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이랜드의 중국 시장 진출
1. 이랜드의 중국시장 진출 동기
2. 이랜드의 중국시장 진입 방식
3. 이랜드의 중국시장에서의 미래
Ⅱ . 중국 패션시장 현황
1. 중국 패션업계 이슈
2. 중국 패션업계 동향
3. 중국 소비자 동향
Ⅲ . 중국 패션시장 전망
1. 중국 패션 소비 트렌드 전망
2. 중국 패션 시장 전망
-출처
1. 이랜드의 중국시장 진출 동기
2. 이랜드의 중국시장 진입 방식
3. 이랜드의 중국시장에서의 미래
Ⅱ . 중국 패션시장 현황
1. 중국 패션업계 이슈
2. 중국 패션업계 동향
3. 중국 소비자 동향
Ⅲ . 중국 패션시장 전망
1. 중국 패션 소비 트렌드 전망
2. 중국 패션 시장 전망
-출처
본문내용
동남 연해 지역의 생산량은 중국 정체 80% 이상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지만 중국의 중서지역에 위치한 패션기업은 낙후한 상태이다.
중국 내 패션기업간의 경쟁도 낮은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으며 주로 가격과 스타일에서 경쟁이 치열하고 , 대다수 패션기업의 상품판매는 도매시장의 큰 유통을 메인으로 하고 있다.
최근 중국 패션기업의 브랜드 인식이 급부상하고 있지만 중국 패션업계는 현재 제한된 몇 개 중국 유명 브랜드만 있으며, 진정한 글로벌 패션 브랜드라고 하기엔 역부족인 상황으로 주로 낮은 원가 경쟁이 치열하다.
- 외국 브랜드와의 합작 증가 추세 -
SEPTWOLVES, DIPAL, EDENBO, Metersbonwe, TRIES 등 중국 브랜드는 모두 외국 디자이너와 합작을 하여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좌측: 디자이너 Daniel Faret와 합작한 SEPTWOLVES
-우측: 디자이너 Chrisie MacCuish 와 합작한 EDENBO
3. 중국 소비자 동향
- 패션 의식 향상 -
의류 구매 결정 요인이 브랜드, 디자인, 품질, 가격 순으로 디자인과 품질을 가격보다 우위에 두는 등 의류 구매 결정 요인이 변화하였고, 글로벌 브랜드의 선호 증가와 유행성과 선호 브랜드 추구 경향이 확산 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직접 매장상품을 조사하고 가격을 비교할 뿐 아니라 인터넷에서 연구하여 더욱 신중하게 쇼핑을 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09년 까지 인터넷 사용은 39% 증가하였고, 상품 평가 사이트를 방문한 소비자들은 50% 이상 증가하였다.
- 중국 도시와 농촌 인구의 변화에 따른 소비층 변화 -
중국 도시인구 수는 매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농촌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여전히 농촌 인구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Mckinsey & Amp 연구소에서는 현재의 추세로 가면 2025 년에는 10억의 중국 인구가 도시에서 거주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중 500만 이상 인구의 도시가 15개 생성되며 천만 이상 인구의 도시가 8개(북경, 상해,
광주, 심천, 천진, 성도, 충징, 무한) 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 국가 통계국에 의하면 중국인의 의류소비 지출은 꾸준히 증가추세이며, 농촌 인구 소비자의 지출 비중 또한 증가화고 있다.
Ⅲ . 중국 패션시장 전망
1. 중국 패션소비 트렌드 전망
- 온라인 쇼핑 이용자, 증가세 유지 -
iResearch 의 조사에 따르면 2009년 중국 인터넷 의류 쇼핑 이용자는 8,000만명에 달하며 의류는 인터넷 거래량이 가장 많은 품목 중 하나로 자리 잡아 2011년엔 1억 7천만명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의 보급에 따라 택배업계도 업무량이 눈에 띄게 늘어나 2009년 1~8월, 광둥성 택배 업체 업무량은 2억 5500만 건 초과로 전년 동기대비 23.82% 증가 하였다.
소비자들이 쉽고 간편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함에 따라 전통 기업들이 전자상거래에 발을 들여 놓는 추세이다.
- 친환경 패션에 주목 -
중국 소비자들은 “천연”, “친환경”을 내세운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여러 분야의 기업들이 건강, 친환경 이미지를 내세우는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통해 시장에서 더 많은 기회를 확보하고자 하고 있다.
<2010 중국 패션 시장 트렌드 관찰 연구 예측 보고>에 따르면 향후 5년내에 중국 속옷 시장의 확대를 예측하며 , 일반가보다 높은 유기농 제품에 대한 구매의사를 밝힌 소비자들이 증가고 있다.
스포츠 브랜드 <리닝> 은 “ECOCIRCLE" 기술을 중국에 도입하여 재활용 생산 기술로 의류를 생산함과 동시에 내년에는 50여개 매장에 재활용을 실시할 예정이다.
- 패션 명품의 대중화 -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일반 소비자들도 가방이나 액세서리 같은 소품하나 정도는 명품으로 갖고 싶어 하면서 시장의 양분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매스티지(대중화) 전략으로 중국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루이비통은 최근 중국 진출 이후 처음으로 29개 매장에서 모든 제품의 가격을 2~7% 내리는 할인 판매를 단행하는 등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선보였다.
2. 중국 패션 시장 전망
- SPA형 유통이 점차 증가 -
미국의 GAP, 일본의 UNIQLO, 스페인의 ZARA 등이 전형적인 SPA 형이며 소비자들은 갈수록 개성적 패션을 추구하여 일부 소규모 패션 전문점이 생겨나고 최근 중국 의류 시장을 보면, 일부 우수한 중국 브랜드 업체는 이미 직영 체계의 시장전략을 시작하고 있다.
- 젊은 부유 가구의 중가추세 -
2008년 중국의 부유층 가구수는 160만 가구에 도달하였고, 이 수치는 2015년 400만 가구 이상에 다다를 것이며 미국, 일본 , 영국에 이어 네 번째로 부유 가구가 많은 나라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처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부유 가구의 증가 추세는 다양한 범위의 산업에서 소비자 충성도, 지출 습관, 취향을 파악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은 부자의 80%가 45세 이하로, 미국, 일본에 비해 젊은 부자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처럼 구매력이 왕성한 중국의 젊은 부자 소비자들을 타겟으로 하는 기업은 그들의 특성, 취향 들을 분석하고 특정한 요구에 맞추기 위해 마케팅 전략을 손질할 필요가 있다.
출처
100가지 사례로 이해하는 글로벌경영 CASE100 출판사: 두남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09중국 패션시장 분석 및 2010 전망
http://www.kotra.or.kr
http://www.edaily.co.kr/News/World/NewsRead.asp?sub_cd=IF51&newsid=02246806589661040&clkcode=00203&DirCode=00706&OutLnkChk=Y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7&cm=기업··경영%20주요기사 &year=2008&no=196723&selFlag=&relatedcode=000060062&wonNo=&sID=501
http://www.eland.co.kr/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249029
중국 내 패션기업간의 경쟁도 낮은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으며 주로 가격과 스타일에서 경쟁이 치열하고 , 대다수 패션기업의 상품판매는 도매시장의 큰 유통을 메인으로 하고 있다.
최근 중국 패션기업의 브랜드 인식이 급부상하고 있지만 중국 패션업계는 현재 제한된 몇 개 중국 유명 브랜드만 있으며, 진정한 글로벌 패션 브랜드라고 하기엔 역부족인 상황으로 주로 낮은 원가 경쟁이 치열하다.
- 외국 브랜드와의 합작 증가 추세 -
SEPTWOLVES, DIPAL, EDENBO, Metersbonwe, TRIES 등 중국 브랜드는 모두 외국 디자이너와 합작을 하여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좌측: 디자이너 Daniel Faret와 합작한 SEPTWOLVES
-우측: 디자이너 Chrisie MacCuish 와 합작한 EDENBO
3. 중국 소비자 동향
- 패션 의식 향상 -
의류 구매 결정 요인이 브랜드, 디자인, 품질, 가격 순으로 디자인과 품질을 가격보다 우위에 두는 등 의류 구매 결정 요인이 변화하였고, 글로벌 브랜드의 선호 증가와 유행성과 선호 브랜드 추구 경향이 확산 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직접 매장상품을 조사하고 가격을 비교할 뿐 아니라 인터넷에서 연구하여 더욱 신중하게 쇼핑을 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09년 까지 인터넷 사용은 39% 증가하였고, 상품 평가 사이트를 방문한 소비자들은 50% 이상 증가하였다.
- 중국 도시와 농촌 인구의 변화에 따른 소비층 변화 -
중국 도시인구 수는 매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농촌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여전히 농촌 인구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Mckinsey & Amp 연구소에서는 현재의 추세로 가면 2025 년에는 10억의 중국 인구가 도시에서 거주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중 500만 이상 인구의 도시가 15개 생성되며 천만 이상 인구의 도시가 8개(북경, 상해,
광주, 심천, 천진, 성도, 충징, 무한) 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 국가 통계국에 의하면 중국인의 의류소비 지출은 꾸준히 증가추세이며, 농촌 인구 소비자의 지출 비중 또한 증가화고 있다.
Ⅲ . 중국 패션시장 전망
1. 중국 패션소비 트렌드 전망
- 온라인 쇼핑 이용자, 증가세 유지 -
iResearch 의 조사에 따르면 2009년 중국 인터넷 의류 쇼핑 이용자는 8,000만명에 달하며 의류는 인터넷 거래량이 가장 많은 품목 중 하나로 자리 잡아 2011년엔 1억 7천만명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의 보급에 따라 택배업계도 업무량이 눈에 띄게 늘어나 2009년 1~8월, 광둥성 택배 업체 업무량은 2억 5500만 건 초과로 전년 동기대비 23.82% 증가 하였다.
소비자들이 쉽고 간편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함에 따라 전통 기업들이 전자상거래에 발을 들여 놓는 추세이다.
- 친환경 패션에 주목 -
중국 소비자들은 “천연”, “친환경”을 내세운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여러 분야의 기업들이 건강, 친환경 이미지를 내세우는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통해 시장에서 더 많은 기회를 확보하고자 하고 있다.
<2010 중국 패션 시장 트렌드 관찰 연구 예측 보고>에 따르면 향후 5년내에 중국 속옷 시장의 확대를 예측하며 , 일반가보다 높은 유기농 제품에 대한 구매의사를 밝힌 소비자들이 증가고 있다.
스포츠 브랜드 <리닝> 은 “ECOCIRCLE" 기술을 중국에 도입하여 재활용 생산 기술로 의류를 생산함과 동시에 내년에는 50여개 매장에 재활용을 실시할 예정이다.
- 패션 명품의 대중화 -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일반 소비자들도 가방이나 액세서리 같은 소품하나 정도는 명품으로 갖고 싶어 하면서 시장의 양분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매스티지(대중화) 전략으로 중국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루이비통은 최근 중국 진출 이후 처음으로 29개 매장에서 모든 제품의 가격을 2~7% 내리는 할인 판매를 단행하는 등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선보였다.
2. 중국 패션 시장 전망
- SPA형 유통이 점차 증가 -
미국의 GAP, 일본의 UNIQLO, 스페인의 ZARA 등이 전형적인 SPA 형이며 소비자들은 갈수록 개성적 패션을 추구하여 일부 소규모 패션 전문점이 생겨나고 최근 중국 의류 시장을 보면, 일부 우수한 중국 브랜드 업체는 이미 직영 체계의 시장전략을 시작하고 있다.
- 젊은 부유 가구의 중가추세 -
2008년 중국의 부유층 가구수는 160만 가구에 도달하였고, 이 수치는 2015년 400만 가구 이상에 다다를 것이며 미국, 일본 , 영국에 이어 네 번째로 부유 가구가 많은 나라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처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부유 가구의 증가 추세는 다양한 범위의 산업에서 소비자 충성도, 지출 습관, 취향을 파악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은 부자의 80%가 45세 이하로, 미국, 일본에 비해 젊은 부자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처럼 구매력이 왕성한 중국의 젊은 부자 소비자들을 타겟으로 하는 기업은 그들의 특성, 취향 들을 분석하고 특정한 요구에 맞추기 위해 마케팅 전략을 손질할 필요가 있다.
출처
100가지 사례로 이해하는 글로벌경영 CASE100 출판사: 두남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09중국 패션시장 분석 및 2010 전망
http://www.kotra.or.kr
http://www.edaily.co.kr/News/World/NewsRead.asp?sub_cd=IF51&newsid=02246806589661040&clkcode=00203&DirCode=00706&OutLnkChk=Y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17&cm=기업··경영%20주요기사 &year=2008&no=196723&selFlag=&relatedcode=000060062&wonNo=&sID=501
http://www.eland.co.kr/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249029
추천자료
한국 패션기업의 중국 소비시장 진출과 의미
[국제경영학]아모레퍼시픽 '라네즈'의 중국시장진출 성공전략 분석(A+리포트)
[중국시장진출]게임산업과 패션산업의 중국시장진출, 방송산업과 IT산업의 중국시장진출, 소...
국내스파브랜드의 국외브랜드 대응전략 - 스파오(SPAO)와 유니클로(UNIQLO)
이랜드(E-Land) 중국시장진출 마케팅 성공전략분석과 이랜드 SWOT,STP,4P전략분석과 이랜드향...
제일모직- SPA시장에서의 마케팅전략분석과 제일모직 브랜드분석및 나의견해 (에잇세컨즈 사...
[ 이랜드(ELAND) 기업분석 및 중국진출 전략보고서 ] 이랜드(EㆍLAND) 경영전략과 중국진출 ...
[이랜드 경영전략과 글로벌마케팅전략] 이랜드 기업분석과 이랜드의 해외 마케팅전략분석및 ...
글로벌 시대의 중국시장과 중국투자 - 이리엔 의련의 중국시장 진출 성공 사례 - 이랜드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