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힘듭니다. 또한 식이요법중인 환자에서는 정기적으로 섭취하는 식사가 적절한지와 영양 상태를 평가하여 영양상의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평가- (5.17) 계획대로 교육을 시행하였으며 질문을 통해 대상자가 교육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함을 확인하였다.
- (5.17) 대상자가 교육 자료에 대하여 만족감을 표현하였고 앞으로 잘 실천해야겠다고 말하며 식이 관리 실천 의지를 드러내었다.
-(5.17~) 대상자가 나트륨 함량이 많은 간식,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등 투석 식이 실천을 위해 노력하였다.
# 간호진단 3 : 신장 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5.8~) 임상검사 결과, 혈중 BUN, Cr 수치 상승,
Na, K, Cl, albumin 수치 감소
배설량보다 섭취량이 많음
내용
단위
정상치
5.8
5.10
5.11
5.15
Blood chemistry
Na(mEq/L)
136~145
133▼
134▼
132▼
139
K(mEq/L)
3.5~5.0
3.2▼
3.4▼
3.9▲
4.1
Cl(mEq/L)
98~106
90▼
93▼
93▼
96▼
albumin(g/dL)
3.5~5.5
2.8▼
2.6▼
2.3▼
3.2▼
BUN(mg/dL)
6~20
22.0▲
22.0▲
27▲
37.0▲
Urine analysis
Creatinine
0.6~1.5
4.64▲
4.58▼
6.06▲
6.09▲
목적 - 적절한 전해질 균형을 유지한다.
평가기준
-퇴원 시 까지 Na, K, Cl, albumin, BUN, Creatinine 수치가 각각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퇴원 시 까지 섭취량과 배설량의 차이가 500이하가 된다.
계획
중재
이론적 근거
1.환자에게 전해질 불균형 증상이 있는지 사정하고 중재한다.
1) 환자에게 저나트륩혈증 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오심, 구토, 식욕감퇴, 복부경련, 혼란, 무기력, 혼수상태, 경련, 근육경련 등
식욕감퇴, 무기력한 증상을 보임
☞저나트륨혈증 증상 완화를 위해 N/S 100ml를 1일 2회씩 정맥 투여하였고 후에 다시 사정한 결과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음.(5.8~)
2) 환자에게 저칼륨혈증의 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빈맥, 근육무기력, 기면, 식욕부진, 부정맥, 심장마비 등
식욕부진의 증상을 보임
☞이뇨제 투여 후의 저칼륨 증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K-contin 600mg tab을 1일 2회 경구 투여하였고 다시 사정한 결과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음.(5.8~)
(1) 저나트륨혈증의 초기 증상은 오심, 구토, 식욕감퇴, 복부경련을 포함한다. 후기 징후로는 혼란, 무기력, 혼수상태, 경련, 근육경련과 같은 변화된 신경학적 기능을 포함한다.
(2) 저칼륨혈증은 furosemide와 같은 고리이뇨제의 과도한 복용으로부터 발생하는 빈번한 부작용이다. 추가적으로 격렬한 근육활동과 심한 구토, 설사가 칼륨의 상당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뉴런과 근육섬유는 칼륨손실에 가장 민감하고 근육무기력, 기면, 식욕부진, 부정맥, 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2. 혈액 투석 치료를 시행한다.
1) 혈액투석 치료를 시행하였다.
5.11(14:15)~(16:15)
5.13(08:45)~(11:59)
5.16(13:20)~(17:20)
5.19(13:15)~(17:15)
☞신부전으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혈액투석을 받았음.
3 임상검사의 수치를 확인한다
1) 매일 임상검사의 수치를 측정한다.(5.8~)
5.8
5.10
5.11
5.15
Na
133▼
134▼
132▼
139
K
3.2▼
3.4▼
3.9▲
4.1
Cl
90▼
93▼
93▼
96▼
albumin
2.8▼
2.6▼
2.3▼
3.2▼
BUN
22.0▲
22.0▲
27▲
37.0▲
Cr
4.64▲
4.58▼
6.06▲
6.09▲
→ 수치 측정 결과, 정상 수치에 다소 가까워 진 양상을 보임.
(1) BUN은 신장기능에 문제가 있으면 배설되지 않기 때문에 혈중 BUN수치는 증가한다.
Cr은 근육 내에 존재하는 에너지원으로 신장기능과 근육량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신장 기능을 살피는 데에 중요한 지표이다.
K은 주로 신장에서 배설되며 급성신부전 등과 같이 신장기능이 약해지면 혈중 K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2014, P.360)
4.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1) 이뇨제를 투여한다.
Furosemide Tab 40mg 1일 1회(5.8~)
→배뇨량이 증가하였음.
2) N/S를 정맥 주입한다.
N/S 100ml 1일 2회(5.8~)
→나트륨, 염소 결핍이 완화되었음
(3) Allopurinol 100mg 1일 1회 투여한다.
→ 요산 수치가 정상화되지 않았음
(4) K-contin 600mg tab을 1일 2회 경구 투여하였음
→칼륨 수치가 증가하였음.
(1) 이뇨제는 혈압을 조절하거나 수분과다를 조절하기 위해 투여한다.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2014, 161)
(2) 처방난 대로 수액을 공급하고 IV속도를 주의해서 모니터한다. (김강미자 외, 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p.47)
(3) Allopurinol은 고요산증 치료제이다. (간호학대사전)
(4) K-contin tab을 이뇨제 투여 후의 저칼륨혈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투여한다. (간호학대사전)
평가- (5.8~)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된 증상이 완화되지 않았음.
(5.11) 혈액 투석 치료를 받았다.
(5.8~) 신부전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을 관리하기 위해 치료를 잘 이행한다.
(5.8~) Na, K, Cl, albumin, BUN, Creatinine 수치가 정상범위에 다소 가까워졌다.
10. 참고문헌
김강미자 외, 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p.120, p255
신경림 외, 2014,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360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161
변영순 외, 2014, 기본간호학(상), 계축문화사, p.267
김근순 외, 2011,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p.378-381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간호학대사전
평가- (5.17) 계획대로 교육을 시행하였으며 질문을 통해 대상자가 교육 내용에 대해 잘 이해함을 확인하였다.
- (5.17) 대상자가 교육 자료에 대하여 만족감을 표현하였고 앞으로 잘 실천해야겠다고 말하며 식이 관리 실천 의지를 드러내었다.
-(5.17~) 대상자가 나트륨 함량이 많은 간식,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등 투석 식이 실천을 위해 노력하였다.
# 간호진단 3 : 신장 기능 저하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5.8~) 임상검사 결과, 혈중 BUN, Cr 수치 상승,
Na, K, Cl, albumin 수치 감소
배설량보다 섭취량이 많음
내용
단위
정상치
5.8
5.10
5.11
5.15
Blood chemistry
Na(mEq/L)
136~145
133▼
134▼
132▼
139
K(mEq/L)
3.5~5.0
3.2▼
3.4▼
3.9▲
4.1
Cl(mEq/L)
98~106
90▼
93▼
93▼
96▼
albumin(g/dL)
3.5~5.5
2.8▼
2.6▼
2.3▼
3.2▼
BUN(mg/dL)
6~20
22.0▲
22.0▲
27▲
37.0▲
Urine analysis
Creatinine
0.6~1.5
4.64▲
4.58▼
6.06▲
6.09▲
목적 - 적절한 전해질 균형을 유지한다.
평가기준
-퇴원 시 까지 Na, K, Cl, albumin, BUN, Creatinine 수치가 각각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퇴원 시 까지 섭취량과 배설량의 차이가 500이하가 된다.
계획
중재
이론적 근거
1.환자에게 전해질 불균형 증상이 있는지 사정하고 중재한다.
1) 환자에게 저나트륩혈증 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오심, 구토, 식욕감퇴, 복부경련, 혼란, 무기력, 혼수상태, 경련, 근육경련 등
식욕감퇴, 무기력한 증상을 보임
☞저나트륨혈증 증상 완화를 위해 N/S 100ml를 1일 2회씩 정맥 투여하였고 후에 다시 사정한 결과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음.(5.8~)
2) 환자에게 저칼륨혈증의 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빈맥, 근육무기력, 기면, 식욕부진, 부정맥, 심장마비 등
식욕부진의 증상을 보임
☞이뇨제 투여 후의 저칼륨 증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K-contin 600mg tab을 1일 2회 경구 투여하였고 다시 사정한 결과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음.(5.8~)
(1) 저나트륨혈증의 초기 증상은 오심, 구토, 식욕감퇴, 복부경련을 포함한다. 후기 징후로는 혼란, 무기력, 혼수상태, 경련, 근육경련과 같은 변화된 신경학적 기능을 포함한다.
(2) 저칼륨혈증은 furosemide와 같은 고리이뇨제의 과도한 복용으로부터 발생하는 빈번한 부작용이다. 추가적으로 격렬한 근육활동과 심한 구토, 설사가 칼륨의 상당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뉴런과 근육섬유는 칼륨손실에 가장 민감하고 근육무기력, 기면, 식욕부진, 부정맥, 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2. 혈액 투석 치료를 시행한다.
1) 혈액투석 치료를 시행하였다.
5.11(14:15)~(16:15)
5.13(08:45)~(11:59)
5.16(13:20)~(17:20)
5.19(13:15)~(17:15)
☞신부전으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혈액투석을 받았음.
3 임상검사의 수치를 확인한다
1) 매일 임상검사의 수치를 측정한다.(5.8~)
5.8
5.10
5.11
5.15
Na
133▼
134▼
132▼
139
K
3.2▼
3.4▼
3.9▲
4.1
Cl
90▼
93▼
93▼
96▼
albumin
2.8▼
2.6▼
2.3▼
3.2▼
BUN
22.0▲
22.0▲
27▲
37.0▲
Cr
4.64▲
4.58▼
6.06▲
6.09▲
→ 수치 측정 결과, 정상 수치에 다소 가까워 진 양상을 보임.
(1) BUN은 신장기능에 문제가 있으면 배설되지 않기 때문에 혈중 BUN수치는 증가한다.
Cr은 근육 내에 존재하는 에너지원으로 신장기능과 근육량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신장 기능을 살피는 데에 중요한 지표이다.
K은 주로 신장에서 배설되며 급성신부전 등과 같이 신장기능이 약해지면 혈중 K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2014, P.360)
4.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1) 이뇨제를 투여한다.
Furosemide Tab 40mg 1일 1회(5.8~)
→배뇨량이 증가하였음.
2) N/S를 정맥 주입한다.
N/S 100ml 1일 2회(5.8~)
→나트륨, 염소 결핍이 완화되었음
(3) Allopurinol 100mg 1일 1회 투여한다.
→ 요산 수치가 정상화되지 않았음
(4) K-contin 600mg tab을 1일 2회 경구 투여하였음
→칼륨 수치가 증가하였음.
(1) 이뇨제는 혈압을 조절하거나 수분과다를 조절하기 위해 투여한다.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2014, 161)
(2) 처방난 대로 수액을 공급하고 IV속도를 주의해서 모니터한다. (김강미자 외, 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p.47)
(3) Allopurinol은 고요산증 치료제이다. (간호학대사전)
(4) K-contin tab을 이뇨제 투여 후의 저칼륨혈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투여한다. (간호학대사전)
평가- (5.8~)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된 증상이 완화되지 않았음.
(5.11) 혈액 투석 치료를 받았다.
(5.8~) 신부전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을 관리하기 위해 치료를 잘 이행한다.
(5.8~) Na, K, Cl, albumin, BUN, Creatinine 수치가 정상범위에 다소 가까워졌다.
10. 참고문헌
김강미자 외, 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p.120, p255
신경림 외, 2014,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360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161
변영순 외, 2014, 기본간호학(상), 계축문화사, p.267
김근순 외, 2011,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p.378-381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간호학대사전
추천자료
신장이식환자의 간호
만성신부전증의 의학적 이해와 의료사회복지실천 및 사례개입
의료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사례 (장기이식 관련)
만성신부전 간호과정사례연구
신장이식(KTP)
AKR(인공신장실) 말기신질환 케이스 문헌고찰 진단검사 약물 간호과정 등 최고자료!!
[사례 연구] 성인간호학- 당뇨환자 case study
[성인간호학][ESRD][만성신부전][말기신장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End-stage rena...
성인간호학 말기신부전증 케이스 스터디 ESRD (End-stage renal disease) case study
말기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말기신부전 케이스 신부전 케이스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말기 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