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가살겠다며 나가더군요.
- 사회복지사 : 그럼 사고로 인한 장애를 가지고 이혼 그리고 따님의 출가까지.. 이후에 많이 변하신 거군요..
- 클라이언트 : 네.. 저도 많이 힘들었습니다. 아직도 이 장애를 받아드리기 힘들어서 이렇게 선생님을 찾아온 것입니다.
- 사회복지사 : 그렇다면 함께 심리치료를 받을 의향이 있으신가요?
- 클라이언트 : 네. 저도 앞으로 계속 혼자 살아가야하는데 다른 사람들과도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목표
① 부정적인 언어습관 고치기
② 상대방과 대화하는 방법 알기
③ ‘나’를 이해하고 나의 장애를 수용하기
개입
① 복지관의 언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부정적인 언어와 긍정적인 언어 사용에 대해 알기
② 프로그램 내 다른 이용자와 대화를 통하여 타인과 대화하는 기술 배우기
③ 심리치료를 통하여 나에 대해 알기
3. 개입단계 :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심리사회조사와 사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개입의 방향을 정하고 개입의 목표와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개입은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이해하고 변화되기를 바라는 것, 사회복지사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는 것, 기관의 기능, 사회복지사의 능력 등을 고려하여 성립된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개인과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므로 개인, 가족, 환경 체계에 모두 개입하게 된다.
4. 종결단계 :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해결되거나 개선되고 개입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다고 판단되면 종결단계를 맞는다. 종결은 대체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동의하에 이루어진다. 종결단계에서는 개입의 종결로 발생할 수 있는 이별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사회복지사 : 복지관에서 언어프로그램과 심리치료를 받으셨는데 어떠신가요?
- 클라이언트 : 아직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할 땐 습관처럼 부정적인 말이 나오던 것이 조금은 고쳐지긴 했습니다.
- 사회복지사 : 아..그래도 다행이네요. 많이 바뀐 모습이 보이는 것 같아요.
- 클라이언트 : 네, 그래도 이제 스스로를 받아드릴 수 있고 이제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할 것 같아요.
- 사회복지사 : 멋진 결정이네요. 그럼 복지관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앞으로도 바뀐 모습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클라이언트 : 네 감사합니다.
- 클라이언트가 복지관의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종결 후에도 전화나 방문을 통하여 적응상태를 점검함으로써 사후관리를 해야 한다.
- 사회복지사 : 그럼 사고로 인한 장애를 가지고 이혼 그리고 따님의 출가까지.. 이후에 많이 변하신 거군요..
- 클라이언트 : 네.. 저도 많이 힘들었습니다. 아직도 이 장애를 받아드리기 힘들어서 이렇게 선생님을 찾아온 것입니다.
- 사회복지사 : 그렇다면 함께 심리치료를 받을 의향이 있으신가요?
- 클라이언트 : 네. 저도 앞으로 계속 혼자 살아가야하는데 다른 사람들과도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목표
① 부정적인 언어습관 고치기
② 상대방과 대화하는 방법 알기
③ ‘나’를 이해하고 나의 장애를 수용하기
개입
① 복지관의 언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부정적인 언어와 긍정적인 언어 사용에 대해 알기
② 프로그램 내 다른 이용자와 대화를 통하여 타인과 대화하는 기술 배우기
③ 심리치료를 통하여 나에 대해 알기
3. 개입단계 :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심리사회조사와 사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개입의 방향을 정하고 개입의 목표와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개입은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이해하고 변화되기를 바라는 것, 사회복지사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는 것, 기관의 기능, 사회복지사의 능력 등을 고려하여 성립된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개인과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므로 개인, 가족, 환경 체계에 모두 개입하게 된다.
4. 종결단계 :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해결되거나 개선되고 개입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다고 판단되면 종결단계를 맞는다. 종결은 대체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동의하에 이루어진다. 종결단계에서는 개입의 종결로 발생할 수 있는 이별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사회복지사 : 복지관에서 언어프로그램과 심리치료를 받으셨는데 어떠신가요?
- 클라이언트 : 아직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할 땐 습관처럼 부정적인 말이 나오던 것이 조금은 고쳐지긴 했습니다.
- 사회복지사 : 아..그래도 다행이네요. 많이 바뀐 모습이 보이는 것 같아요.
- 클라이언트 : 네, 그래도 이제 스스로를 받아드릴 수 있고 이제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할 것 같아요.
- 사회복지사 : 멋진 결정이네요. 그럼 복지관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앞으로도 바뀐 모습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클라이언트 : 네 감사합니다.
- 클라이언트가 복지관의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종결 후에도 전화나 방문을 통하여 적응상태를 점검함으로써 사후관리를 해야 한다.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와 사례관리
심리사회모델(정신분석이론, 대상관계이론, 자아심리이론, 생태체계이론, 개입기법, 실제 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공통]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사회복지실...
사회복지실천론의 개념과 본질에 대한 정의를 서술하고 복지관 및 전문사례관리센터 등의 전...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의 특징과 대표적 기법 전체를 예시를 들어가면서 설명하고 사례관리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공통]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사회복지실...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필수적인 ‘강점관점’의 개념 실천의 기본원칙을 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사례관리기법의 구체적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