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파울로 프레이리의 생애
2. 책 속으로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파울로 프레이리의 생애
2. 책 속으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 이유로는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의 교육의 문제점과 그의 해결방안에 대한 자신의 생각 등은 많이 기술되고 소개되었지만 그에 따른 확실한 구체적인 실천이 기술 되어 있는 책 등은 많이 보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책을 계속 읽음으로써 교육적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면서 아쉬웠던 점도 있었지만, 교육자에 대한 생각 또한 많이 하게 되었다. 많은 책에서 교육자로서의 다양한 면모를 배울 수 있었고 예비 교사로써 교육자에 대한 다양한 생각 등을 하게 되었지만, 프레이리는 민중을 교육하겠다는 소명의식을 가진 모든 교육자는 진정으로 민중 안에 투신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 스스로 혁명적 지혜를 가졌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민중과 친교를 이루고 민중의 언어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말한다. ‘그 일을 하는 것은 새로운 존재형태를 필요로 한다.’ 즉 교육자가 민중에게 완전히 동화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나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에 대해 잊고 있었다는 것을 다시한번 깨닫게 되었다. 사범대학에 들어와서 ‘내가 어떻게 교육을 잘 할 수 있을까’라는 내가 주도해서 하는 나만의 교육을 하는 방법만을 계속적으로 생각을 하였지 ‘어떻게 민중을 교육할까’에 관한 생각은 전혀 생각해보지 못했던 부분이였기 때문이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다시 한번 교육자에 대한 본질적인 생각을 다시한번 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남경태 역(2009), 파울루 프레이리 저, 페다고지, 그린비
-김현수(2008), 파울로 프레이리의 대화중심 교사론,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또한 이 책을 계속 읽음으로써 교육적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면서 아쉬웠던 점도 있었지만, 교육자에 대한 생각 또한 많이 하게 되었다. 많은 책에서 교육자로서의 다양한 면모를 배울 수 있었고 예비 교사로써 교육자에 대한 다양한 생각 등을 하게 되었지만, 프레이리는 민중을 교육하겠다는 소명의식을 가진 모든 교육자는 진정으로 민중 안에 투신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 스스로 혁명적 지혜를 가졌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민중과 친교를 이루고 민중의 언어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말한다. ‘그 일을 하는 것은 새로운 존재형태를 필요로 한다.’ 즉 교육자가 민중에게 완전히 동화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나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에 대해 잊고 있었다는 것을 다시한번 깨닫게 되었다. 사범대학에 들어와서 ‘내가 어떻게 교육을 잘 할 수 있을까’라는 내가 주도해서 하는 나만의 교육을 하는 방법만을 계속적으로 생각을 하였지 ‘어떻게 민중을 교육할까’에 관한 생각은 전혀 생각해보지 못했던 부분이였기 때문이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다시 한번 교육자에 대한 본질적인 생각을 다시한번 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남경태 역(2009), 파울루 프레이리 저, 페다고지, 그린비
-김현수(2008), 파울로 프레이리의 대화중심 교사론,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