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蓋蘇文) 등)
황검(黃) : 황색을 한 분장은 백색보다 약한 성격의 일종 간물역(奸物役)으로 사용. 정(淨)역할이 황검을 하면 포악하지만 민첩하고 용맹스러운 인물을 나타낸다. (예, 희료(姬僚))
금검(金) : 금색을 필한 분장은 신선(神仙)류에 사용한다. 영민하고 용맹스러운 장관 또한 얼굴 위에 금색을 칠할 수 있다.
(예, 여래불(如來佛), 금타(金), 이랑신(二郞神)등)
은검(銀) : 금색 다음가는 성격을 나타내는 화장. (예, 재신(財神))
분홍검(粉紅) : 적색 다음가는 성격에 사용, 홍검의 노년기를 상징.
(예, 엄안(嚴顔), 황개(黃蓋)등)
흙석검(石) : 홍갈색을 주로 한 이 분장은 정력있는 노인역에 사용.
(예, 이극용(李克用), 목천왕(穆天王)등)
회검(灰) : 회색을 주로 한 화장을 한 인물은 늙은이.
분백검(粉白) : 대백검(大白)이라고도 하는데, 백분(白粉)을 바른 이 인물은 속이 검은 사람임을 뜻하고, 얼굴을 하얗게 바른 인물은 간물(奸物)중에서 거물급이어서 삼국지(三國志)의 조조(曹操)는 그 대표적이다. 백검안에는 삼괴와검(三塊瓦)이 많은데, 그 중에는 보통은 뽀족한 눈썹을 그리고 날카로운 눈을 그린다. 용모가 추악하며 도둑같은 눈의 외형으로 처리되는 인물로 그려지는 인물인 사악한 인물로는 예를 들면 고등(高登), 조고(趙高)등이 모두 이와같은 이미지이다. 백검안에도 또한 개별적으로 흔치 않게 긍정적인 인물이 있다 노지심(魯智深)은 용감하고 웅건하며 선량한 스님으로 흰색의 스님얼굴을 한 이미지이다
변검()BIAN LIAN
중국 전통극 중 하나로, 연기자가 얼굴에 가면을 순식간에 바꾸는 마술과 비슷한 공연)은 중국 전통극중 인물을 나타내는 한가지 특기로서 극중 인물의 내심과 사상,감정을 표현하는 일종의 낭만주의 수법이다.
전설속의 \"변검\"은 고대 인류가 흉악한 짐승들을 대처하기 위해 자신의 얼굴에 각가지 형태의 그림을 그린 것이다.
변검의 수법은 대체로 말검(抹,얼굴에 바르기), 취검(吹, 얼굴에 불기), 차검(찢거나 당기기) 등 세가지로 나누며 그 외 \"운기\"변검도 있다.
\"말검\"은 도란을 얼굴의 모 특정부위에 바른 후 손으로 골고루 문질러 또 다른 얼굴색을 내게 하는 것이다. 만일 얼굴색 전체가 변하게 하려면 도란을 이마 혹은 눈썹위에 바르고, 만일 얼굴 아랫부분만 변색하게 하려면 도란을 얼굴 혹은 코 위에 바른다. 경극에서 \"백사전(白蛇傳)\"중의 허선, \"비운검\"중의 진륜 등 인물은 모두 \"말검\"의 수법을 사용한다.
\"취검\"은 분말상태의 화장품에 적용된다. 예를 든다면 금가루, 먹가루, 은가루 등을 말한다. 전통극 공연중 무대의 지면위에 자그마한 함을 놓고 함안에 분말을 넣어둔다. 배우들은 지면에서 구르기 동작을 하면서 함을 가까이 하고 크게 한번 불면 분말가루가 얼굴에 묻어 또 다른 얼굴색을 내게 된다. 단 주의할 점은 분말을 불 때 눈을 뜨거나 숨을 쉬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차검\"은 비교적 복잡한 변검방법이다. 사전에 하나하나의 비단으로 된 가면을 규격에 알맞게 잘 오려낸 다음 매개 가면위에 가는 실을 매고 한장 한장씩 얼굴에 부친다. 가면에 맨 실은 손이 쉽게 닿고 사람들의 시선을 잘 피할 수 있는(예를 들어 허리띠 등) 옷의 모 부위에 묶는다. 줄거리의 발전과 함께 각종 화려한 몸놀림의 공연중에 가면을 한장 한장씩 당겨내려여러가지 얼굴형태를 낼 수 있다.
그 외 또 한가지 방법은 \"운기변검\"이다. \"운기변검\"은 기공을 운용해 얼굴이 붉은색에서 흰색으로, 흰색에서 파란색을 띄게 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변검은 중국 전통극중에서 탁월한 기예라고 할수 있다.
7. 경극의 개혁
중국정부 수립과(1949년 9월) 함께 만들어진 중국전통극 연구원과 중국경극원을 중심으로, 국가 문화 정책의 하나로서 전통극에 대한 개혁운동이 추진되었다.
<백화제방(百花齊放;낡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내놓는다)>이라는 방침 아래, 경극에 대해서도 각본·연출의 양면에서 봉건적인 내용을 제거하고 민중의 창조에 관련되는 것들을 발굴하는 작업이 조직적으로 실시되었다. 이것은 1920년대부터 매란방 등 유명한 배우들에 의해 시작된 바 있는, 경극의 근대화를 더욱 강력하게 추진한 것으로 <낡은 가죽부대에 새술을 담자>라고 하여 현대연극의 종목도 창작되었다. 64년 베이징에서 현대경극경연대회가 개최되어 이들 연극 개혁이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는데, 그 주도자 장칭[江靑] 등은 《홍등기(紅燈記)》 《지취위호산(智取威虎山)》 《사가빈(沙家濱)》등 5개의 현대경극을 모범극으로 하고 고전연극 작품의 상연을 일체 금지한다는 폭정(暴政)으로 경극뿐만 아니라 중국연극계 전체에 10여 년에 달하는 질식 상태를 가져왔다. 현대경극은 경극혁명화의 이름 아래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여 무대구성·연기와 함께 대화극(對話劇)에 크게 접근시키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문화 혁명의 종결과 함께 70년대 말에는 연극계도 새롭게 소생하여 고전종목도 무대를 화려하게 장식하기 시작하였다.
경극은 문화대혁명을 겪으면서 변질되어 전통을 상실했지만 등소평 정권이 들어선 후에는 기존의 강압적 예술 정책이 와해되는 가운데 문화 대 혁명기에 공연 금지 당했던 레퍼토리가 다시 상연되고 표현적 기법 면에서 자유화를 이루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는 스포츠, 영화, 텔레비전등에게 자리를 내어주고 젊은 층의 관심을 끌지 못한 채 퇴보하고 되었다. 중국 정부는 경극을 국보로 지정하고 문예계는 전통예술의 특성과 지방문화의 독립성을 인정하면서 경극을 비롯한 지방극이 활성화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중앙정부와 각 성 정부에서는 서로가 협력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재조명을 시도하고 있으며 각급 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도 힘을 쓰고 있다.
참고사이트
http://cafe.daum.net/aiyinyue/17Sk/7 중국 경극의 개혁 및 유래
http://cafe.daum.net/quanming/3ceJ/20 중국 경극의 배역
http://cafe.daum.net/anyangjingju 검보
참고도서
송철규, 경극 (살림, 2004)
강옥균, 중국문화오디세이
황검(黃) : 황색을 한 분장은 백색보다 약한 성격의 일종 간물역(奸物役)으로 사용. 정(淨)역할이 황검을 하면 포악하지만 민첩하고 용맹스러운 인물을 나타낸다. (예, 희료(姬僚))
금검(金) : 금색을 필한 분장은 신선(神仙)류에 사용한다. 영민하고 용맹스러운 장관 또한 얼굴 위에 금색을 칠할 수 있다.
(예, 여래불(如來佛), 금타(金), 이랑신(二郞神)등)
은검(銀) : 금색 다음가는 성격을 나타내는 화장. (예, 재신(財神))
분홍검(粉紅) : 적색 다음가는 성격에 사용, 홍검의 노년기를 상징.
(예, 엄안(嚴顔), 황개(黃蓋)등)
흙석검(石) : 홍갈색을 주로 한 이 분장은 정력있는 노인역에 사용.
(예, 이극용(李克用), 목천왕(穆天王)등)
회검(灰) : 회색을 주로 한 화장을 한 인물은 늙은이.
분백검(粉白) : 대백검(大白)이라고도 하는데, 백분(白粉)을 바른 이 인물은 속이 검은 사람임을 뜻하고, 얼굴을 하얗게 바른 인물은 간물(奸物)중에서 거물급이어서 삼국지(三國志)의 조조(曹操)는 그 대표적이다. 백검안에는 삼괴와검(三塊瓦)이 많은데, 그 중에는 보통은 뽀족한 눈썹을 그리고 날카로운 눈을 그린다. 용모가 추악하며 도둑같은 눈의 외형으로 처리되는 인물로 그려지는 인물인 사악한 인물로는 예를 들면 고등(高登), 조고(趙高)등이 모두 이와같은 이미지이다. 백검안에도 또한 개별적으로 흔치 않게 긍정적인 인물이 있다 노지심(魯智深)은 용감하고 웅건하며 선량한 스님으로 흰색의 스님얼굴을 한 이미지이다
변검()BIAN LIAN
중국 전통극 중 하나로, 연기자가 얼굴에 가면을 순식간에 바꾸는 마술과 비슷한 공연)은 중국 전통극중 인물을 나타내는 한가지 특기로서 극중 인물의 내심과 사상,감정을 표현하는 일종의 낭만주의 수법이다.
전설속의 \"변검\"은 고대 인류가 흉악한 짐승들을 대처하기 위해 자신의 얼굴에 각가지 형태의 그림을 그린 것이다.
변검의 수법은 대체로 말검(抹,얼굴에 바르기), 취검(吹, 얼굴에 불기), 차검(찢거나 당기기) 등 세가지로 나누며 그 외 \"운기\"변검도 있다.
\"말검\"은 도란을 얼굴의 모 특정부위에 바른 후 손으로 골고루 문질러 또 다른 얼굴색을 내게 하는 것이다. 만일 얼굴색 전체가 변하게 하려면 도란을 이마 혹은 눈썹위에 바르고, 만일 얼굴 아랫부분만 변색하게 하려면 도란을 얼굴 혹은 코 위에 바른다. 경극에서 \"백사전(白蛇傳)\"중의 허선, \"비운검\"중의 진륜 등 인물은 모두 \"말검\"의 수법을 사용한다.
\"취검\"은 분말상태의 화장품에 적용된다. 예를 든다면 금가루, 먹가루, 은가루 등을 말한다. 전통극 공연중 무대의 지면위에 자그마한 함을 놓고 함안에 분말을 넣어둔다. 배우들은 지면에서 구르기 동작을 하면서 함을 가까이 하고 크게 한번 불면 분말가루가 얼굴에 묻어 또 다른 얼굴색을 내게 된다. 단 주의할 점은 분말을 불 때 눈을 뜨거나 숨을 쉬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차검\"은 비교적 복잡한 변검방법이다. 사전에 하나하나의 비단으로 된 가면을 규격에 알맞게 잘 오려낸 다음 매개 가면위에 가는 실을 매고 한장 한장씩 얼굴에 부친다. 가면에 맨 실은 손이 쉽게 닿고 사람들의 시선을 잘 피할 수 있는(예를 들어 허리띠 등) 옷의 모 부위에 묶는다. 줄거리의 발전과 함께 각종 화려한 몸놀림의 공연중에 가면을 한장 한장씩 당겨내려여러가지 얼굴형태를 낼 수 있다.
그 외 또 한가지 방법은 \"운기변검\"이다. \"운기변검\"은 기공을 운용해 얼굴이 붉은색에서 흰색으로, 흰색에서 파란색을 띄게 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변검은 중국 전통극중에서 탁월한 기예라고 할수 있다.
7. 경극의 개혁
중국정부 수립과(1949년 9월) 함께 만들어진 중국전통극 연구원과 중국경극원을 중심으로, 국가 문화 정책의 하나로서 전통극에 대한 개혁운동이 추진되었다.
<백화제방(百花齊放;낡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내놓는다)>이라는 방침 아래, 경극에 대해서도 각본·연출의 양면에서 봉건적인 내용을 제거하고 민중의 창조에 관련되는 것들을 발굴하는 작업이 조직적으로 실시되었다. 이것은 1920년대부터 매란방 등 유명한 배우들에 의해 시작된 바 있는, 경극의 근대화를 더욱 강력하게 추진한 것으로 <낡은 가죽부대에 새술을 담자>라고 하여 현대연극의 종목도 창작되었다. 64년 베이징에서 현대경극경연대회가 개최되어 이들 연극 개혁이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는데, 그 주도자 장칭[江靑] 등은 《홍등기(紅燈記)》 《지취위호산(智取威虎山)》 《사가빈(沙家濱)》등 5개의 현대경극을 모범극으로 하고 고전연극 작품의 상연을 일체 금지한다는 폭정(暴政)으로 경극뿐만 아니라 중국연극계 전체에 10여 년에 달하는 질식 상태를 가져왔다. 현대경극은 경극혁명화의 이름 아래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여 무대구성·연기와 함께 대화극(對話劇)에 크게 접근시키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문화 혁명의 종결과 함께 70년대 말에는 연극계도 새롭게 소생하여 고전종목도 무대를 화려하게 장식하기 시작하였다.
경극은 문화대혁명을 겪으면서 변질되어 전통을 상실했지만 등소평 정권이 들어선 후에는 기존의 강압적 예술 정책이 와해되는 가운데 문화 대 혁명기에 공연 금지 당했던 레퍼토리가 다시 상연되고 표현적 기법 면에서 자유화를 이루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는 스포츠, 영화, 텔레비전등에게 자리를 내어주고 젊은 층의 관심을 끌지 못한 채 퇴보하고 되었다. 중국 정부는 경극을 국보로 지정하고 문예계는 전통예술의 특성과 지방문화의 독립성을 인정하면서 경극을 비롯한 지방극이 활성화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중앙정부와 각 성 정부에서는 서로가 협력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재조명을 시도하고 있으며 각급 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도 힘을 쓰고 있다.
참고사이트
http://cafe.daum.net/aiyinyue/17Sk/7 중국 경극의 개혁 및 유래
http://cafe.daum.net/quanming/3ceJ/20 중국 경극의 배역
http://cafe.daum.net/anyangjingju 검보
참고도서
송철규, 경극 (살림, 2004)
강옥균, 중국문화오디세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