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음악치료
I. 음악치료의 개념
II. 음악치료의 기법
1. 음악연주 그룹
2. 즉흥연주 그룹
3. 즉흥연주 음악치료
4. 창작 작곡, 노래만들기
5. 리듬을 통한 음악치료기법
6. 배경음악을 활용한 기법
III. 음악치료의 실제(정신지체아를 위한 음악치료)
1. 정신지체아가 가지는 공통적인 결핍행동
2. 정신지체아동의 음악치료 시 유의점
3. 중증 정신지체 음악치료 사례
* 참고문헌
I. 음악치료의 개념
II. 음악치료의 기법
1. 음악연주 그룹
2. 즉흥연주 그룹
3. 즉흥연주 음악치료
4. 창작 작곡, 노래만들기
5. 리듬을 통한 음악치료기법
6. 배경음악을 활용한 기법
III. 음악치료의 실제(정신지체아를 위한 음악치료)
1. 정신지체아가 가지는 공통적인 결핍행동
2. 정신지체아동의 음악치료 시 유의점
3. 중증 정신지체 음악치료 사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료할 수 있었다. 사실 영훈이는 일 대 일의 개별 치료를 받아야 했다.
첫 치료시간에 피아노를 부드럽게 연주하자 영훈이는 손을 제외하고는 움직일 수 없는 자세로 있었으며 왼쪽으로 기울어진 머리를 계속적으로 느리고 힘차게 움직이고 있었다.
이런 버릇은 진단평가과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것이 음악에 대한 최초의 반응이었을까?
이런 단서를 받아들여 치료사는 영훈이의 맞은편에 앉아서 그를 보면서 노래 불렀고, 그의 손동작에 맞게 즉흥적인 멜로디를 번갈아 가며 연주하였고, 오토하프로도 연주하였다. 점차 영훈이가 관심을 보이자, 치료사는 영훈이의 손을 잡고 음악에 맞춰 만져주었다.
영훈이는 치료사의 접촉을 받아들였으므로 치료사는 경쾌한 음악에 맞춰 그의 팔을 흔들면서 몸의 긴장을 풀어주었고 음악에 맞춰 걷게 했으며 몸을 앞뒤로 흔들면서 움직이도록 했다. 이와 같은 친밀한 신체적 접촉과 주의 깊은 조정으로 영훈이의 몸이 편안해졌고 반복적인 손의 움직임도 줄어들게 되었다. 그는 눈 앞에 놓여 있는 색 테이프와 스카프를 잡으려 했다. 또한 치료사가 흔들어 보였던 방울을 만지려고 하였다. 영훈이는 치료사의 동작을 따라하면서 무관심에서 벗어나기 시작했으며 음성이나 악기로 하는 즉흥연주로 이를 지지해 주었다. 봉제 동물모형, 손 인형, 거울, 빨간 플라스틱 후프와 같은 비음악적 자료들을 시각적, 촉각적 자극으로 제시하곤 했다.
영훈이는 치료사를 점점 신뢰하고 따르게 되었을 때, 새로운 악기로 북을 사용했다. 북은 그 소리 자체의 특성과 주의를 일깨우는 속성 때문에 선택되었다. 치료시간에 줄곧 북을 그의 앞에 놓아두었다. 영훈이에게 북채를 건네주자 그는 왼손을 내밀긴 했지만, 잡으려고 움직이지는 않았다. 그 다음 세션에 치료사는 북채를 그의 손에 꽉 쥐어주었다. 그러나 영훈이는 곧 북채를 놓았다. 치료사가 다시 그의 손에 북채를 쥐어주었으나, 잠시 쥐었다가 또 떨어뜨렸다. 또 다시 북채를 주었을 때, 그는 오른손을 뻗쳐 잡았다. 그러나 잠시뿐이었고 곧 떨어뜨렸다.
몇 주 동안 손을 잡아 도와주면서 앞서 진술한 과정을 반복한 결과, 영훈이는 북채를 잡는 감각적인 경험을 분명히 하기 시작했다. 영훈이 북채를 잡을 때마다 치료사는 그의 손을 북 위로 갖다 놓고 손으로 치도록 지시했다. 그러자 매우 약하게 북을 두드렸다. 아홉 번째 치료에서 그는 오른손으로 북채를 잡아들더니 왼손으로도 그렇게 하였다. 그리고 나서 잠시 후에 북채를 잡은 왼 손을 든 채로 조용히 있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첫 치료시간에 피아노를 부드럽게 연주하자 영훈이는 손을 제외하고는 움직일 수 없는 자세로 있었으며 왼쪽으로 기울어진 머리를 계속적으로 느리고 힘차게 움직이고 있었다.
이런 버릇은 진단평가과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것이 음악에 대한 최초의 반응이었을까?
이런 단서를 받아들여 치료사는 영훈이의 맞은편에 앉아서 그를 보면서 노래 불렀고, 그의 손동작에 맞게 즉흥적인 멜로디를 번갈아 가며 연주하였고, 오토하프로도 연주하였다. 점차 영훈이가 관심을 보이자, 치료사는 영훈이의 손을 잡고 음악에 맞춰 만져주었다.
영훈이는 치료사의 접촉을 받아들였으므로 치료사는 경쾌한 음악에 맞춰 그의 팔을 흔들면서 몸의 긴장을 풀어주었고 음악에 맞춰 걷게 했으며 몸을 앞뒤로 흔들면서 움직이도록 했다. 이와 같은 친밀한 신체적 접촉과 주의 깊은 조정으로 영훈이의 몸이 편안해졌고 반복적인 손의 움직임도 줄어들게 되었다. 그는 눈 앞에 놓여 있는 색 테이프와 스카프를 잡으려 했다. 또한 치료사가 흔들어 보였던 방울을 만지려고 하였다. 영훈이는 치료사의 동작을 따라하면서 무관심에서 벗어나기 시작했으며 음성이나 악기로 하는 즉흥연주로 이를 지지해 주었다. 봉제 동물모형, 손 인형, 거울, 빨간 플라스틱 후프와 같은 비음악적 자료들을 시각적, 촉각적 자극으로 제시하곤 했다.
영훈이는 치료사를 점점 신뢰하고 따르게 되었을 때, 새로운 악기로 북을 사용했다. 북은 그 소리 자체의 특성과 주의를 일깨우는 속성 때문에 선택되었다. 치료시간에 줄곧 북을 그의 앞에 놓아두었다. 영훈이에게 북채를 건네주자 그는 왼손을 내밀긴 했지만, 잡으려고 움직이지는 않았다. 그 다음 세션에 치료사는 북채를 그의 손에 꽉 쥐어주었다. 그러나 영훈이는 곧 북채를 놓았다. 치료사가 다시 그의 손에 북채를 쥐어주었으나, 잠시 쥐었다가 또 떨어뜨렸다. 또 다시 북채를 주었을 때, 그는 오른손을 뻗쳐 잡았다. 그러나 잠시뿐이었고 곧 떨어뜨렸다.
몇 주 동안 손을 잡아 도와주면서 앞서 진술한 과정을 반복한 결과, 영훈이는 북채를 잡는 감각적인 경험을 분명히 하기 시작했다. 영훈이 북채를 잡을 때마다 치료사는 그의 손을 북 위로 갖다 놓고 손으로 치도록 지시했다. 그러자 매우 약하게 북을 두드렸다. 아홉 번째 치료에서 그는 오른손으로 북채를 잡아들더니 왼손으로도 그렇게 하였다. 그리고 나서 잠시 후에 북채를 잡은 왼 손을 든 채로 조용히 있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와 치료 사례
[미술치료][미술심리치료][미술]재활과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장점, 미술치료의 기법, 미술치...
[음악치료]음악치료의 정의, 음악치료의 목표, 음악치료의 필요성, 음악치료의 성립배경과 역...
[음악치료][음악치료 개념][음악치료 효과][음악치료 형태][음악치료프로그램][음악치료 사례...
[음악치료][음악치료프로그램][음악치료방법][음악치료기법][음악치료사례][음악치료 대상]음...
정신지체 대상 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사례수집
가족상담 및 치료 사례에 대한 국내 학술지를 찾아보고 그 중 관심 있는 사례를 3가지 이상 ...
★우수자료★[음악치료 기법] 음악치료 - 음악치료 정의, 음악치료 목적, 음악치료 대상, 음악...
게슈탈트 음악치료기법에 관하여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