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르고, 메주의 주름 부분은 펜으로 그려 생동감있게 표현한다. 그 뒤 종이노끈을 본드로 붙여서 메주끈을 표현한다. 뒷면에는 찍찍이(까슬이)를 붙이고 홈질한다.)
11. 시골쥐네 집 배경 항아리 (융판동화용)
(갈색 부직포를 크기에 맞게 자른 뒤, 항아리 뒷면에 찍찍이(까슬이)를 붙이고 홈질한다. 뚜껑은 본드를 이용하여 붙이고, 색연필을 이용하여 명암을 넣어 항아리의 생동감을 표현한다.)
12. 시골쥐네 집 배경 밥상 (융판동화용)
(밥상은 위의 항아리를 만드는 법과 동일하다.)
13. 서울쥐네 집 배경 TV, 테이블 (융판동화용)
(각 색깔에 맞게 펠트지를 오리고, 본드로 붙인다. 뒷면에는 찍찍이(까슬이)를 붙인다.)
14. 서울쥐네 집 배경 창문 (융판동화용)
(위 서울쥐네 배경을 만드는 방법과 동일하다.)
15. 시골쥐의 조끼 (동극용)
(부직포를 크기에 맞게 오리고, 주머니는 윗부분을 제외하고 테두리부분을 본드로 붙인다. 윗 주머니는 뚜껑은 뜯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박음질하여 부착한다. 주머니의 홈질 모양은 펜으로 그린다. 조끼의 어깨 부분은 버튼홀스티치로 연결하고, 아래 부분은 동극시 쉽게 입고 벗을 수 있도록 왼쪽과 오른쪽을 똑딱단추로 연결한다.)
16. 서울쥐의 나비넥타이 (동극용)
(빨간색 펠트지를 리본모양으로 만들어서 바느질하여 만든다. 고무줄은 크기에 맞게 잘라 리본과 바느질로 연결한다)
17. 머리띠
(부직포를 오리고, 가운데에 찍찍이(보슬이)를 붙인뒤 홈질한다. 양 끝에는 고무줄을 바느질로 연결한다.)
교재·교구 제작 시 유의점
-융판 동화가 끝난 뒤 동극을 할 것이므로 융판 동화에 사용했던 등장인물의 얼굴부분은 몸통과 탈부착을 할 수 있도록 똑딱단추를 활용하여 제작한다. 융판 동화가 끝난 뒤 등장인물의 얼굴 부분은 동극시 유아의 머리띠에 붙일 수 있도록 한다.
-각 교구에 붙은 벨크로테이프가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바느질을 하거나 본드를 사용하여 교구에 완전히 붙을 수 있도록 한다.
교재·교구 활용방법
-융판 동화에는 얼굴부분과 몸통부분을 연결한 등장인물, 각 시골 쥐의 집과 서울 쥐의 집 배경을 사용한다.
-동극을 할 때에는 융판 동화에 사용했던 등장인물의 얼굴과 몸통을 분리하여 얼굴부분을 유아의 머리띠에 붙여 사용한다.
-머리띠 외에도 시골 쥐를 맡은 유아는 조끼를 입고, 서울 쥐를 맡은 유아는 나비넥타이를 착용하여 좀 더 실감나는 동극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수업평가
최종평가
11. 시골쥐네 집 배경 항아리 (융판동화용)
(갈색 부직포를 크기에 맞게 자른 뒤, 항아리 뒷면에 찍찍이(까슬이)를 붙이고 홈질한다. 뚜껑은 본드를 이용하여 붙이고, 색연필을 이용하여 명암을 넣어 항아리의 생동감을 표현한다.)
12. 시골쥐네 집 배경 밥상 (융판동화용)
(밥상은 위의 항아리를 만드는 법과 동일하다.)
13. 서울쥐네 집 배경 TV, 테이블 (융판동화용)
(각 색깔에 맞게 펠트지를 오리고, 본드로 붙인다. 뒷면에는 찍찍이(까슬이)를 붙인다.)
14. 서울쥐네 집 배경 창문 (융판동화용)
(위 서울쥐네 배경을 만드는 방법과 동일하다.)
15. 시골쥐의 조끼 (동극용)
(부직포를 크기에 맞게 오리고, 주머니는 윗부분을 제외하고 테두리부분을 본드로 붙인다. 윗 주머니는 뚜껑은 뜯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박음질하여 부착한다. 주머니의 홈질 모양은 펜으로 그린다. 조끼의 어깨 부분은 버튼홀스티치로 연결하고, 아래 부분은 동극시 쉽게 입고 벗을 수 있도록 왼쪽과 오른쪽을 똑딱단추로 연결한다.)
16. 서울쥐의 나비넥타이 (동극용)
(빨간색 펠트지를 리본모양으로 만들어서 바느질하여 만든다. 고무줄은 크기에 맞게 잘라 리본과 바느질로 연결한다)
17. 머리띠
(부직포를 오리고, 가운데에 찍찍이(보슬이)를 붙인뒤 홈질한다. 양 끝에는 고무줄을 바느질로 연결한다.)
교재·교구 제작 시 유의점
-융판 동화가 끝난 뒤 동극을 할 것이므로 융판 동화에 사용했던 등장인물의 얼굴부분은 몸통과 탈부착을 할 수 있도록 똑딱단추를 활용하여 제작한다. 융판 동화가 끝난 뒤 등장인물의 얼굴 부분은 동극시 유아의 머리띠에 붙일 수 있도록 한다.
-각 교구에 붙은 벨크로테이프가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바느질을 하거나 본드를 사용하여 교구에 완전히 붙을 수 있도록 한다.
교재·교구 활용방법
-융판 동화에는 얼굴부분과 몸통부분을 연결한 등장인물, 각 시골 쥐의 집과 서울 쥐의 집 배경을 사용한다.
-동극을 할 때에는 융판 동화에 사용했던 등장인물의 얼굴과 몸통을 분리하여 얼굴부분을 유아의 머리띠에 붙여 사용한다.
-머리띠 외에도 시골 쥐를 맡은 유아는 조끼를 입고, 서울 쥐를 맡은 유아는 나비넥타이를 착용하여 좀 더 실감나는 동극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수업평가
최종평가
키워드
추천자료
유치원 교사 교육
유아교육 교구 계획안
아동 유아 교재·교구 제작계획안 - 만 5세 - 나와 친구 - 네가 있어 난 행복해 동화 듣기
아동 유아 교재·교구 제작계획안 - 만 5세 - 수업행동분석실 - 시골쥐와 서울쥐 - 가을
아동 유아 교재·교구 제작계획안 - 세계 여러나라 - 만 5세 - 일곱마리 눈 먼 생쥐 - 인도의 ...
아동 유아 교재·교구 제작계획안 - 가을 - 만 5세 - 커다란 순무 - 동화 - 사회관계영역
아동 유아 교재·교구 제작계획안 - 겨울 - 만 5세 - 동화 - 곰 세 마리와 금발머리 - 동화구...
아동 유아 교재·교구 제작계획안 - 건강과 안전 - 만 5세 - 더 놀다 잘거야 - 동화
아동 유아 교재·교구 제작계획안 - 나와 친구 - 만 5세 - 네가 있어 난 행복해 - 동화 놀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