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포인트가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 최대 재벌인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회장이 2002년 아버지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으면서 세금은 한 푼도 내지 않았다. 이 역시 인도의 검은 경제 탓이다.
이코노미스트는 인도에 만연한 부정부패, 탈세, 조세회피를 척결하고 지하경제를 양성화하는 게 최우선 과제라고 조언했다.
Ⅲ. 결론
인도의 역사, 정치, 사회·문화, 경제를 연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인도를 하나의 목표시장으로 놓고 인도시장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요인으로 진출여건을 분석해 보았다.
가. 강점요인
인도 시장의 가장 큰 강점은 인도가 젊은 층 중심의 막대한 경제활동 인력과 풍부한 고급인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평균 연령이 25세인 젊은 국가로 평균 연령이 낮기 때문에 노동인력이 풍부하다. 게다가 인도의 인력수준도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고급인력이 양적으로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풍부하여 이는 인도가 IT 소프트웨어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 다음으로 세계 2위의 초고속 경제성장 국가라는 점이다. 경제성장 면에 있어서 인도는 최근 10년간 중국 다음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것을 미루어 볼 때, 인도는 서남아 제일의 경제대국이자, 21세기 미국과 중구고가 더불어 세계 3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잠재적 세계 경제대국이다.
나. 약점요인
인도 경제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문제는 인프라 부족이다. 인도는 전력, 도로, 철도, 상하수도, 통신 등 전반적 인프라 여건이 열악한 실정이다. 특히 전력 인프라 부족에 따라 만성적인 정전사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또한 인도는 복잡한 사회 구조로 인한 사회 불안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사회 전반에 여전히 중요한 관습으로 잔존하고 있는 카스트 제도와 다양한 종교(인도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4개 종교의 발생지이며 이슬람교, 기독교 등 외래종교가 공존하고 있는 나라)로 사회 구조가 복잡하다.
그리고 인도는 관료주의, 부정부패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는 인도정부가 인도에 만연한 부정부패, 탈세, 조세회피를 척결하고 지하경제를 양성화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 기회요인
인도 시장의 가장 큰 매력은 인구 12억의 거대한 소비시장이라는 점이다. 인도 인구 약 12억 중 적게는 1억 명 많게는 3억명에 달하는 구매력있는 중산층을 갖춘 거대한 소비시장이다. 이후 인도 소비시장의 중산층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즉 중산층이 두터워지고 인건비 증가로 고소득 전문직이 늘어나면서 인도소비자의 구매력도 전반적으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다음으로 고성장하고 있는 인도영화산업을 기회로 삼을 수 있다. 미국 할리우드에 빗대어 인도의 영화산업을 발리우드라 하는데 인도 영화시장의 자국 영화 상영비율 97%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고, 매주 1억명 관객 동원하는 등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를 기회로 세계 팝콘 시장이 발리우드를 주목하고 있다.
또한 최근 인도경제의 침체로 인도 정부는 경기부양과 루피화 가치 방어책의 일환으로 외국인집적투자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였는데, 이를 기회로 삼아 적극 활용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라. 위협요인
인도시장의 위협요인으로 사회 전반에 보편화되어 있는 민주의식을 생각해 보았다. 민주주의 국가로서 장점도 있지만, 최근 과잉 민주주의, 포퓰리즘에 빠진 정치권 등이 민주주의에 따른 단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 예를 들어보면, 2011년 인도 정부는 월마트와 까르푸 같은 복합브랜드 소매점의 인도 진출을 허용하는 정책을 발표한 적이 있다. 농산물 3분의 1이 유통과정에서 부패한다는 현실을 보았을 때 낙후한 유통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필수 조치인 것은 물론 외국인의 인도 투자 분위기를 고양한다는 점에서 경제계는 물론 외신들도 일제히 환영했다. 하지만 인도 유통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즉각 반대에 나섰고, 야당도 장기적인 발전 방향과는 상관없이 당장의 표심을 확보하고자 반대 물결에 동참했다. 결국 강한 반대에 눌린 정부는 해당 정책을 철회하고 말았다.
다음으로 재정적자문제에 시달리는 인도 정부가 세수증대를 위해 외국 기업에 대한 과세를 확대하고 있는 점 또한 진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인도시장의 진출여건을 분석한 결과 인도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약점요인이나 그에 따른 진출 장애요인도 있었지만 이러한 단점들을 상쇄시킬 만한 큰 강점과 기회요인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기업들은 강점이나 기회요인들을 적극 활용하여 경영전략 수립을 한다면 인도 시장에 큰 무리 없이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자료출처)
고홍근, 인도바로보기, NemoBooks.
위키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인도 (두산백과)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cha6969/520
http://blog.daum.net/windada11/8764981
주간 금융브리프, 최근 인도 금융시장 불안의 배경 및 시사점
유망환경시장 진출가이드 2010, 인도 경제 및 사회의 특징
“라잔 효과로 인도경제 안정됐지만… ”, 「매일경제」, 2013.11.14.
“인도 세계최대 정전… 국토 절반, 6억명 피해”,「조선일보」, 2012.08.01.
“인도 제2 금융위기 진원지 되나”,「주간동아」, 2013.08.26.
“인도, 도시 인프라 개선에 392만루피 투자”,「아시아투데이」, 2011.03.08.
“인도 외국인투자 규제 대폭 완화”,「서울경제」, 2013.07.17.
“인도 경제의 살길은 ‘지하 경제’ 양성화”,「아시아경제」, 2013.10.16.
“인도 경제 '총체적 난국'…국내 기업들 대처 방안은?”,「SBS뉴스」, 2013.08.12.
식생활정보센터, http://www.dietnet.or.kr/fculture/fculture5_1.html
아시아의 문화-대교학습백과
DBPIA,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1193133
인디아드림넷, http://indiadream.net/menu/62-6-9.htm
이코노미스트는 인도에 만연한 부정부패, 탈세, 조세회피를 척결하고 지하경제를 양성화하는 게 최우선 과제라고 조언했다.
Ⅲ. 결론
인도의 역사, 정치, 사회·문화, 경제를 연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인도를 하나의 목표시장으로 놓고 인도시장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요인으로 진출여건을 분석해 보았다.
가. 강점요인
인도 시장의 가장 큰 강점은 인도가 젊은 층 중심의 막대한 경제활동 인력과 풍부한 고급인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평균 연령이 25세인 젊은 국가로 평균 연령이 낮기 때문에 노동인력이 풍부하다. 게다가 인도의 인력수준도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고급인력이 양적으로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풍부하여 이는 인도가 IT 소프트웨어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 다음으로 세계 2위의 초고속 경제성장 국가라는 점이다. 경제성장 면에 있어서 인도는 최근 10년간 중국 다음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것을 미루어 볼 때, 인도는 서남아 제일의 경제대국이자, 21세기 미국과 중구고가 더불어 세계 3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잠재적 세계 경제대국이다.
나. 약점요인
인도 경제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문제는 인프라 부족이다. 인도는 전력, 도로, 철도, 상하수도, 통신 등 전반적 인프라 여건이 열악한 실정이다. 특히 전력 인프라 부족에 따라 만성적인 정전사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또한 인도는 복잡한 사회 구조로 인한 사회 불안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사회 전반에 여전히 중요한 관습으로 잔존하고 있는 카스트 제도와 다양한 종교(인도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4개 종교의 발생지이며 이슬람교, 기독교 등 외래종교가 공존하고 있는 나라)로 사회 구조가 복잡하다.
그리고 인도는 관료주의, 부정부패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는 인도정부가 인도에 만연한 부정부패, 탈세, 조세회피를 척결하고 지하경제를 양성화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 기회요인
인도 시장의 가장 큰 매력은 인구 12억의 거대한 소비시장이라는 점이다. 인도 인구 약 12억 중 적게는 1억 명 많게는 3억명에 달하는 구매력있는 중산층을 갖춘 거대한 소비시장이다. 이후 인도 소비시장의 중산층 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즉 중산층이 두터워지고 인건비 증가로 고소득 전문직이 늘어나면서 인도소비자의 구매력도 전반적으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다음으로 고성장하고 있는 인도영화산업을 기회로 삼을 수 있다. 미국 할리우드에 빗대어 인도의 영화산업을 발리우드라 하는데 인도 영화시장의 자국 영화 상영비율 97%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고, 매주 1억명 관객 동원하는 등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를 기회로 세계 팝콘 시장이 발리우드를 주목하고 있다.
또한 최근 인도경제의 침체로 인도 정부는 경기부양과 루피화 가치 방어책의 일환으로 외국인집적투자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였는데, 이를 기회로 삼아 적극 활용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라. 위협요인
인도시장의 위협요인으로 사회 전반에 보편화되어 있는 민주의식을 생각해 보았다. 민주주의 국가로서 장점도 있지만, 최근 과잉 민주주의, 포퓰리즘에 빠진 정치권 등이 민주주의에 따른 단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 예를 들어보면, 2011년 인도 정부는 월마트와 까르푸 같은 복합브랜드 소매점의 인도 진출을 허용하는 정책을 발표한 적이 있다. 농산물 3분의 1이 유통과정에서 부패한다는 현실을 보았을 때 낙후한 유통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필수 조치인 것은 물론 외국인의 인도 투자 분위기를 고양한다는 점에서 경제계는 물론 외신들도 일제히 환영했다. 하지만 인도 유통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즉각 반대에 나섰고, 야당도 장기적인 발전 방향과는 상관없이 당장의 표심을 확보하고자 반대 물결에 동참했다. 결국 강한 반대에 눌린 정부는 해당 정책을 철회하고 말았다.
다음으로 재정적자문제에 시달리는 인도 정부가 세수증대를 위해 외국 기업에 대한 과세를 확대하고 있는 점 또한 진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인도시장의 진출여건을 분석한 결과 인도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약점요인이나 그에 따른 진출 장애요인도 있었지만 이러한 단점들을 상쇄시킬 만한 큰 강점과 기회요인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기업들은 강점이나 기회요인들을 적극 활용하여 경영전략 수립을 한다면 인도 시장에 큰 무리 없이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자료출처)
고홍근, 인도바로보기, NemoBooks.
위키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인도 (두산백과)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cha6969/520
http://blog.daum.net/windada11/8764981
주간 금융브리프, 최근 인도 금융시장 불안의 배경 및 시사점
유망환경시장 진출가이드 2010, 인도 경제 및 사회의 특징
“라잔 효과로 인도경제 안정됐지만… ”, 「매일경제」, 2013.11.14.
“인도 세계최대 정전… 국토 절반, 6억명 피해”,「조선일보」, 2012.08.01.
“인도 제2 금융위기 진원지 되나”,「주간동아」, 2013.08.26.
“인도, 도시 인프라 개선에 392만루피 투자”,「아시아투데이」, 2011.03.08.
“인도 외국인투자 규제 대폭 완화”,「서울경제」, 2013.07.17.
“인도 경제의 살길은 ‘지하 경제’ 양성화”,「아시아경제」, 2013.10.16.
“인도 경제 '총체적 난국'…국내 기업들 대처 방안은?”,「SBS뉴스」, 2013.08.12.
식생활정보센터, http://www.dietnet.or.kr/fculture/fculture5_1.html
아시아의 문화-대교학습백과
DBPIA,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1193133
인디아드림넷, http://indiadream.net/menu/62-6-9.htm
키워드
추천자료
인도의 농업개혁법과 자본주의 발전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문화][주요도시][교육][스포츠][사회][문화][대외관계]아르헨티나의...
파키스탄의 민족과 언어 및 종교, 파키스탄의 환경과 경제 및 정치, 파키스탄의 사회문화, 파...
제도(institution) 차원에서 고찰한 경제발전 : 이론과 역사
[소설][1920년대][1930년대][1940년대][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20년대의 소설, 1930...
인도 민족주의와 영국과의 관계
[비교발전행정론]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분석보고서
아시아지역연구 - 인도
지역연구 - 아시아 - 인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