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남
신체활동을 좋아하며, 활동적이다.
자발적인 신체활동이 힘들다.
말을 전혀 하지 못하나 교사의
지시를 잘 듣는다.
가끔 수업시간에 사라질 수
있다.
자주 소변을 본다.(30분 이내)
침 뱉는 버릇이 있다.
6
남
이동을 할 때 교사나 친구에게 의존을 하려고 한다.
하기 싫은 활동을 할 때 심하게 거부
행동을 한다.
자전거나 공을 제외한 운동에는 자발적 으로 참여를 하지 않는다.
음악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가끔씩 자해행동을 한다.
교사의 손을 끌어 용변의사 를 표현한다.
나
그룹
7
여
신체활동을 싫어하여 신체활동을 할 경 우에 많이 불안해한다.
자발적인 참여가 힘들다.
몸이 굳어있어 보조가 필요하다.
주의집중이 힘들다.
경기약을 복용중이며 가끔 경기 를 하므로 세심히 봐야한다.
기저귀를 착용한다.
8
여
왼손은 활동을 할 수 있다.
휠체어를 사용한다.
최대한 혼자 활동을 하려고 노력한다.
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교사의 지시를 이해한다.
효선이의 말에 상처를 잘
받으며 서로 교사의 관심을
받기 위해 애를 쓴다.
보조기를 착용한다.
다 그룹
9
여
왼다리 종아리에 쥐가 자주난다.
목을 스스로 가누지 못한다.
몸을 사용할 수 없어 신체활동이 힘들 다.
애솔이를 무시하고 공격적인 말로 상처를 준다.
10.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1. 본시 교수-학습 평가
가. 평가목표
구분
학생
수준
학생명
내 용
비 고
평가
목표
가
태권무를 통한 운동기능의 향상을 알 수 있는가?
기본동작을 활용한 태권무를 음악의 맞추어 출 수 있는가?
나
태권무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가?
음악에 맞추어 태권무를 배움으로 신체활동에 즐거움을
알 수 있는가?
다
태권무를 통한 운동기능의 향상을 알 수 있는가?
휠체어 타고 손으로 할 수 있는 태권무의 기본동작을
할 수 있는가?
나. 평가방법
구분
학생
수준
학생명
내 용
비 고
평가
방법
가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수업 중 수행모습을 관찰과 질문을 하면서 체크하여 평가한다.
장애 정도와 학습 수행 능력에 구분을 둔다.
나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수업 중 수행모습을 관찰과 수업
참여도와 반응을 보며 체크하여 평가한다.
장애 정도와 학습 수행 능력에 구분을 둔다.
다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수업 중 수행모습을 관찰과 질문을 하면서 체크하여 평가한다.
장애 정도와 학습 수행 능력에 구분을 둔다.
다. 평가항목 및 성취수준
구분
학생
수준
학생명
내 용
성취수준
1
2
3
평가
항목
가
태권무를 통해 향상되는 운동기능을 알 수 있는가?
기본동작을 활용하여 태권무를 활용할 수 있는가?
음악에 맞추어 태권무를 할 수 있는가?
동료와 함께 태권무를 하여 사회성과 협동심을 가질 수
있는가?
나
태권무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가?
신체활동을 통한 적극성을 가질 수 있는가?
음악에 맞추어 몸을 움직일 수 있는가?
동료와 함께 태권무를 하여 사회성과 협동심을 가질 수
있는가?
다
태권무를 통해 향상되는 운동기능을 알 수 있는가?
휠체어를 타고 손으로 할 수 있는 기본동작을 활용하여
태권무를 할 수 있는가?
음악에 맞추어 태권무의 손동작을 할 수 있는가?
동료와 함께 태권무를 하여 사회성과 협동심을 가질 수
있는가?
※성취수준은 1, 2 3으로 표기 한다(1:미흡, 2:보통, 3:잘함).
12.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계획
- 학생은 활동을 전반적으로 신체적인 보조를 해주어 활동에 참여하도록 지원한다.
- 학생은 자리이탈 및 자해 등의 돌발행동을 할 때 자리에 착석하도록 하고, 자해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보조한다.
- 학생은 휠체어 사용을 보조하여준다.
신체활동을 좋아하며, 활동적이다.
자발적인 신체활동이 힘들다.
말을 전혀 하지 못하나 교사의
지시를 잘 듣는다.
가끔 수업시간에 사라질 수
있다.
자주 소변을 본다.(30분 이내)
침 뱉는 버릇이 있다.
6
남
이동을 할 때 교사나 친구에게 의존을 하려고 한다.
하기 싫은 활동을 할 때 심하게 거부
행동을 한다.
자전거나 공을 제외한 운동에는 자발적 으로 참여를 하지 않는다.
음악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가끔씩 자해행동을 한다.
교사의 손을 끌어 용변의사 를 표현한다.
나
그룹
7
여
신체활동을 싫어하여 신체활동을 할 경 우에 많이 불안해한다.
자발적인 참여가 힘들다.
몸이 굳어있어 보조가 필요하다.
주의집중이 힘들다.
경기약을 복용중이며 가끔 경기 를 하므로 세심히 봐야한다.
기저귀를 착용한다.
8
여
왼손은 활동을 할 수 있다.
휠체어를 사용한다.
최대한 혼자 활동을 하려고 노력한다.
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교사의 지시를 이해한다.
효선이의 말에 상처를 잘
받으며 서로 교사의 관심을
받기 위해 애를 쓴다.
보조기를 착용한다.
다 그룹
9
여
왼다리 종아리에 쥐가 자주난다.
목을 스스로 가누지 못한다.
몸을 사용할 수 없어 신체활동이 힘들 다.
애솔이를 무시하고 공격적인 말로 상처를 준다.
10.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1. 본시 교수-학습 평가
가. 평가목표
구분
학생
수준
학생명
내 용
비 고
평가
목표
가
태권무를 통한 운동기능의 향상을 알 수 있는가?
기본동작을 활용한 태권무를 음악의 맞추어 출 수 있는가?
나
태권무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가?
음악에 맞추어 태권무를 배움으로 신체활동에 즐거움을
알 수 있는가?
다
태권무를 통한 운동기능의 향상을 알 수 있는가?
휠체어 타고 손으로 할 수 있는 태권무의 기본동작을
할 수 있는가?
나. 평가방법
구분
학생
수준
학생명
내 용
비 고
평가
방법
가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수업 중 수행모습을 관찰과 질문을 하면서 체크하여 평가한다.
장애 정도와 학습 수행 능력에 구분을 둔다.
나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수업 중 수행모습을 관찰과 수업
참여도와 반응을 보며 체크하여 평가한다.
장애 정도와 학습 수행 능력에 구분을 둔다.
다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수업 중 수행모습을 관찰과 질문을 하면서 체크하여 평가한다.
장애 정도와 학습 수행 능력에 구분을 둔다.
다. 평가항목 및 성취수준
구분
학생
수준
학생명
내 용
성취수준
1
2
3
평가
항목
가
태권무를 통해 향상되는 운동기능을 알 수 있는가?
기본동작을 활용하여 태권무를 활용할 수 있는가?
음악에 맞추어 태권무를 할 수 있는가?
동료와 함께 태권무를 하여 사회성과 협동심을 가질 수
있는가?
나
태권무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가?
신체활동을 통한 적극성을 가질 수 있는가?
음악에 맞추어 몸을 움직일 수 있는가?
동료와 함께 태권무를 하여 사회성과 협동심을 가질 수
있는가?
다
태권무를 통해 향상되는 운동기능을 알 수 있는가?
휠체어를 타고 손으로 할 수 있는 기본동작을 활용하여
태권무를 할 수 있는가?
음악에 맞추어 태권무의 손동작을 할 수 있는가?
동료와 함께 태권무를 하여 사회성과 협동심을 가질 수
있는가?
※성취수준은 1, 2 3으로 표기 한다(1:미흡, 2:보통, 3:잘함).
12.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계획
- 학생은 활동을 전반적으로 신체적인 보조를 해주어 활동에 참여하도록 지원한다.
- 학생은 자리이탈 및 자해 등의 돌발행동을 할 때 자리에 착석하도록 하고, 자해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보조한다.
- 학생은 휠체어 사용을 보조하여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