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위예술 등의 여러 방면으로 모색하고 있다. 문화혁명 이후 서양음악은 가장 먼저 공격 대상이 되었다. 모든 음악작품은 공연이 금지되었고 정권이 지정하는 공연만 허용되었다. 그러나 개혁의 실행으로 인민들의 음악생활도 다채롭게 변모하였는데 특히 배우기가 쉽고 이해하기 쉬운 유행음악들이 급속히 퍼져나갔다. 최근에는 가라오케 노래방[歌廳]들이 대도시에 급증하고 있다. 또한 교향악 부문도 1980년대 중반 인민들 사이에 열풍적인 반응을 일으켜 매번 중앙악단의 공연 때 매진되는 일이 흔하였다.
또한 중국인은 중국 고유의 경극(京劇)을 즐기는데, 이 경극은 극본, 연기, 음악, 노래, 소도구, 분장, 의상 등의 예술적 요소를 다채롭게 결합한 총체적 예술로 사실적이기보다 상징적 원리에 의해 세련화된 예술이다. 이 역시 문화혁명 때에는 소련의 사실주의적 문예정책과 봉건주의적 잔재를 제거한다는 목표로 많은 부분이 변질되었지만 개혁 이후에는 문화혁명기에 금지당한 내용들이 다시 상연되고 표현면에서도 자유화가 이루어졌다.
중국에서는 태극권 등 기공수련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 아침에 단체로 기공체조를 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불교와 도교 원리에 기공이 결합된 법륜공은 정치적인 목적을 띠고 있다는 이유로 중국 정부의 강한 탄압을 받고 있다. 스포츠면에서는 육상·체조 등에서도 세계 최고수준의 기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 예로는 이번 아시안 게임에서 중국이 금메달을 199개를 가져가는 대단함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에는 무엇이 있을까?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는 너무 많지만 그 중에서 제일 인상깊었던 자전거 문화와 차문화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의 자전거 문화는 중국을 상징
하는 또 다른 일면인 것 같다.
자전거는 중국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자전거 길이
마련돼 있고 자전거가 쉽게 오를 수 있도록 육교의 계단도 완만하게 돼 있으며, 도난방지를 위해 번호판이 있는 등 자전거를 탈 수 있는 환경이 잘 돼 있다. 하지만 좌우측 통행이 지켜지지 않는 등 다소 질서가 없어 방심하면 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자전거는 여행 중인 사람들도 이용이 가능한데, 자전거 대여점인 '出租自轉車'라고 간판이 붙은 곳에서 대여하여 탈 수 있다. 도시마다 요금이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개 보통 모양으로 1시간에 10元 전후라고 한다. (빌릴 때는 담보로 보증금이나 여권이 필요하다.)
두 번째 중국의 대표적 문화는 차문화 인 것 같다.
중국인은 하루도 차 없이는 못 사는 민족이라고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벌써 4천년의 역사를
가지며 어느 공공장소에 가더라도 차잎만 있으면
언제든지 차를 마실 수 있도록 끓는 물이 준비되어 있다. 중국인이 기름기 많은 음식을 많이 먹는데도 살이 찐 사람이 적은 것이 차를 마셔 단백질과 지방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동남아에서도 차를 마시는 인구가 계속 늘고 있다고 한다. 중국의 차는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다. 또한 중국지역을 이동하다 보면 기타의 서비스는 수준 이하지만 더운 찻물을 제공하는 서비스 만큼은 수준급이라고 할 정도이다. 아무리 작고 후미진 곳을 가도 더운 찻물을 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는 중국인들의 식생활과 건조한 대륙의 공기나 날씨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현대 중국인들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로 차(茶)다.
차의 종류는 녹차와 홍차, 청차, 백차, 화차 등으로 구분되고 북부지방에서는 화차, 남쪽에서는 녹차나 홍차를 많이 마시고 있다. 중국의 차 문화는 일본과 우리나라의 차 문화(茶道)와는 달리 생활의 일부로서 자리하여 서민들의 삶 속에서는 오히려 수분공급을 위한 음료수 대용의 자리를 점하고 있는 듯 하다.
녹차(綠茶)는 중국의 차 가운데 역사가 가장 길며, 생산량이 많고 품종이 다양하다.
홍차 (紅茶)는 국내 총생산의 1/4을 차지하며, 수출량은 총수출량의 1/2를 차지한다.
청차는 녹차의 청신한 향과 특유의 감미로운 맛을 겸하여 갖추었다. 특히 마신 후에 뒷맛이 가져오는 독특한 감칠 맛이 기막히다고 한다.
백차 (白茶)는 차잎 전체가 솜같은 하얀 털로 덮여있고, 차에 달인 후의 탕색은 담황색(淡黃色)으로 우아한 빛을 발한다. 맛의 단백함이 군자의 기품을 연상시킨다. 쓸개와 위에 좋으며 백호은침 (白毫銀針)과 백호단 (白毫丹)은 백차의 진풍이다.
화차 (花茶)는 중국의 독특한 차로서 향편차 (香片茶)라고도 한다. 차와 꽃을 함께 말려 제조하는데도 맛과 향은 더욱 어우러져 나온다. 복주의 다리공정 (茶莉空靑)은 화차 중의 상등품이다. 주로 북방지역에서 즐겨 마신다. 긴압차 (緊壓茶)는 보통 큰 차 잎이나 차나무 가지로 먼저 흑차 (黑茶), 홍차 또는 화차를 만든 다음 그것을 원료로 하여 다시 만드는 것으로 보이, 육보 (六堡)가 긴압차 중의 명품이다.
차 마시는 방법은 먼저 적정량의 차를 컵에 넣고 뜨거운 물을 가득 부운 다음 뚜껑을 닫고 (향기가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함) 찻잎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린 다음 마신다. 차는 향기와 맛을 동시에 즐기는 음료이며, 마시면서 맛이 우러나올 때까지 계속 물을 첨가하여 마신다. 중국인은 만(滿)이라는 것을 좋아하여 손님 접대시 컵이 비기 전에 계속 물을 채워준다.
중국의 차문화는 식사시, 회의시, 생활 깊숙이 파고 들어 우리들이 물 마시는 것과 동일하다. 별도의 특별한 예의를 요하지 않으나 상대방의 잔에 물이 빌 경우 계속 따라주는 것이 예의다.
아울러 차에는 여러 가지 효능이 있다. 소화와 배뇨 기능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중국의 물 (석회질이 많음)이 좋지 않은 관계로 물속의 불순물이나 독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기름기 많은 중국 음식물을 먹고 난 후 차를 마시면 기름기 제거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중국의 문화는 우리의 문화 못지 않게 다양하다는 것을 이번 과제를 통해 깨달았다. 어느 나라의 문화가 좋고 나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 각자의 문화가 다 소중하며 이를 계승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더욱 더 발전 된 문화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배운 것 같다.
또한 중국인은 중국 고유의 경극(京劇)을 즐기는데, 이 경극은 극본, 연기, 음악, 노래, 소도구, 분장, 의상 등의 예술적 요소를 다채롭게 결합한 총체적 예술로 사실적이기보다 상징적 원리에 의해 세련화된 예술이다. 이 역시 문화혁명 때에는 소련의 사실주의적 문예정책과 봉건주의적 잔재를 제거한다는 목표로 많은 부분이 변질되었지만 개혁 이후에는 문화혁명기에 금지당한 내용들이 다시 상연되고 표현면에서도 자유화가 이루어졌다.
중국에서는 태극권 등 기공수련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 아침에 단체로 기공체조를 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불교와 도교 원리에 기공이 결합된 법륜공은 정치적인 목적을 띠고 있다는 이유로 중국 정부의 강한 탄압을 받고 있다. 스포츠면에서는 육상·체조 등에서도 세계 최고수준의 기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 예로는 이번 아시안 게임에서 중국이 금메달을 199개를 가져가는 대단함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에는 무엇이 있을까?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는 너무 많지만 그 중에서 제일 인상깊었던 자전거 문화와 차문화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의 자전거 문화는 중국을 상징
하는 또 다른 일면인 것 같다.
자전거는 중국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자전거 길이
마련돼 있고 자전거가 쉽게 오를 수 있도록 육교의 계단도 완만하게 돼 있으며, 도난방지를 위해 번호판이 있는 등 자전거를 탈 수 있는 환경이 잘 돼 있다. 하지만 좌우측 통행이 지켜지지 않는 등 다소 질서가 없어 방심하면 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자전거는 여행 중인 사람들도 이용이 가능한데, 자전거 대여점인 '出租自轉車'라고 간판이 붙은 곳에서 대여하여 탈 수 있다. 도시마다 요금이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개 보통 모양으로 1시간에 10元 전후라고 한다. (빌릴 때는 담보로 보증금이나 여권이 필요하다.)
두 번째 중국의 대표적 문화는 차문화 인 것 같다.
중국인은 하루도 차 없이는 못 사는 민족이라고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벌써 4천년의 역사를
가지며 어느 공공장소에 가더라도 차잎만 있으면
언제든지 차를 마실 수 있도록 끓는 물이 준비되어 있다. 중국인이 기름기 많은 음식을 많이 먹는데도 살이 찐 사람이 적은 것이 차를 마셔 단백질과 지방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동남아에서도 차를 마시는 인구가 계속 늘고 있다고 한다. 중국의 차는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다. 또한 중국지역을 이동하다 보면 기타의 서비스는 수준 이하지만 더운 찻물을 제공하는 서비스 만큼은 수준급이라고 할 정도이다. 아무리 작고 후미진 곳을 가도 더운 찻물을 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는 중국인들의 식생활과 건조한 대륙의 공기나 날씨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현대 중국인들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로 차(茶)다.
차의 종류는 녹차와 홍차, 청차, 백차, 화차 등으로 구분되고 북부지방에서는 화차, 남쪽에서는 녹차나 홍차를 많이 마시고 있다. 중국의 차 문화는 일본과 우리나라의 차 문화(茶道)와는 달리 생활의 일부로서 자리하여 서민들의 삶 속에서는 오히려 수분공급을 위한 음료수 대용의 자리를 점하고 있는 듯 하다.
녹차(綠茶)는 중국의 차 가운데 역사가 가장 길며, 생산량이 많고 품종이 다양하다.
홍차 (紅茶)는 국내 총생산의 1/4을 차지하며, 수출량은 총수출량의 1/2를 차지한다.
청차는 녹차의 청신한 향과 특유의 감미로운 맛을 겸하여 갖추었다. 특히 마신 후에 뒷맛이 가져오는 독특한 감칠 맛이 기막히다고 한다.
백차 (白茶)는 차잎 전체가 솜같은 하얀 털로 덮여있고, 차에 달인 후의 탕색은 담황색(淡黃色)으로 우아한 빛을 발한다. 맛의 단백함이 군자의 기품을 연상시킨다. 쓸개와 위에 좋으며 백호은침 (白毫銀針)과 백호단 (白毫丹)은 백차의 진풍이다.
화차 (花茶)는 중국의 독특한 차로서 향편차 (香片茶)라고도 한다. 차와 꽃을 함께 말려 제조하는데도 맛과 향은 더욱 어우러져 나온다. 복주의 다리공정 (茶莉空靑)은 화차 중의 상등품이다. 주로 북방지역에서 즐겨 마신다. 긴압차 (緊壓茶)는 보통 큰 차 잎이나 차나무 가지로 먼저 흑차 (黑茶), 홍차 또는 화차를 만든 다음 그것을 원료로 하여 다시 만드는 것으로 보이, 육보 (六堡)가 긴압차 중의 명품이다.
차 마시는 방법은 먼저 적정량의 차를 컵에 넣고 뜨거운 물을 가득 부운 다음 뚜껑을 닫고 (향기가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함) 찻잎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린 다음 마신다. 차는 향기와 맛을 동시에 즐기는 음료이며, 마시면서 맛이 우러나올 때까지 계속 물을 첨가하여 마신다. 중국인은 만(滿)이라는 것을 좋아하여 손님 접대시 컵이 비기 전에 계속 물을 채워준다.
중국의 차문화는 식사시, 회의시, 생활 깊숙이 파고 들어 우리들이 물 마시는 것과 동일하다. 별도의 특별한 예의를 요하지 않으나 상대방의 잔에 물이 빌 경우 계속 따라주는 것이 예의다.
아울러 차에는 여러 가지 효능이 있다. 소화와 배뇨 기능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중국의 물 (석회질이 많음)이 좋지 않은 관계로 물속의 불순물이나 독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기름기 많은 중국 음식물을 먹고 난 후 차를 마시면 기름기 제거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중국의 문화는 우리의 문화 못지 않게 다양하다는 것을 이번 과제를 통해 깨달았다. 어느 나라의 문화가 좋고 나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 각자의 문화가 다 소중하며 이를 계승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더욱 더 발전 된 문화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배운 것 같다.
추천자료
중국문화와 비즈니스 - 중국인의 문화인식 - 한·중관계의 우호적인 발전 방향 - 중국인의 역...
중국문화와 비즈니스 - 중국인의 협상인식 - 특징과 전략
중국문화와 비즈니스 - 중국인의 한국 인식
중국문화와 비즈니스 - 중국인의 협상인식
중국문화와 비즈니스 - 중국인의 문화인식 - 한중관계의 우호적인 발전 방향
한중관계의 우호적 발전방향 - 중국인의 협상인식 - 중국문화 비즈니스
중국문화와 비즈니스 - 중국인의 문화인식을 바탕으로
중국 문화와 비즈니스 - 중국인의 문화인식
중국문화와 비즈니스 - 한중 관계의 우호적인 발전 방향 - 중국인의 역사인식과 협상인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