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주석에 대한 비교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용 주석에 대한 비교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용????의 성립과 주자의 해석
1) ????중용????의 성립과 특징
2) 한·당 유가(儒家)의 ????중용???? 해석
3) 주자의 ????중용???? 해석

2. 회재의 ????중용구경연의????의 분석
1) ????중용구경연의????의 체재
(1) 저술 동기와 목적
(2) ????중용구경연의????의 체재와 편차
2) ????중용구경연의????의 내용
(1) 군주의 경세론
(2) 군주의 인정론

3. ????중용???? 주석에 대한 비교 고찰
1) 주자와 회재의 ????중용???? 해석의 차이
2) 회재의 ????중용???? 주석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으로 보완했다. 주자는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의 관계를 음양은 일기(一氣)일 뿐이라는 이정의 논리로써 설명하고 있다. 용(庸)과 이(理)는 평상의 이로서 중(中)이란 치우치지 않고 의지하지 않으며 과불급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용(庸)은 평상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발(未發)은 인식주체가 인식대상을 접촉하기 이전의 심(心)이며 기발(旣發)은 인식 이후의 심이라고 말한 것이다.
회재도 중용을 공문의 심법을 전수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주자와 같으나 제 20장의 구경을 중심으로 중용을 위치지서로 보고, 군주의 이상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상형을 현실화함으로써 조선에서 요순과 같은 태평성대를 염원하며, 중용구경연의를 지어 명종에게 진언하려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회재는 중용을 제왕의 위치지도에 도움이 되는 책으로 인식하였던 것이다. 이 점이 주자와 다른 독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회의 이러한 시도는 현실 정치에서 크게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뒤에 조선조의 유학이 심성을 위주로 심화·발전해 나가는 데 크게 기여했다.
2) 회재의 중용 주석에 대한 평가
중용구경연의는 중용의 구경에 관해 연역한 것인데, 이렇게 방대한 저술을 남긴 것은 제왕(帝王)학 또는 성(聖)학으로 전개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또한 조선 성리학이 중심으로 나아가는 데 기여한 바가 크다. 중용의 애공문정장에서 공자가 말한 구경 조목의 차서는 수신·존현·친친·경대신·체군신·자서민·내백곤·유원인·회재후 등이고 구경의 의를 부연 설명하여 치도의 요체로서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그런데 불행히도 이 중용구경연의의 완결을 보지 못하고 생애를 마치게 되어 경대신 이하는 완성하지 못하고 말았지만, 회재의 경학사상을 집대성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회재의 경학사상은 인을 핵심으로 하는 유교적 인본주의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또한 그것은 집권자인 훈척들의 민중에 대한 가렴주구를 비판하고, 비록 한계가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민중들의 편에 서서 이들의 권익을 옹호하고 있었던 당시 사림파의 정치적 입장과 연결되는 것이다. 회재의 중용구경연의는 바로 이른바 제왕지학으로써 이상적인 군주상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정(仁政)은 사림파가 지향하는 도학정치로 파악하고 있다. 이러한 인정을 통하여 백성의 안정을 강조한 것은 제왕학으로서 전개되었으며 그 후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와 율곡 이이의 성학집요로 발전되었고, 조선 중기 이후 심성론으로 전개되는 계기가 되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2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1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