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정의 기능
A. 가정기능의 변천
I. 핵가족화
1. 자녀의 정서문제
2. 부부의 갈등
3. 가족주기의 변화
4. 노인의 고립화와 절망적 상황
II. 자녀의 사회화과정에서의 문제
1. 교육기능의 약화
2. 부모, 자녀간의 교육적 관계의 변모
B. 인간형성의 장으로서의 가정
I. 초기경험의 중요성
II. 성격형성에 영향 미치는 요인
III. 사회적 학습의 장
* 참고문헌
A. 가정기능의 변천
I. 핵가족화
1. 자녀의 정서문제
2. 부부의 갈등
3. 가족주기의 변화
4. 노인의 고립화와 절망적 상황
II. 자녀의 사회화과정에서의 문제
1. 교육기능의 약화
2. 부모, 자녀간의 교육적 관계의 변모
B. 인간형성의 장으로서의 가정
I. 초기경험의 중요성
II. 성격형성에 영향 미치는 요인
III. 사회적 학습의 장
*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제적 태도를 지닌 부모 밑에서 자란 어린이들은 자아에 대한 분노가 발생하며 내면화된 갈등과 고통을 많이 갖고 있다.
그러나 성격형성에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도 문제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어머니와 자녀와의 애정문제일 것이다. 애정의 결핍은 자녀로 하여금 반사회적이고 공격적 행동을 수반하는 성격 특성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미 제시된 바와 같이 어머니의 애정결핍은 유아기의 어린이 정신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인간의 정신건강에서의 문제는 성격상의 문제로 직결될 수 있는데 이는 어했을 때 어머니와 어린이와의 인간관계, 그 중에서도 특히 애정의 결핍 여하에 달려 있음을 정신의학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김재은(1974)도 가족의 집단성격 또는 가풍 속에서 형성되어지는 부모-자녀관계는 인간의 성장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의 하나라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정원식(1983)도 인간의 성격형성에 있어서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말하면서 어릴 때의 경험 중에도 가정 내의 경힘이 더욱 중요하며 가정환경, 특히 가족 구성원이 인간의 발달 및 성격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개인의 태도, 가치관의 형성도 일차적으로 부모를 동일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구체적인 연구가 제시하는 바와 같이 우리는 이와 같은 예를 일상생활에서 항상 경험할 수 있다. 과보호되고 위해받기만 한 어린이는 버릇없고 어리광장이이며 의존적인 성격을 나타내는 반면 엄격한 부모 밑에서 자란 어린이는 대개 열등감으로 인해 공격적, 반항적, 이기적인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정에서의 인간관계나 분위기는 자녀의 성격형성에 대단히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리고 가족의 분위기나 부모의 양육태도 등은 그 가족의 사회 경제적 조건, 소속하고 있는 계층, 그리고 부모의 유아기 경험, 연령 또는 성격 등 여러 가지 요인들과 직접 관계된다. 그러므로 어린이의 성격 형성에는 가족의 문화 사회 경제적 배경도 중요한 작용을 하며, 거기서부터 부모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 혹은 가족의 구성, 출생순위, 형제의 수, 성차, 연령차, 어린이 자신의 소질 등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다.
III. 사회적 학습의 장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회적인 관계망 속에서 생활하며 사회의 한 성원으로서의 기본적 행동양식을 습득해 간다. 그리고 이 사회망을 통한 사회화 과정(socializing process)에 의한 문화 속에서의 역. 할을 배우며 성장하게 된다. 어린이의 성격형성 과정은 곧 사회화 과정이다. 어린이는 발달과정을 통해서 그 사회에 어울리는 사고양식과 행동양식, 즉 문화를 습득한다. 그러므로 성격의 형성이란 곧 문화의 습득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어린이의 사회화는 구체적으로 사회적 학습기제에 의해서 형성된다. Bandura, Miller와 Dollard 등이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이라고 말한 바와 같이 어린이가 사회에서 성인의 행동양식을 모방하는 것을 학습이라 보고, 모방의 역할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사회적 학습의 기제는 모방, 동일시, 역할학습 등으로 이것들은 일상 가정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린이의 학습기계이다.
그러므로 가정은 사회적 학습의 장으로서 중요한 곳이 된다. 어린이는 가정에서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부모나 그 밖의 가족성원들을 하나의 모델로 모방한다. 가족들의 말씨, 표정, 태도 등은 어린이에게 하나의 이미지가 되어 반영된다.
그 모방의 모델에서 반영된 사회적 학습의 양식은 동일시기제와 역할학습이다. 어린이는 동일시기제를 통해서 어른들의 행동을 모방하는 한편 역할학습을 통해서 여아답고 남아다운 행동양식이 습득되어 성역할이 학습된다. 이러한 역할학습을 위해서 가정이란 아주 적절한 곳이 된다. 사회적 학습의 장으로서 가족은 어린이를 그 사회의 성원으로 기르는 작용을 하며, 성장 후 사회생활에서 나타나는 행동양식의 바탕을 형성해 준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그러나 성격형성에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도 문제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어머니와 자녀와의 애정문제일 것이다. 애정의 결핍은 자녀로 하여금 반사회적이고 공격적 행동을 수반하는 성격 특성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미 제시된 바와 같이 어머니의 애정결핍은 유아기의 어린이 정신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인간의 정신건강에서의 문제는 성격상의 문제로 직결될 수 있는데 이는 어했을 때 어머니와 어린이와의 인간관계, 그 중에서도 특히 애정의 결핍 여하에 달려 있음을 정신의학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김재은(1974)도 가족의 집단성격 또는 가풍 속에서 형성되어지는 부모-자녀관계는 인간의 성장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의 하나라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정원식(1983)도 인간의 성격형성에 있어서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말하면서 어릴 때의 경험 중에도 가정 내의 경힘이 더욱 중요하며 가정환경, 특히 가족 구성원이 인간의 발달 및 성격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개인의 태도, 가치관의 형성도 일차적으로 부모를 동일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구체적인 연구가 제시하는 바와 같이 우리는 이와 같은 예를 일상생활에서 항상 경험할 수 있다. 과보호되고 위해받기만 한 어린이는 버릇없고 어리광장이이며 의존적인 성격을 나타내는 반면 엄격한 부모 밑에서 자란 어린이는 대개 열등감으로 인해 공격적, 반항적, 이기적인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정에서의 인간관계나 분위기는 자녀의 성격형성에 대단히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리고 가족의 분위기나 부모의 양육태도 등은 그 가족의 사회 경제적 조건, 소속하고 있는 계층, 그리고 부모의 유아기 경험, 연령 또는 성격 등 여러 가지 요인들과 직접 관계된다. 그러므로 어린이의 성격 형성에는 가족의 문화 사회 경제적 배경도 중요한 작용을 하며, 거기서부터 부모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 혹은 가족의 구성, 출생순위, 형제의 수, 성차, 연령차, 어린이 자신의 소질 등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다.
III. 사회적 학습의 장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회적인 관계망 속에서 생활하며 사회의 한 성원으로서의 기본적 행동양식을 습득해 간다. 그리고 이 사회망을 통한 사회화 과정(socializing process)에 의한 문화 속에서의 역. 할을 배우며 성장하게 된다. 어린이의 성격형성 과정은 곧 사회화 과정이다. 어린이는 발달과정을 통해서 그 사회에 어울리는 사고양식과 행동양식, 즉 문화를 습득한다. 그러므로 성격의 형성이란 곧 문화의 습득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어린이의 사회화는 구체적으로 사회적 학습기제에 의해서 형성된다. Bandura, Miller와 Dollard 등이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이라고 말한 바와 같이 어린이가 사회에서 성인의 행동양식을 모방하는 것을 학습이라 보고, 모방의 역할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사회적 학습의 기제는 모방, 동일시, 역할학습 등으로 이것들은 일상 가정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린이의 학습기계이다.
그러므로 가정은 사회적 학습의 장으로서 중요한 곳이 된다. 어린이는 가정에서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부모나 그 밖의 가족성원들을 하나의 모델로 모방한다. 가족들의 말씨, 표정, 태도 등은 어린이에게 하나의 이미지가 되어 반영된다.
그 모방의 모델에서 반영된 사회적 학습의 양식은 동일시기제와 역할학습이다. 어린이는 동일시기제를 통해서 어른들의 행동을 모방하는 한편 역할학습을 통해서 여아답고 남아다운 행동양식이 습득되어 성역할이 학습된다. 이러한 역할학습을 위해서 가정이란 아주 적절한 곳이 된다. 사회적 학습의 장으로서 가족은 어린이를 그 사회의 성원으로 기르는 작용을 하며, 성장 후 사회생활에서 나타나는 행동양식의 바탕을 형성해 준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