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론 해환 - 문학적 생애 작품 경향을 통한 작품 보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윤동주론 해환 - 문학적 생애 작품 경향을 통한 작품 보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미학
윤동주의 시에는 그의 여린 감성과 섬세한 감정표현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내적 성찰을 통한 부끄러움의 미학으로 구체화된다. 시인이 부끄러워하는 이유는 암울한 시대에서 빛이 되지 못하는 자신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행동성의 결여에 대한 것이다. 부끄러움은 그의 시 세계의 기본 바탕을 이루며 철저한 자기 성찰을 통한 자기완성을 지향하게 해 주는 원동력이 된다.
잃어버렸습니다. / 무얼 어디다 잃었는지 몰라
두 손이 주머니를 더듬어 / 길에 나아갑니다.
돌과 돌이 끝없이 연달아 / 길은 돌담을 끼고 갑니다.
담은 쇠문을 굳게 닫아 / 길 위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길은 아침에서 저녁으로 / 저녁에서 아침으로 통했습니다.
돌담을 더듬어 눈물짓다 / 쳐다보면 하늘은 부끄럽게 푸릅니다.
풀 한 포기 없는 이 길을 걷는 것은 / 담 저 쪽에 내가 남아 있는 까닭이고,
내가 사는 것은, 다만, / 잃은 것을 찾는 까닭입니다.
「길」 전문, 1941. 9.
이 시에서 ‘길’은 자아 성찰과 수련을 통해 진정한 존재의 의미에 다다르기 위한 과정을 상징한다. 시적 화자가 ‘잃어버린’ 것은 ‘담 저쪽에 있는 나’이다. 그러나 돌담이 ‘담 저쪽의 나’와 ‘이쪽의 나’를 가로막고, 쇠문이 굳게 닫혀 있기에 화자가 목적한 곳에 다다르기까지는 시련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길’을 걸어간다는 것은 시련을 극복한다는 정신적 의미를 가진다. 화자는 진실된 나를 찾는 것을 포기하지 않는다. 아직 자신이 지향하는 완전한 경지에 도달하지 못한 화자가 쳐다본 ‘하늘’ ‘하늘’과 비슷한 소재가 등장하는 윤동주의 다른 작품으로는 「자화상」과 「참회록」이 있다. 「자화상」에서 시적 화자는 ‘우물’을 들여다보며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며, 「참회록」에서 화자는 자신의 얼굴이 남아있는 구리거울을 보며 심한 부끄러움을 느낀다.
은 현실적 자아의 모습을 일깨워 주는 지고한 존재로, 화자에게 부끄러운 마음을 갖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끄러움은 화자가 비본질적인 존재임을 깨우쳐 주고 반성하게 만들며, ‘담 저쪽에 나’를 찾도록 북돋아 준다.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속에 / 내 얼골이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王朝)의 유물이기에 /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참회(懺悔)의 글을 한줄에 줄이자
만 24년 1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 왔든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줄의 참회록을 써야한다
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든가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 보자.
그러면 어느 운석(隕石)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 거울 속에 나타나온다.
「참회록」전문, 1942. 1. 24.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이 시의 1~3연은 시적 화자가 ‘과거(1연)→현재(2연)→미래(3연)’로 이어지는 자신의 삶을 차례로 참회하는 과정을 보여 준다. 화자는 일제강점의 암흑기에 시대적 책임을 지지 못하고 살아가는 자신을 깊이 성찰하고 참회한다.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은 죽은 왕조의 유물이고, ‘나’는 죽은 왕조의 유물에 얼굴을 비치고 있다. 시인은 그런 자신이 욕되다고 표현하고 있다. 죽은 역사와도 같은 현실사회에서 아무런 빛이 되지 못하는 자신의 삶이 부끄럽지만 하지만, 화자는 내일이나 모레 언젠가는 즐거운 날도 있을 것을 상상하면서 바른 삶을 위해 열심히 거울을 닦는다. 즉 자신을 수양하는 것이다.
자아 성찰의 매개체인 ‘구리거울’이 역사적 유물이라는 점에 주목한다면 시인은 자아의 성찰에서 범위를 확장하여 민족 공동체와 역사에 대한 성찰로까지 나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기독교적 세계관의 구현 - 저항의지와 자기 희생 정신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