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인기의 발달이론
I. 성인기 발달의 연구 관점
1. 획득과 상실
2. 다차원성과 다방향성
3. 개인내적 변화
II. 성인기의 발달이론
1. 성인기 인지발달이론
1) Schaie의 성인기 인지발달단계 모형
2) Riegel의 변증법적 추론모형
3) Arlin의 문제발견모형
4) Labouvie-Vief의 실용적 사고
2. 성인기 성격발달이론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2) Vaillant의 Grant 연구
(1) 성인 전기
(2) 성인 중기
3) Levinson의 인생주기모형
* 참고문헌
I. 성인기 발달의 연구 관점
1. 획득과 상실
2. 다차원성과 다방향성
3. 개인내적 변화
II. 성인기의 발달이론
1. 성인기 인지발달이론
1) Schaie의 성인기 인지발달단계 모형
2) Riegel의 변증법적 추론모형
3) Arlin의 문제발견모형
4) Labouvie-Vief의 실용적 사고
2. 성인기 성격발달이론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2) Vaillant의 Grant 연구
(1) 성인 전기
(2) 성인 중기
3) Levinson의 인생주기모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areer consolidation)단계라 지칭한다. 50대에 성공적인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회고할 때 성인 전기를 가장 불행하다고 판단하는 반면에, 성공적이지 못한 사람들은 이 시기에 향수를 느낀다고 보고하고 있는 것은 흥미롭다. 40세경 자신의 내부에 시선을 돌릴 여유를 얻게 될 때 성인 전기 직업강화 단계는 끝난다.
2. 성인 중기
일반적으로 중년기를 위기라고 부르는 사회적 통념과는 달리 Grant 연구에서는 중년기가 인생의 가장 평온하고 행복한 시기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잘 적응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일에 종사하며, 자녀를 기르는 기틀을 누리며, 이웃을 돕는 것으로 밝혀졌다. 45 -55세 사이의 중년기에는 오랫동안 억압되어 온 감정을 처리할 수 있을 만큼 성숙하게 되므로, 자신의 과거를 패평가하고, 인간관계를 재정립하는 전환기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Vaillant는 생의 의미 유지를 중년기의 가장 큰 과업으로 보고 있다.
(3) Levinson의 인생주기 모형
<그림> 레빈슨의 인생주기모형
Levinson(1978, 1986)은 근로자, 기업가, 학자, 예술가로 종사하는 35-45세 사이의 남성 40명을 대상으로 삶의 전반에 대해 심층적인 면접을 하여 얻은 자료와, 유명인의 자서전이나 문학작품 속 주인공의 생애를 분석한 결과를 통합하여 인생주기(seasons of life)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는 인생의 주기를 크게 네 개의 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 사이에 세 번의 시기 간 전환기(cross - era transition)를 설정하였다.
Levinson의 성인기 발달모형의 특징은 각 시기에 한 개인의 삶의 기본양식을 뜻하는 인생구조(life structure)를 가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생구조는 '지금 내 삶은 어떠한 모습인가? '라는 의문에 대해 스스로 제시하는 대답을 의미한다. 그는 자신의 중요성을 부여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결혼과 가족, 직업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설명하고 있다.
Levinson에 의하면 각 시기의 인생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계열을 형성한다.
각 시기의 인생구조는 구조가 설정되기 시작하는 초보 인생구조(entry life structure), 각 시기 내에서 구조가 변화하는 전환기(transition), 특정 시기인생구조가 완성되는 절정 인생구조(culminating structure)의 세 단계 유형으로 구성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2. 성인 중기
일반적으로 중년기를 위기라고 부르는 사회적 통념과는 달리 Grant 연구에서는 중년기가 인생의 가장 평온하고 행복한 시기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잘 적응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일에 종사하며, 자녀를 기르는 기틀을 누리며, 이웃을 돕는 것으로 밝혀졌다. 45 -55세 사이의 중년기에는 오랫동안 억압되어 온 감정을 처리할 수 있을 만큼 성숙하게 되므로, 자신의 과거를 패평가하고, 인간관계를 재정립하는 전환기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Vaillant는 생의 의미 유지를 중년기의 가장 큰 과업으로 보고 있다.
(3) Levinson의 인생주기 모형
<그림> 레빈슨의 인생주기모형
Levinson(1978, 1986)은 근로자, 기업가, 학자, 예술가로 종사하는 35-45세 사이의 남성 40명을 대상으로 삶의 전반에 대해 심층적인 면접을 하여 얻은 자료와, 유명인의 자서전이나 문학작품 속 주인공의 생애를 분석한 결과를 통합하여 인생주기(seasons of life)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는 인생의 주기를 크게 네 개의 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 사이에 세 번의 시기 간 전환기(cross - era transition)를 설정하였다.
Levinson의 성인기 발달모형의 특징은 각 시기에 한 개인의 삶의 기본양식을 뜻하는 인생구조(life structure)를 가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생구조는 '지금 내 삶은 어떠한 모습인가? '라는 의문에 대해 스스로 제시하는 대답을 의미한다. 그는 자신의 중요성을 부여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결혼과 가족, 직업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설명하고 있다.
Levinson에 의하면 각 시기의 인생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계열을 형성한다.
각 시기의 인생구조는 구조가 설정되기 시작하는 초보 인생구조(entry life structure), 각 시기 내에서 구조가 변화하는 전환기(transition), 특정 시기인생구조가 완성되는 절정 인생구조(culminating structure)의 세 단계 유형으로 구성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프로이트의 성격발달이론과 융의 성인기 발달 이론에 대하여
[성인학습및상담론 / 3학년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
[성인학습및상담론 공통] 에릭슨, 레빈슨, 로에빙거의 발달이론을 비교설명하시오
성인기의 발달이론을 개념화한 세 학자들(에릭슨, 레빈슨, 로에빙거)의 발달단계 이론 비교·...
[방통대 교육학과 3학년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다양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 중 가장 의미있는 대상을 주목하여 대상 선...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성인기 인지발달이론(Schaie의 성인기 인지발달단계 모형 Riegel의 변증법적 추론모형 Arli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