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중국소비자동향
1.소비시장으로 변모하는 중국
2.중국 소비시장을 둘러싼 환경 분석
3.신 소비성향
Ⅲ.한국관광에 대한 인식
Ⅳ.중국방문객실태
Ⅴ.결론
참고문헌:
Ⅱ중국소비자동향
1.소비시장으로 변모하는 중국
2.중국 소비시장을 둘러싼 환경 분석
3.신 소비성향
Ⅲ.한국관광에 대한 인식
Ⅳ.중국방문객실태
Ⅴ.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쇼핑 공간으로 안내하는 ‘지정 쇼핑’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에서 지정 쇼핑하는 횟수는 2008년 평균 2.87회에서 2009년에는 3.18회로 증가했다. 4회가 27.7%에서 35.3%로 증가했고, 5회 이상도 3.3%에서 6.3%로 크게 늘었다. 화장품점과 인삼판매점, 전자제품 판매점 순으로 지정 쇼핑이 많았다.
하지만 동대문시장을 방문하는 중국인이 2008년 59.4%에서 지난해에 73.6%로 크게 늘어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별다른 관심이 없는 물건을 사야 하는 지정 쇼핑에 대한 불만은 크지만, 중국인들이 관심 있어 하는 패션과 쇼핑이 결합된 경우에는 만족도가 높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중국인들의 숙박시설 선택도 다소 수준이 높아졌다. 2008년에는 일반 호텔이나 모텔, 여관에서 묵는 비율이 47.3%였지만 지난해에는 28.7%로 크게 낮아졌다. 대신 1급 호텔(무궁화 4개) 이상에 묵는 비율이 38.3%에서 51.1%로 늘었다. 지난해부터 서울의 특급호텔들이 중국인 대상 프로모션을 강화하는 것과 맥이 닿는다.
다양한 관광지 개발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서울과 제주에 집중되는 현상은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설문조사 결과 2008년과 2009년 모두 중국인 관광객의 99%가 서울을 찾았고, 80%가 제주를 방문했다. 부산은 2008년 36.7%가 찾았지만 2009년에는 20.3%로 크게 줄었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부산은 의사소통이나 서비스 등 전반적으로 일본인 관광객들에게는 편하지만 상대적으로 중국인들에게는 불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Ⅴ.결론
1.제품차원
①중국인여행객 대상 관광코스 다양화
현재 중국인 여행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여행 상품은 관광지 구성 및 여행일정 안배 측면에서 경쟁국의 여행상품에 비해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과 유사한 가격대의 태국, 말레이사아, 싱가포르 등의 여행일정을 참고하면 각국 고유의 전통 관광지 뿐 아니라 유럽이나 기타 이국적 지방색을 느낄 수 있는 관광지를 여행일정에 함께 구성하고,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품목을 다양하게 쇼핑할 수 도 있도록 하고 있다.
중국인 여행객들이 주로 접하게 되는 한국여행 대표 상품의 상품 구성에 대한 재검토와 경쟁국의 여행상품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한 여행상품에 대한 수정/보안이 요구된다.
②가족여행상품 개발
자녀를 동반한 해외여행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30~40대 기혼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가족여행으로 한국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가족여행상품에 대한 개발 및 홍보가 요구된다. 한국의 경우 가족보다는 친구와의 여행지라는 이미자가 너무 강하게 인식되어있으므로, 자녀에게 새로운 문물을 보여주고 가족만의 단란한 시간을 즐길 수 있는 체험교육형 가족여행상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③이벤트 중심의 테마형 관광상품 개발
중국과 규모의 차이 때문에 한국의 역사/유적지 관광에 별다른 흥미를 보이지 않는 중국인 여행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한국의 수려한 자연을 이들이 선호하는 이벤트, 스포츠 등 활동적인 체험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여행상품을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④한류여행 + 한국문화체험(음식, 쇼핑, 미용)
한국으 ㅣ패션과 미용에 관심이 높은 20대 여행 한류여행객들을 위해 기본 한류관련일정과 더불어 한국의 화장품, 미용을 체험하고 한국의 요리를 배우는 등 한국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여행일정 안에 포함하여 핵심 여행계층의 재방문을 유도한다.
가격차원
①일반 상품 가격- 5천 위안 미만 유지
한국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여행지 다음으로 저렴한 해외여행지라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므로, 현재 3천~5천 위안 수준인 4박5일 패키지여행상품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일반여행상품의 가격을 상향 조정할 경우 현재 상당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체 연수/인센티브 여행을 중국 국내여행이나 저렴한 다른 경쟁 목적지로 빼앗길 가능성이 존재한다.
②고가여행 상품 가격-7천 위안 미만
해외여행 초기 시장의 여행객으로서 숙박 등의 여행시설 수준보다는 새로운 관광지 관광에 대한 욕구가 더욱 크기 때문에, 한국여행을 지나치게 고가로 다녀오고자 하는 의향은 거의 없다. 숙박 시설 및 여행일정 수준을 높인 고품격 한국여행이라도 7천 위안 이상 지불할 의향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중국인 대상 고급여행상품은 7천 위안 미만 수준이 되어야 한다.
외에도 국가 이미지를 유지하고 한국관광 브랜드의 홍보를 확대하며, 한류에 대한 관심유지/촉진 확대에 힘써야한다.
하지만 동대문시장을 방문하는 중국인이 2008년 59.4%에서 지난해에 73.6%로 크게 늘어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별다른 관심이 없는 물건을 사야 하는 지정 쇼핑에 대한 불만은 크지만, 중국인들이 관심 있어 하는 패션과 쇼핑이 결합된 경우에는 만족도가 높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중국인들의 숙박시설 선택도 다소 수준이 높아졌다. 2008년에는 일반 호텔이나 모텔, 여관에서 묵는 비율이 47.3%였지만 지난해에는 28.7%로 크게 낮아졌다. 대신 1급 호텔(무궁화 4개) 이상에 묵는 비율이 38.3%에서 51.1%로 늘었다. 지난해부터 서울의 특급호텔들이 중국인 대상 프로모션을 강화하는 것과 맥이 닿는다.
다양한 관광지 개발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서울과 제주에 집중되는 현상은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설문조사 결과 2008년과 2009년 모두 중국인 관광객의 99%가 서울을 찾았고, 80%가 제주를 방문했다. 부산은 2008년 36.7%가 찾았지만 2009년에는 20.3%로 크게 줄었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부산은 의사소통이나 서비스 등 전반적으로 일본인 관광객들에게는 편하지만 상대적으로 중국인들에게는 불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Ⅴ.결론
1.제품차원
①중국인여행객 대상 관광코스 다양화
현재 중국인 여행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여행 상품은 관광지 구성 및 여행일정 안배 측면에서 경쟁국의 여행상품에 비해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과 유사한 가격대의 태국, 말레이사아, 싱가포르 등의 여행일정을 참고하면 각국 고유의 전통 관광지 뿐 아니라 유럽이나 기타 이국적 지방색을 느낄 수 있는 관광지를 여행일정에 함께 구성하고,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품목을 다양하게 쇼핑할 수 도 있도록 하고 있다.
중국인 여행객들이 주로 접하게 되는 한국여행 대표 상품의 상품 구성에 대한 재검토와 경쟁국의 여행상품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한 여행상품에 대한 수정/보안이 요구된다.
②가족여행상품 개발
자녀를 동반한 해외여행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30~40대 기혼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가족여행으로 한국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가족여행상품에 대한 개발 및 홍보가 요구된다. 한국의 경우 가족보다는 친구와의 여행지라는 이미자가 너무 강하게 인식되어있으므로, 자녀에게 새로운 문물을 보여주고 가족만의 단란한 시간을 즐길 수 있는 체험교육형 가족여행상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③이벤트 중심의 테마형 관광상품 개발
중국과 규모의 차이 때문에 한국의 역사/유적지 관광에 별다른 흥미를 보이지 않는 중국인 여행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한국의 수려한 자연을 이들이 선호하는 이벤트, 스포츠 등 활동적인 체험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여행상품을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④한류여행 + 한국문화체험(음식, 쇼핑, 미용)
한국으 ㅣ패션과 미용에 관심이 높은 20대 여행 한류여행객들을 위해 기본 한류관련일정과 더불어 한국의 화장품, 미용을 체험하고 한국의 요리를 배우는 등 한국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여행일정 안에 포함하여 핵심 여행계층의 재방문을 유도한다.
가격차원
①일반 상품 가격- 5천 위안 미만 유지
한국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여행지 다음으로 저렴한 해외여행지라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므로, 현재 3천~5천 위안 수준인 4박5일 패키지여행상품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일반여행상품의 가격을 상향 조정할 경우 현재 상당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체 연수/인센티브 여행을 중국 국내여행이나 저렴한 다른 경쟁 목적지로 빼앗길 가능성이 존재한다.
②고가여행 상품 가격-7천 위안 미만
해외여행 초기 시장의 여행객으로서 숙박 등의 여행시설 수준보다는 새로운 관광지 관광에 대한 욕구가 더욱 크기 때문에, 한국여행을 지나치게 고가로 다녀오고자 하는 의향은 거의 없다. 숙박 시설 및 여행일정 수준을 높인 고품격 한국여행이라도 7천 위안 이상 지불할 의향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중국인 대상 고급여행상품은 7천 위안 미만 수준이 되어야 한다.
외에도 국가 이미지를 유지하고 한국관광 브랜드의 홍보를 확대하며, 한류에 대한 관심유지/촉진 확대에 힘써야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