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자 인권 증진을 위한 정신보건법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 입원 및 퇴원 제도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질환자 인권 증진을 위한 정신보건법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 입원 및 퇴원 제도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2. 이론적 배경
1) 정신질환자와 인권
2) 우리나라 정신보건법의 입법과 성격
3) 정신질환자의 입원과 퇴원 요건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1) 국가인권위원회에 국가인권위원회의 진정 건으로 본 정신질환자의 인권실태
2) 동의입원과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 : 정신보건법 제 24조
3) 동의입원과 시장·군수·구청장에 의한 입원 : 정신보건법 제 25조
4) 계속입원과 퇴원 청구 및 심사 : 정신보건법 제 27조, 제 31조

5. 결론 및 함의

본문내용

기초생활보장법의 권리수준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지≫, 32: 29-52.
김광병전혜성, 2014, “정신보건법상 정신질환자의 실체적 권리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4: 81-108.
김재경이주연박한진, 2014, “현행 정신보건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인하로리뷰≫ 4: 13-36.
김문근, 2013, “정신장애인 관련 법령의 정산장애개념과 정신보건법의 정신장애인 개념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4(2): 293-321.
김형식여지영 역, 2001. ≪인권과 사회복지실천 Jim Ife≫ Human and Social Work. 서울 : 나남출판사.
박종익이성동정은기서동우홍진표, 2004, “대한민국 법령에 나타난 정신질환에 대한 차별 조항 및 그 개선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3(2): 237-241.
보건복지부, 2012, ≪정신질환자 차별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보건복지부.
, 2015, ≪2015년 정신건강사업 안내≫, 서울 : 보건복지부.
서동우, 2007, “정신보건의 역사적 변화선상에서 본 우리나라 정신보건법의 문제와 개선안”, ≪보건복지포럼≫, 1: 43-56.
서미경, 2003, “정신장애인의 인권보장과 제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5: 231-254.
신권철, 2009, “성년후견제도의 쟁점과 과제”, ≪사회보장법연구≫, 2(3): 39-88.
, 2010, “정신질환자 개념의 규범적 고찰”, ≪법조협회 : 법조≫, 59(5): 35-76.
, 2014, “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물화(物化)되는 인격적 주체성의 복원을 중심으로”, ≪서울법학≫, 22(2): 637-679.
신영전, 2008. ≪인권측면에서 본 한국의 정신보건정책변화, 정신장애인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한 정신보건패러다임의 변화≫, 국가인권위원회 토론회 자료집.
양옥경, 2006, ≪정신보건과 사회복지≫, 서울 : 나남출판.
윤명숙이선영, 2008, “한국 정신건강 정책의 실태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 ≪사회복지정책≫, 35(0): 329-354.
윤찬영, 2010, ≪사회복지법제론≫, 서울 : 나남출판.
이선영, 2010, 정신보건법과 정신장애인 인권,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 47-68.
이영문이호영정영기이충순김병후이주훈임기영이만홍오병춘도정기, 1996, “정신의료시설 입원/입원환자의 재원 적절성 평가도구개발연구”, ≪신경정신의학≫, 35: 647-663.
이영문김현수이호영, 1999, “한국정신보건시설 입원/입소에 대한 재원 적절성 분석”. ≪신경정신의학≫, 38: 973-984.
이찬진, 2004, 정신보건시설관련 법제 개선방향, ≪정신과 시설 인권관련공청회 자료집≫, 1: 23.
장석천, 2011, “개정민법에 있어서 성년후견과 의료행위 동의권”, ≪재산법 연구≫, 28(3): 1-25.
정규원, 2006, “정신보건법에 대한 검토”, ≪의료법학≫, 7(2):97-110.
정인원김헌신철진손정우, 2001, ≪정신질환자의 계속 입원심사제도 표준 심사 지침 개발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2013. ≪2012년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사업보고서≫, 서울: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 2014. ≪2013 정신건강보고서≫,서울: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 2014. ≪2013 정신보건통계현황집≫,서울: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하유정전상남홍현숙김진학, 2006, ≪정신질환자 인권증진을 위한 제도분석≫. 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연구보고서.
홍진표박수빈, 2010, “정신보건법의 입퇴원 규정 및 관련법 고찰”, ≪신경정신의학≫, 49(2): 157-162.
현명호, 2006, “정신질환자의 인권 실태 및 대안 모색”,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 249-260.
Gostin, L. O., and Gable, L. 2004.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a global perspective on the application of human rights principles to mental health.” Maryland Law Review, 63(20): 8-31.
OECD, 2014, Home, Health, Mental Health Systems in OECD Countries(2014), http://www.oecd-ilibrary.org.
Perlin, M. L., Gould, K. K., and Dorfman, D. A. 1995. \"Therapeutic Jurisprudence and the Civil Rights of Institutionalized Mentally Disabled Persons: Hopeless Oxymoron or Path to Redemption?\".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1(1): 80-119.
Rachlin, S., Pam, A., and Milton, J. 1975. \"Civil liberties versus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2(2): 189-192.
UN, 1991, Principle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nd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Care.
WHO, 2005, WHO Resource Book On Mental Health-Human Rights And Legislation, Geneva: WHO.
국가법령정보센터. 정신보건법. http://www.law.go.kr/(검색일 : 2015.04.30.)
메디컬투데이, 2015, “환자 강박치료 설명위반 위반, 국가 2800만원 배상”, 2015.02.08.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9829
  • 가격2,8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9.03.27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3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