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놀이발달(놀이이론 Parten과 Smilansky의 놀이유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기 놀이발달(놀이이론 Parten과 Smilansky의 놀이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유아기 놀이발달

I. 놀이의 가치

II. 놀이이론
1. 정신분석이론
2. 인지이론
3. 학습이론

III. 놀이의 유형
1. Parten의 놀이유형
1) 몰입되지 않은 놀이
2) 방관자적 놀이
3) 혼자놀이
4) 평행놀이
5) 연합놀이
6) 협동놀이
2. Smilansky의 놀이유형
1) 기능놀이
2) 구성놀이
3) 가상놀이
4) 규칙이 있는 게임

*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성이 발달하면서 혼자놀이나 평행놀이의 비중은 감소하고, 연합놀이나 협동놀이의 비중은 증가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견해에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예를 들어, 혼자놀이의 경우 사회성이 발달되지 않아서가 아니라 독립심과 성숙함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평행놀이를 통해서 유아는 다른 유아의 놀이를 모방하기도 하고 이러한 형태에서 나타나는 비언어적 상호작용이 이후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발달에 기여할 수도 있다.
2. Smilansky의 놀이유형
Smilansky는 유아의 놀이를 인지적 수준에 따라 다음의 4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있다.
1) 기능놀이(functional play)
영아기에는 딸랑이를 흔들거나 자동차를 앞뒤로 굴리는 것처럼 단순히 반복적으로 근육을 움직이는 기능놀이가 주가 된다.
2) 구성놀이(constructive play)
생후 22-24개월이 되면 다양한 놀잇감을 활용하여 무엇인가를 만들어 내는 놀이를 한다. 예를 들어, 목공놀이, 블록쌓기, 그림붙이기 등을 들 수 있다.
3) 가상놀이(Pretend play)
한 명 이상의 친구가 함께 참여하여 상상으로 어떤 상황을 만들어 내고 그 상황을 놀이하는 유형이다. 소꿉놀이, 병원놀이, 가게놀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상놀이는 아동의 표상능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인지발달을 위해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무언가를 가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인지발달이 선행되어야 가능하며, 가상놀이를 많이 할수록 인지발달이 촉진되는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4) 규칙이 있는 게임(games with rules)
아동기가 되면 카드놀이, 줄넘기, 숨바꼭질 같은 미리 만들어진 규칙에 따라 놀이를 하는 게임이 주가 된다. 때로는 놀이 그 자체보다 규칙을 새로 만들고, 바꾸고, 협상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게임은 유아기 말에 나타나 아동기 말에 절정을 이룬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28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3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