의 도깨비와 비교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 도깨비만큼 순박하거나 친근한 존재는 아니다.(강은해, 한국난타의 원형-두두리 도깨비의 세계, 예림기획, 2003을 보면 이러한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가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출처 : 한국 도깨비의 특징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국의 도깨비), 2003, 한국콘텐츠진흥원)
5. 각 나라의 도깨비
(1) 미얀마의 지옥 전설에 나오는 도깨비
(2)일본의 도깨비 ‘오니’
(3) 중국과 인도의 도깨비
추천자료
동화를 활용한 초등학교에서의 영어지도에 대하여
동화/동시/동극(그림자극)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문학작품을 소개하는 활동을 계획 및 구성...
전래동화의 특성과 문학적 가치
아동문학 장르 중 동화에서 전래동화의 종류에 대해 서술하고 전래동화가 유아들에게 어떤 영...
최근 EBS에서 방영되고 있는 통합어린이 프로그램을 2개 이상 시청하고 첫째, 각 프로그램 활...
유아문학의 개념과 목표
전래동화의 문학적 가치
[아동문학]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전래동화를 읽고 아동 발달적, 교육적 의미와 중요성에 따...
전래동화와 환상동화의 텍스트를 소개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