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 가족치료 역기능에 대한 관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험적 가족치료 역기능에 대한 관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아존중감
2)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
3) 가족규칙

본문내용

하되 감정 그 자체가 되지 않으며, 자신의 가치를 느끼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때 가능하다. 일치가 된다는 것은 행동이 반사적으로 나오지 않으면서 내면과 외면이 일치되는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사티어의 가치체계와 전제가치에 입각하여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
1. 새로운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과거의 꿈을 자각하도록 하거나 새로운 꿈을 자각하도록 하거나 새로운 꿈을 형성하도록 한다.
2. 각 가족구성원들에게 새로운 방법으로 상황을 보고 다루도록 가르침으로써 각 가족구성원들이 어려움에 대처하는 극복능력을 강화하고 발전시키도록 한다.
3. 자기가치 및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킨다.
4. 각 가족구성원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유일성, 차이점, 유사점을 인정하며 의사소통함으로써 의사결정 과정에서 본인이 탐색과 협상을 통하여 의사결정을 하도록 한다.
5. 적합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가족구성원들 간의 조화능력을 향상시킨다. 즉, 다른 사람이 있는 데서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하여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을 적절하고 분명하게 말할 수 있게 한다.
6. 가족규칙을 분명히 한다. 그리고 지나치게 얽매였던 가족규칙과 부모의 규제를 융통성 있게 그리고 독립적으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7. 원가족에서 학습한 역기능적 극복행위 형태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8. 의식적으로 의사결정하고 선택함으로써 행동에 책임을 지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즉각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감정을 통제하고, 감정에 대한 감정을 다루면서 대답을 한다.
9. 기존의 내적과 외적 자원을 새로운 차원에서 형성하고 활용하도록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3.2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3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