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김광규
2. 정진규
3. 김정란
2. 정진규
3. 김정란
본문내용
소용돌이 속에서 생존 그 자체가 급선무였던 시기이며, 후반은 전후 복구와 앞으로의 민족적 지향성(정통성)을 확립하는 것이 과제였던 시기였다.
▶문총구국대-6.25동란이 발발하자 문인들은 이에 격시를 쓰고,피난길에 <문총구국대>를 편성 활약함
▶ 1930 1951 오늘날
주지주의.이미지즘-김기림,정지용,김광균,장만영 후반기 동인
초현실주의.심리주의-이상 (부산 피난지)
모더니즘 신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後半期> 동인-1951년 피난지 부산에서 조직됨. 1930년대 모더니즘의 감각과 기법을 보다 직접적으로 받아들임.
작가-박인환.조향.이봉래.김차영.김규동(김기림제자.50년대 모더니즘 시운동)
김규동의 모더니즘 시론은 청록팔류의 보수적이며 정태적인 서정시에 대한 정면 비판으로 시사적의의→논리와 자가당착적인 면을 보인 것은 한계였다.
▶박재삼-김소월(누님)과 김영랑(춘향)을 이어주고 자기만의 독특한 시세계(恨의 정서.남평 윤씨). 대표작은 「울음이 타는 가을강」
*韓國文學은 (여인의) 恨의 정서의 문학이다. 패미니즘도 恨의 정서.
▶50년대 중반을 전후한 중요한 정치적 사건-사사오입개헌(54),「대구매일신문」피습사건 (55),장면부통령 저격사건(56),보안법 파동(58),「경향신문」폐간(59)그리고 3.15부정선거(60) 등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독재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사건들로서 급기야 4.19혁명을 촉발하는 계기가 된다.
1960年代
▶순수참여와 다극화시대
▶썩은 정치에의 반발(4.19-60年, 5.16-61年).
▶60년대의 의미-좌우이데올로기의 격심한 대립으로 극도의 혼란을 빚었던 해방공간과 6.25의 비극적 체험을 겪고난 뒤, 사회역사적 현실을 정신사적으로,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심도있게 극복해가는 자리에 60년대 시가 놓여 있었음을 의미.
①참여냐 순수냐의 갈등
작가는 영원한 아웃사이더.(관찰자)
②난해시의 등장-소위 모더니즘 계열의 시들(30년대 모더니즘에 비해 매우 난해)
③갖가지 실험을 시도
④시조문학의 전성기
⑤작가의 전성시대(숫적으로)
▶참여시 또는 민중시의 전개
우리나라는 특성상 참여시가 민중시의 경향
참여시-어떤 목적을 위해서 쓰여진 시
민중시-노동자,농민(프로레타리아계급들),민중의 생활과 관점으로 쓰여진 시
문학성은 미흡
신동문「아 神話같이 다비데群들」-희랍神話中 나오는 무리.십자군 비슷한
신동엽「껍데기는 가라」-4.19정신
↘60년대 중반 이후-산업사회로 접어들며, 시인들이 소외계층에 눈을 뜸
김광섭「성북동비둘기」-소외된 소시민의 애환
이성부「이빨」「벼」-민중의 의지와 자기긍정세계를 노래
「전라도」-피해받고 굶주린 전라도인을 한국 전체의 소외계층으로 확대
-새로운 참여시의 대표작으로 평가
신경림-「農舞」계열의 농민시를 예고
-「파장」참여시는 참여시인데 시로서도 성공한 작품(대개의 참여시가
시적인 형상을 이루지 못한데 반하여)
▶언어실험과 순수시
김구용의 「三曲」(64)-이미지의 자유연상적 결합,서술자의 기이한 체험들, 대담한
성적묘사 등으로 장시를 실험. 순수시의 지배적 경향인<의식의 내면화>를 전형적
으로 보여줌.
김춘수「처용단장」(69현대시학창간호) 무의미시의 탐구→이승훈에게<비대상시>로
계승된다(관념 무의식)
현대시 동인-허만하, 주문돈,김규태,마종기,김영태,이승훈,박의상,이수익,오세영
등은 수수께기, 가짜의 모호성, 부정직함의 비난과 좌시를 받으며 70년대에 극복의
주된 대상이 됨.
정현종-60년대의 대표적인 언어파 시인(연대 국문과)
1970年代
▶70년대의 한국시
▶1970年代 詩
김수영류의 참여시(리얼리즘)-신경림.이성부 →①
김춘수류의 무의미시, 비대상시(모더니즘)-이승훈. 오규원 →②
①민중적 감수성(참여)②도시적 감수성(순수)③전통적 감수성(서정주,박목월류-전통지속)
①, ②, ③의 토대(내용,주제)에는 산업사회가 밑바탕에 깔림.
▶70年代 시의 민중적 감수성(김수영류의 참여시)
김지하-민요와 풍자정신의 결합(「五賊」),나아가 비판적 감수성
대표작:「저문강에 삽을 씻고」-시를 위한 데모. 문학성도 뛰어남
작가:이시영(69)김지하(69)정희성(70)김준태(69)양성우(70)→감옥살이 많이함
▶70年代 시의 도시적 감수성(김춘수류)
민중적 감수성(김수영류의 참여시)을 보여주는 새세대 시인들이 민중이데올로기,
곧 소시민적 한계자각,민중적토대지향, 반민중적 세력에의 공격이라는 이데올로기에
지나치게 지배당하는데 반해 도시적감수성류(김춘수류)는 그런 이데올로기로부터
한결 자유로운 상태에서 산업시대의 모순을 형상화 한다.
작가:감태준(72)정호승(72)김승희(73)이하석(71)김광규(75)이성복(77)최승호(77)장석주(75)
▶70年代 시의 전통적 감수성
보수적인 경향. 변혁의 의지보다 계승하려는 의지의 작가들
작가:김화영(66)박정만(68,고인)신대철(68)강은교(68)조정권(70)이성선(70)나태주(71)
권달웅(75)
1980年代
▶80년대 한국시의 비평적 성찰
▶탄압시대인 5공시절/ 88년 종반기 해금시대로 요약
-해금: 국제 ‘팬클럽’ 이 해금요구자 170명 명단통보와 올림픽 불참선언(6.29선언→해금)
해금제외: 홍명희
▶詩-무크지를 중심활동(광주의 5월과 연관되어나타남)「실천문학」/「시운동」「시와경제」
서정시-민중지향
노동자시-실험적 작품들(강한 시대적 저항)
▶80년대 시인들과 그 특성
무크지는 이념지향성을 지니며 구체적으로는 민중지향성을 지님(밑바탕-광주지향)
작가 ①실험시 운동-이윤택, 박남철, 황지우, 김영승<낯설게 하기>
②민중시 운동-김남주,김정환,채광석,(박노해)
③도시적 상상력의 자유로움 추구-최승호,하재봉,박덕규,정한용
④서정시 계열-김용범,김선굉,박상천
⑤민중성과 서정성을 조화시키려 노력-박태일,오태환,정일근,안도현
▶84년 노동자 시인 박노해가 「노동의 새벽」발간-민중시 운동에 획기적인 전환
▶최승호「공장지대」-환경공해와 그것으로 인한 인간파괴 현상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를 제시한다(산업현장의 수은 중독증으로 인한 ‘무뇌아’의 탄생을 충격적으로 나타냄)
▶문총구국대-6.25동란이 발발하자 문인들은 이에 격시를 쓰고,피난길에 <문총구국대>를 편성 활약함
▶ 1930 1951 오늘날
주지주의.이미지즘-김기림,정지용,김광균,장만영 후반기 동인
초현실주의.심리주의-이상 (부산 피난지)
모더니즘 신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後半期> 동인-1951년 피난지 부산에서 조직됨. 1930년대 모더니즘의 감각과 기법을 보다 직접적으로 받아들임.
작가-박인환.조향.이봉래.김차영.김규동(김기림제자.50년대 모더니즘 시운동)
김규동의 모더니즘 시론은 청록팔류의 보수적이며 정태적인 서정시에 대한 정면 비판으로 시사적의의→논리와 자가당착적인 면을 보인 것은 한계였다.
▶박재삼-김소월(누님)과 김영랑(춘향)을 이어주고 자기만의 독특한 시세계(恨의 정서.남평 윤씨). 대표작은 「울음이 타는 가을강」
*韓國文學은 (여인의) 恨의 정서의 문학이다. 패미니즘도 恨의 정서.
▶50년대 중반을 전후한 중요한 정치적 사건-사사오입개헌(54),「대구매일신문」피습사건 (55),장면부통령 저격사건(56),보안법 파동(58),「경향신문」폐간(59)그리고 3.15부정선거(60) 등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독재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사건들로서 급기야 4.19혁명을 촉발하는 계기가 된다.
1960年代
▶순수참여와 다극화시대
▶썩은 정치에의 반발(4.19-60年, 5.16-61年).
▶60년대의 의미-좌우이데올로기의 격심한 대립으로 극도의 혼란을 빚었던 해방공간과 6.25의 비극적 체험을 겪고난 뒤, 사회역사적 현실을 정신사적으로,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심도있게 극복해가는 자리에 60년대 시가 놓여 있었음을 의미.
①참여냐 순수냐의 갈등
작가는 영원한 아웃사이더.(관찰자)
②난해시의 등장-소위 모더니즘 계열의 시들(30년대 모더니즘에 비해 매우 난해)
③갖가지 실험을 시도
④시조문학의 전성기
⑤작가의 전성시대(숫적으로)
▶참여시 또는 민중시의 전개
우리나라는 특성상 참여시가 민중시의 경향
참여시-어떤 목적을 위해서 쓰여진 시
민중시-노동자,농민(프로레타리아계급들),민중의 생활과 관점으로 쓰여진 시
문학성은 미흡
신동문「아 神話같이 다비데群들」-희랍神話中 나오는 무리.십자군 비슷한
신동엽「껍데기는 가라」-4.19정신
↘60년대 중반 이후-산업사회로 접어들며, 시인들이 소외계층에 눈을 뜸
김광섭「성북동비둘기」-소외된 소시민의 애환
이성부「이빨」「벼」-민중의 의지와 자기긍정세계를 노래
「전라도」-피해받고 굶주린 전라도인을 한국 전체의 소외계층으로 확대
-새로운 참여시의 대표작으로 평가
신경림-「農舞」계열의 농민시를 예고
-「파장」참여시는 참여시인데 시로서도 성공한 작품(대개의 참여시가
시적인 형상을 이루지 못한데 반하여)
▶언어실험과 순수시
김구용의 「三曲」(64)-이미지의 자유연상적 결합,서술자의 기이한 체험들, 대담한
성적묘사 등으로 장시를 실험. 순수시의 지배적 경향인<의식의 내면화>를 전형적
으로 보여줌.
김춘수「처용단장」(69현대시학창간호) 무의미시의 탐구→이승훈에게<비대상시>로
계승된다(관념 무의식)
현대시 동인-허만하, 주문돈,김규태,마종기,김영태,이승훈,박의상,이수익,오세영
등은 수수께기, 가짜의 모호성, 부정직함의 비난과 좌시를 받으며 70년대에 극복의
주된 대상이 됨.
정현종-60년대의 대표적인 언어파 시인(연대 국문과)
1970年代
▶70년대의 한국시
▶1970年代 詩
김수영류의 참여시(리얼리즘)-신경림.이성부 →①
김춘수류의 무의미시, 비대상시(모더니즘)-이승훈. 오규원 →②
①민중적 감수성(참여)②도시적 감수성(순수)③전통적 감수성(서정주,박목월류-전통지속)
①, ②, ③의 토대(내용,주제)에는 산업사회가 밑바탕에 깔림.
▶70年代 시의 민중적 감수성(김수영류의 참여시)
김지하-민요와 풍자정신의 결합(「五賊」),나아가 비판적 감수성
대표작:「저문강에 삽을 씻고」-시를 위한 데모. 문학성도 뛰어남
작가:이시영(69)김지하(69)정희성(70)김준태(69)양성우(70)→감옥살이 많이함
▶70年代 시의 도시적 감수성(김춘수류)
민중적 감수성(김수영류의 참여시)을 보여주는 새세대 시인들이 민중이데올로기,
곧 소시민적 한계자각,민중적토대지향, 반민중적 세력에의 공격이라는 이데올로기에
지나치게 지배당하는데 반해 도시적감수성류(김춘수류)는 그런 이데올로기로부터
한결 자유로운 상태에서 산업시대의 모순을 형상화 한다.
작가:감태준(72)정호승(72)김승희(73)이하석(71)김광규(75)이성복(77)최승호(77)장석주(75)
▶70年代 시의 전통적 감수성
보수적인 경향. 변혁의 의지보다 계승하려는 의지의 작가들
작가:김화영(66)박정만(68,고인)신대철(68)강은교(68)조정권(70)이성선(70)나태주(71)
권달웅(75)
1980年代
▶80년대 한국시의 비평적 성찰
▶탄압시대인 5공시절/ 88년 종반기 해금시대로 요약
-해금: 국제 ‘팬클럽’ 이 해금요구자 170명 명단통보와 올림픽 불참선언(6.29선언→해금)
해금제외: 홍명희
▶詩-무크지를 중심활동(광주의 5월과 연관되어나타남)「실천문학」/「시운동」「시와경제」
서정시-민중지향
노동자시-실험적 작품들(강한 시대적 저항)
▶80년대 시인들과 그 특성
무크지는 이념지향성을 지니며 구체적으로는 민중지향성을 지님(밑바탕-광주지향)
작가 ①실험시 운동-이윤택, 박남철, 황지우, 김영승<낯설게 하기>
②민중시 운동-김남주,김정환,채광석,(박노해)
③도시적 상상력의 자유로움 추구-최승호,하재봉,박덕규,정한용
④서정시 계열-김용범,김선굉,박상천
⑤민중성과 서정성을 조화시키려 노력-박태일,오태환,정일근,안도현
▶84년 노동자 시인 박노해가 「노동의 새벽」발간-민중시 운동에 획기적인 전환
▶최승호「공장지대」-환경공해와 그것으로 인한 인간파괴 현상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를 제시한다(산업현장의 수은 중독증으로 인한 ‘무뇌아’의 탄생을 충격적으로 나타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