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은 곧 형식과 조화를 중시하는 그들과 우리의 국민성이 아닐까? 다시 말해 젓가락의 형태는 비록 다르지만 그 바탕에 깔린 문화의 정신은 동질적이라는 것이다.
③ 손 문화의 발달
젓가락은 단순한 음식도구가 아니라 손이 연장된 인체기관의 일부다. 젓가락을 쓸 때는 적어도 손바닥, 손목, 팔굽 등 30여개의 관절과 50여개의 근육이 움직인다고 한다. 그래서 젓가락을 자주 사용하면 뇌 발달을 촉진해 머리가 좋아지고 손동작도 정교해진다.
한국과 중국은 오랜 젓가락 문화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 서계 어느 나라보다 손놀림이 민첩해 졌고 그래서 손에 의한 문화를 창조할 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젓가락을 사용한 결과, 중국 사람들의 손놀림은 엄청나게 정교해졌다. 사 진은 상아구로서 중국 정밀조각의 걸작이다.>
중국의 박물관을 가보면 알겠지만 정교하기 이를 데 없는 유물이 많다. 이를테면 상아로 공을 만든 것이 있는데 그 공속에 또 다른 공이 있다. 이렇게 해서 모두 아홉 개의 공이 있는데 흔들면 제각 기 구르는 소리가 요란하다. 그뿐이 아니다. 조그마한 쌀 한 톨에 수십 자의 한자를 새긴 것도 있고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대나무잎 으로 만든 곤충이나 손으로
③ 손 문화의 발달
젓가락은 단순한 음식도구가 아니라 손이 연장된 인체기관의 일부다. 젓가락을 쓸 때는 적어도 손바닥, 손목, 팔굽 등 30여개의 관절과 50여개의 근육이 움직인다고 한다. 그래서 젓가락을 자주 사용하면 뇌 발달을 촉진해 머리가 좋아지고 손동작도 정교해진다.
한국과 중국은 오랜 젓가락 문화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 서계 어느 나라보다 손놀림이 민첩해 졌고 그래서 손에 의한 문화를 창조할 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젓가락을 사용한 결과, 중국 사람들의 손놀림은 엄청나게 정교해졌다. 사 진은 상아구로서 중국 정밀조각의 걸작이다.>
중국의 박물관을 가보면 알겠지만 정교하기 이를 데 없는 유물이 많다. 이를테면 상아로 공을 만든 것이 있는데 그 공속에 또 다른 공이 있다. 이렇게 해서 모두 아홉 개의 공이 있는데 흔들면 제각 기 구르는 소리가 요란하다. 그뿐이 아니다. 조그마한 쌀 한 톨에 수십 자의 한자를 새긴 것도 있고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대나무잎 으로 만든 곤충이나 손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