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론] - 기관지표와 운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론] - 기관지표와 운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0)
88
(4.8)
41
(2.2)
769
(41.7)
886
(48.0)
29
(1.6)
0
(0.0)
32
(1.7)
2015
상승
192
(9.2)
14
(7.3)
4
(2.1)
77
(40.1)
93
(48.4)
2
(1.0)
0
(0.0)
2
(1.0)
동일*
74
(3.5)
9
(12.2)
2
(2.7)
36
(48.6)
25
(33.8)
2
(2.7)
0
(0.0)
0
(0.0)
하락
1,824
(87.3)
67
(3.7)
44
(2.4)
865
(47.4)
814
(44.6)
15
(0.8)
5
(0.3)
14
(0.8)
총계
2,090
(100.0)
90
(4.3)
50
(2.4)
978
(46.8)
932
(44.6)
19
(0.9)
5
(0.2)
16
(0.8)
2016.8
상승
81
(8.3)
5
(6.2)
2
(2.5)
18
(22.2)
53
(65.4)
1
(1.2)
0
(0.0)
2
(2.5)
동일*
45
(4.6)
5
(11.1)
5
(11.1)
8
(17.8)
21
(46.7)
4
(8.9)
0
(0.0)
2
(4.4)
하락
850
(87.1)
57
(6.7)
51
(6.0)
312
(36.7)
393
(46.2)
24
(2.8)
3
(0.4)
10
(1.2)
총계
976
(100.0)
67
(6.9)
58
(5.9)
338
(34.6)
467
(47.8)
29
(3.0)
3
(0.3)
14
(1.4)
* 동일의 경우 평가인증 점수 대비 확인점검 점수 ±0.5점 이내
※ 위 결과는 확인점검 진행 중단(견학, 현장학습 등) 및 재확인점검을 제외한 최초 확인점검 점수임
<표2. 어린이집 확인점검 결과(2014~2016.8)>
<표3. 어린이집 평가인증 및 확인점검 점수표>
(단위 : 개소, (%), 2016.8월말 기준)
구분
평가인증 점수
확인점검 점수*
2014
2015
2016.8
2014
2015
2016.8
75점 미만
-
-
-
416
(22.5)
397
(19.0)
83
(8.5)
75점 이상
~ 95점 미만
4,922
(38.8)
4,168
(35.1)
2,560
(36.4)
1,373
(74.5)
1,594
(76.3)
798
(81.8)
95점 이상
7,756
(61.2)
7,703
(64.9)
4,474
(63.6)
56
(3.0)
99
(4.7)
95
(9.7)
전체
12,678
(100.0)
11,871
(100.0)
7,034
(100.0)
1,845
(100.0)
2,090
(100.0)
976
(100.0)
* 평가인증 점수는 각 연도말 기준, 인증통과 점수임. 인증결과 총점 및 영역별 점수 75점이상일 경우 인증
* 확인점검 결과는 확인점검 진행 중단(견학, 현장학습 등) 및 재확인점검을 제외한 최초 확인점검 점수임
한편‘어린이집 평가인증 및 확인점검 점수표’에 의하면 2016.8월 현재 평가인증 시 95점 이상을 받은 어린이집이 63.4%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확인점검 결과 95점 이상인 어린이집은 9.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평가인증과 확인점검 점수의 괴리가 매우 큰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서 75점 이하는 인증을 받을 수 없고, 확인점검 시 75점 이하면 재점검 후 유효기관을 6개월 감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확인점검 시 75점 미만이 2015년 19.0%(397개소), 2016년 8월 현재 8.5%(83개소)로 나타나 확인점검제도가 시행된 지 4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평가인증 후 점수 하락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듯, 어린이집 평가인증 확인점검 결과를 살펴보면 87.1%의 어린이집에서 평가인증 점수가 하락하였고 평가인증 시 75점 이하는 인증을 받을 수 없고, 확인 점검 시 75점 이하는 재검검 후 유효기간을 6개월 감축하고 있는데도 2016년 8월 현재 확인점검 시 75점 미만이 8.5%로 나타났다. 인증 유지 점수인 95점 이상 어린이집도 9.7%에 불과하는 등 어린이집 평가인증 후 사후관리가 제대로 안 되고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평가로서의 평가로 끝나는 것이 아닌 평가 이후 꾸준히 질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안은 어떤 것이 있을지 논의해보자
-> 어린이집에서 평가인증을 받을 때 보육교사는 격무에 시달리며 정작 아이들을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 마련이다. 또한 어린이집 평가인증 점수 올리기에 몰입한 결과 평가인증 평균 점수가 95.4점으로 변별력이 있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설립유형별, 규모별 평정기준을 차별화하여 평가요소의 평정을 다르게 적용함으로서 변별력을 가질 수 있는 평가방법을 도입하는 측면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광주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 (2014). 유치원 평가 매뉴얼 (유치원용),교육부
2016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제 3차 지표 시범사업용)
홈페이지-정보마당-보육통계-평가인증
2006년도 보육사업안내
차명숙(2015). 어린이집 평가인증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 배경요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199-213
강경희(2014).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육·보육과정 영역 평가지표 비교 분석, 영아교육학회지, 18(3), 387-409
이진희, 이혜정(2016).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의 유용성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경험 및 인식, 아동교육, 25(2), 141-164
김현경·송경섭(2015)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지표 이해, 평가과정 주도성 차이와 유보 통합 평가지표 요구 간 상관성. 유아교육학회지. 24(2), 145-167
서예석(2015).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와 운영체계에 대한 보육 교직원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하정희(2011).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와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비교 연구. 변형영유아교육연구, 5(1), 49-72
정다은(2011). 유치원의 국가수준 평가지표 관리에 대한 연구(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 록
표1. 평가지표 가중치 적용 지표
표2.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3차 지표의 예
표3. 설립유형별, 규모별 평정기준 차별화 적용 지표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