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결중심 가족치료 소개
2.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발달과정
3. 이론과 주요 개념
① 기본 원리
②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유형
- 방문형 관계
- 불평형 관계
- 고객형 관계
4. 참고문헌
2.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발달과정
3. 이론과 주요 개념
① 기본 원리
②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유형
- 방문형 관계
- 불평형 관계
- 고객형 관계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시도한 노력은 내담자가 원하는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으므로 증상이 있는 가족원에 관하여 생각과 관찰을 계속 하지만, 과거와는 다른 방법으로 노력할 것을 격려한다.
- 고객형 관계
이 관계 유형은 대개 상담의 중간이나 끝 부분에 치료자와 내담자가 일치된 해결 목표와 기대를 가질 때 형성된다. 내담자는 자신의 바로 해결책의 한 부분임을 깨닫고,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일을 하려는 의지를 나타낸다. 즉, 문제를 시인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도움을 요청하며, 해결책을 찾거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자신에게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이 유형은 매우 긍정적이고 협력적인 치료관계가 되기 쉽다.
치료자는 내담자를 잘 이해하고 있는 점에 대해 역시 많은 칭찬을 해 주고 내담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에 대해 지지와 동의를 표시해야 한다. 이 경우에 치료자는 내담자의 문제해결의지와 장점을 연결시켜 행동과제를 주며, 아울러 내담자가 다른 어떤 일을 시작할 때 자신과 가정에서 무엇이 달라지는지를 관찰하는 과제를 같이 줄 수 있다.
모든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성이 세 가지 유형 중의 하나에 분명하게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면접과정을 통해 방문형에서 고객형으로, 또는 방문형에서 불평형으로 바뀔수도 있다. 부모와 자녀가 함께 오는 경우에도 그 중에 방문형이 있을 수 있고, 불평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치료자는 내담자와의 관계성이 이 세 가지 유형 중 어디에 속하는지 확실하지 않을 경우에 확대 해석하기보다는 조심스러운 접근을 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모든 내담자는 표면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는 고객형이 아니라 할지라도 자신들이 원하는 다른 문제를 다룬다면 고객형이 될 수 있으므로 상담에 대해 나름대로 원하는 것과 기대와 희망을 갖는 잠재적 고객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치료자는 내담자가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나 내담자가 다루기 원하는 문제를 파악하여 상담을 이끌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이들에게도 많은 칭찬을 해 주고, 생각하는 과제나 관찰하는 과제를 줄 수 있다.
해결중심 치료모델에서는 가능한 가족원 전체를 면접에 포함시키나 특히 고객형 관계의 가족원을 대상으로 체계적 맥락에서 해결과 변화를 끌어내고, 결과적으로 가족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송정아, 최규련(2002).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서울: 하우.
- 고객형 관계
이 관계 유형은 대개 상담의 중간이나 끝 부분에 치료자와 내담자가 일치된 해결 목표와 기대를 가질 때 형성된다. 내담자는 자신의 바로 해결책의 한 부분임을 깨닫고,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일을 하려는 의지를 나타낸다. 즉, 문제를 시인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도움을 요청하며, 해결책을 찾거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자신에게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이 유형은 매우 긍정적이고 협력적인 치료관계가 되기 쉽다.
치료자는 내담자를 잘 이해하고 있는 점에 대해 역시 많은 칭찬을 해 주고 내담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에 대해 지지와 동의를 표시해야 한다. 이 경우에 치료자는 내담자의 문제해결의지와 장점을 연결시켜 행동과제를 주며, 아울러 내담자가 다른 어떤 일을 시작할 때 자신과 가정에서 무엇이 달라지는지를 관찰하는 과제를 같이 줄 수 있다.
모든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성이 세 가지 유형 중의 하나에 분명하게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면접과정을 통해 방문형에서 고객형으로, 또는 방문형에서 불평형으로 바뀔수도 있다. 부모와 자녀가 함께 오는 경우에도 그 중에 방문형이 있을 수 있고, 불평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치료자는 내담자와의 관계성이 이 세 가지 유형 중 어디에 속하는지 확실하지 않을 경우에 확대 해석하기보다는 조심스러운 접근을 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모든 내담자는 표면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는 고객형이 아니라 할지라도 자신들이 원하는 다른 문제를 다룬다면 고객형이 될 수 있으므로 상담에 대해 나름대로 원하는 것과 기대와 희망을 갖는 잠재적 고객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치료자는 내담자가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나 내담자가 다루기 원하는 문제를 파악하여 상담을 이끌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이들에게도 많은 칭찬을 해 주고, 생각하는 과제나 관찰하는 과제를 줄 수 있다.
해결중심 치료모델에서는 가능한 가족원 전체를 면접에 포함시키나 특히 고객형 관계의 가족원을 대상으로 체계적 맥락에서 해결과 변화를 끌어내고, 결과적으로 가족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송정아, 최규련(2002).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서울: 하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