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를 파악할 수 있다.
3) 문제행동의 지도방법 및 계획하기
선정된 문제행동 수정을 위해 어떤 원리와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소멸기 법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에 대해 무관심하게 대할지를 계획해야 한다.
4) 문제행동지도의 실행과 결과에 대한 평가
문제행동지도는 계획대로 실행해야하며 실행과정에서 지속적인 관찰을 해야 기초선 지료 와 비교해 수행한 방법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9. 이런 문제행동, 이렇게 대처해 보세요.
(각 문제행동 당 두 가지씩 발표 할 것이므로 나머지 자세한 항목은 책을 보고 공부하십시오.)
1) 기본생활습관과 관련된 문제행동
(1)편식
-식사하는 동안의 환경을 쾌적하게 만들어주고, 적절한 식사행동을 강화해주도록 한다. 식단에 나와 있는 모든 음식들의 맛을 보면 스티커를 붙여 보상해주는 방법을 사용해볼 수 있다. 또한 아동이 편식을 할 때에는 냉담하게 대하는 방법도 있다.
(2)배변문제
-유아에게 화장실에 갈 것을 자주 상기시키고, 혼자 화장실에 가는 행동을 할 때 칭찬을 해주도록 한다. 유아가 오줌을 쌌을 때 신경 쓰지 말고 무관심하게 대하도록 한다.
2)사회성과 관련된 문제행동
(1)의사소통 문제
-말하는 것을 격려해 주고, 관심을 끌기 위해 비언어적 시도를 할 때는 무시하도록 한다.
(2)위축
-다른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해주고,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다른 유아를 격려해 준다. 또한 체계적으로 사회적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관심을 얻으려고 혼자 있으려 할 때는 관심을 주지 않도록 한다.
3)집단활동과 관련된 문제행동
(1)집단활동 방해하기
-유아의 흥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집단활동 시간을 평가하고 재구성해 준다. 적절한 집단행동은 강화해주고, 유아가 방해되는 활동을 하면 경고하고 계속한다면 집단에서 이탈 시킨다. 또한 유아가 집단활동에서 잘 행동하고 있는 것에 대해 어른들이 얼마나 기뻐하는지를 주기적으로 알려주도록 한다.
(2)집단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행동
-집단활동에 참여하도록 체계적인 점진적 강화방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때는 무시한다.
4)파괴적 행동
(1)물건 부수기
-가능한 한 물건을 부수지 못하도록 사전에 예방하고, 물건을 조심스럽게 다루면 칭찬해 준다. 또한 물건이나 놀잇감을 부수고 싶은 충동 통제방법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도록 하고, 유아가 물건이나 놀잇감을 부수면 타임아웃 방법을 사용해 보도록 한다.
(2)다른 유아들을 다치게 하기
-가능한 모든 공격적 상황을 사전에 예방하고, 모든 긍정적 상호작용을 칭찬해 준다. 유아가 다른 아이들을 다치게 하려는 충동을 통제하도록 체계적으로 가르치도록 하고, 남을 다치게 하면 타임아웃을 사용해본다.
5)의존적 행동
(1)화내기
-유아가 화를 내면 무시하고, 적절한 행동을 자주 강화해 준다. 또한 감정적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대안을 찾도록 도와준다.
(2)징징거리기
-처음에는 징징거릴 때마다 부모의 기대를 이야기 해주고, 징징거리는 행동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표현을 조금씩 줄여나가도록 한다. 징징거리지 않는 행동에 대해 칭찬횟수도 줄여서 징징거리지 않고 말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6)공격적 행동
(1)욕하기
-유아가 욕하는 것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얘기해주고 앞으로 욕하는 것을 어떻게 다룰지 말해준다. 욕하면 무시하고 가능한 한 사전에 예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욕하지 않는 시간을 체계적으로 강화해 준다.
(2)물건 던지기
-가능하면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고, 분노나 좌절을 다루는 다른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가르침으로써 물건을 던지는 대신 할 수 있는 대안을 가르쳐주도록 한다. 물건을 던지면 타임아웃을 사용한다.
3) 문제행동의 지도방법 및 계획하기
선정된 문제행동 수정을 위해 어떤 원리와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소멸기 법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에 대해 무관심하게 대할지를 계획해야 한다.
4) 문제행동지도의 실행과 결과에 대한 평가
문제행동지도는 계획대로 실행해야하며 실행과정에서 지속적인 관찰을 해야 기초선 지료 와 비교해 수행한 방법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9. 이런 문제행동, 이렇게 대처해 보세요.
(각 문제행동 당 두 가지씩 발표 할 것이므로 나머지 자세한 항목은 책을 보고 공부하십시오.)
1) 기본생활습관과 관련된 문제행동
(1)편식
-식사하는 동안의 환경을 쾌적하게 만들어주고, 적절한 식사행동을 강화해주도록 한다. 식단에 나와 있는 모든 음식들의 맛을 보면 스티커를 붙여 보상해주는 방법을 사용해볼 수 있다. 또한 아동이 편식을 할 때에는 냉담하게 대하는 방법도 있다.
(2)배변문제
-유아에게 화장실에 갈 것을 자주 상기시키고, 혼자 화장실에 가는 행동을 할 때 칭찬을 해주도록 한다. 유아가 오줌을 쌌을 때 신경 쓰지 말고 무관심하게 대하도록 한다.
2)사회성과 관련된 문제행동
(1)의사소통 문제
-말하는 것을 격려해 주고, 관심을 끌기 위해 비언어적 시도를 할 때는 무시하도록 한다.
(2)위축
-다른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해주고,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다른 유아를 격려해 준다. 또한 체계적으로 사회적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관심을 얻으려고 혼자 있으려 할 때는 관심을 주지 않도록 한다.
3)집단활동과 관련된 문제행동
(1)집단활동 방해하기
-유아의 흥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집단활동 시간을 평가하고 재구성해 준다. 적절한 집단행동은 강화해주고, 유아가 방해되는 활동을 하면 경고하고 계속한다면 집단에서 이탈 시킨다. 또한 유아가 집단활동에서 잘 행동하고 있는 것에 대해 어른들이 얼마나 기뻐하는지를 주기적으로 알려주도록 한다.
(2)집단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행동
-집단활동에 참여하도록 체계적인 점진적 강화방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때는 무시한다.
4)파괴적 행동
(1)물건 부수기
-가능한 한 물건을 부수지 못하도록 사전에 예방하고, 물건을 조심스럽게 다루면 칭찬해 준다. 또한 물건이나 놀잇감을 부수고 싶은 충동 통제방법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도록 하고, 유아가 물건이나 놀잇감을 부수면 타임아웃 방법을 사용해 보도록 한다.
(2)다른 유아들을 다치게 하기
-가능한 모든 공격적 상황을 사전에 예방하고, 모든 긍정적 상호작용을 칭찬해 준다. 유아가 다른 아이들을 다치게 하려는 충동을 통제하도록 체계적으로 가르치도록 하고, 남을 다치게 하면 타임아웃을 사용해본다.
5)의존적 행동
(1)화내기
-유아가 화를 내면 무시하고, 적절한 행동을 자주 강화해 준다. 또한 감정적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대안을 찾도록 도와준다.
(2)징징거리기
-처음에는 징징거릴 때마다 부모의 기대를 이야기 해주고, 징징거리는 행동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표현을 조금씩 줄여나가도록 한다. 징징거리지 않는 행동에 대해 칭찬횟수도 줄여서 징징거리지 않고 말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6)공격적 행동
(1)욕하기
-유아가 욕하는 것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얘기해주고 앞으로 욕하는 것을 어떻게 다룰지 말해준다. 욕하면 무시하고 가능한 한 사전에 예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욕하지 않는 시간을 체계적으로 강화해 준다.
(2)물건 던지기
-가능하면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고, 분노나 좌절을 다루는 다른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가르침으로써 물건을 던지는 대신 할 수 있는 대안을 가르쳐주도록 한다. 물건을 던지면 타임아웃을 사용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