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소설
개념
특징
분류
ㄱ. 작품분량상
ㄴ. 구조상
ㄷ. 작중인물상
ㄹ. 작가의도상
소설의 특성
허구성
진실성
산문형식
ㄱ. 산문이란
ㄴ. 운문이란
ㄷ. 소설이 산문을 선택한 이유
ㄹ. 근대사회의사회현실과산문의 연관성
Ⅱ. <감자>와 <동백꽃>
등장인물
핵심정리
줄거리
구성
작가소개
Ⅲ. 비 오는 날
등장인물
핵심정리
줄거리
겉 해설, 속 해설
구성
작가소개
개념
특징
분류
ㄱ. 작품분량상
ㄴ. 구조상
ㄷ. 작중인물상
ㄹ. 작가의도상
소설의 특성
허구성
진실성
산문형식
ㄱ. 산문이란
ㄴ. 운문이란
ㄷ. 소설이 산문을 선택한 이유
ㄹ. 근대사회의사회현실과산문의 연관성
Ⅱ. <감자>와 <동백꽃>
등장인물
핵심정리
줄거리
구성
작가소개
Ⅲ. 비 오는 날
등장인물
핵심정리
줄거리
겉 해설, 속 해설
구성
작가소개
본문내용
폐가 속에서 동옥 남매는 서로에게 증오를 키우면서 살
아가는 것이다. 이 위에 40일 간 계속되는 장마는 끊임없이 비를 뿌린다. 소설 구성의 한
요소로 일컬어지는 배경은 이 소설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퇴락해 가는 폐가와
음산하게 계속되는 장마 비, 이것은 6.25 직후의 아무런 희망도 찾아볼 수 없었던 시대 상
황이면서 동시에 절망과 무력감에 젖어 사로잡혀 있던 전후 청년들의 심리 상태 이다 이 소
설에서 주의 깊게 읽어야 할 대목은 외부 세계에 적대감을 가진 채 철저히 불신으로 살아가
던 동옥을 향한 원구의 관심이다. 처음 친구 동욱을 찾아 이 폐가를 방문한 원구에게 보여
지던 동옥의 태도는 적대감과 무관심 바로 그것이었다. 처음 이러한 동옥에게 원구는 불쾌
감을 갖는다. 그러나 동옥의 적대감이 그녀의 신체적 불구에서 사실을 알게 된 원구는 그녀
에게 따뜻한 관심과 시선을 보낸다. 자기의 관심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 동옥의 태도에 흥미
와 기쁨을 느낀다. 상기한 내용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인간과 인간 사이에 아주 작지만 화
해가 싹트기 시작한다는 인간성 회복의 조짐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소중한 믿음
은 이내 산산이 깨어져 버리고 만다. 초상화를 그려 어렵게 모은 돈을 집주인이 사기를 쳐
달아나고 이에 참지 못한 동욱은 불구의 여동생을 버려 둔 채 입대해 버리고 동옥 조차 원
구가 찾아가 보지 못한 사이에 어디론가 떠나 버리고 만 것이다. 작품 끝머리에, 새로 집주
인으로 들어온 사내가 동옥을 사창가에 팔아 넘겼을지도 모른다는 강한 암시가 나오는데 이
로써 인간의 화해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고 만다
구성
1. 배경
-6. 25 전쟁 체험으로 인한 민족의 비극적 현실상
-전후 사회의 혼란된 가치관과 정신적 상처
-서구식 교육을 받은 신진 작가들에 의한 새로운 문학관 형성
2. 특징
1)전후의 다양한 현실 인식 : 전후 사회와 현실에 대한 다양한 인식으로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
예>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 장용학의 <요한시집> 등
2)현실 참여 의식 : 개인과 사회의 갈등 문제를 다루면서 소외된 삶의 문제, 삶의 내부에 자리한 부조리한 현실 인식, 행동을 통한 참여 문제를 다루어 참여 문학의 전통을 수립함.
예> 김성한의 <바비도>, 선우휘의 <불꽃> 등.
3)순수 소설 : 인간의 본질적인 삶의 문제를 서정적 필치로 다룸.
예> 오영수의 <갯마을>, 강신재의 <절벽> 등.
4)서구 실존주의 문학의 영향 : 인간의 본질 문제, 인간 존재의 해명 등을 다룬 작품들이 등장함. 예> 김성한의 <오분간> 등.
손창섭
1922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젊어서 만주·일본 등지를 전전하다가 일본대
학[日本大學]에 들어갔다. 그러나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중퇴한 뒤 초등학교 교
원, 잡지 편집원 등으로 일하였다. 1949년 연합신문에 〈얄궂은 비>를 연재하면서
집필생활을 시작하여 1952~1953년에 순수 문예지 《문예》에 공휴일〉과 〈비오
는 날〉 등의 단편소설이 추천됨으로써 작가로서의 위치를 굳혔다. 이후 〈생활적>
<미해결의 장〉,〈인간 동물원 초(抄)〉,혈서〉 등의 단편을 잇따라 발표하였는데
현실의 밑바닥을 어둡고 침통하게 파헤치는 작품경향으로 크게 주목을 받았다.
1955년 〈혈서〉로 《현대문학》 신인상을 수상하였고, 1959년 〈잉여인간〉으로
제4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61년 자전적 소설인 〈신의 희작(戱作)〉과 육
체추(肉體醜)〉를 발표한 이후로는 거의 작품을 발표하지 않았다. 천성이 비사교적
이고 외곬이어서 문단의 기인(奇人)으로 알려져 있다.
소설적 주제는 왜곡된 인간상의 창조라고 할 수 있다. 소설 속의 인물들은 대부분
비정상적인 성격의 소유자이거나 신체장애자로 등장한다. 이러한 인간의 불구성은
인간 자체의 결함이 아니라 전후 현실의 상황에서 비롯된 것인데, 사실적인 필치
로 이러한 기형적 인간형을 그려내 1950년대의 불안한 사회상황을 잘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작품으로는 단편으로 〈사연기(死緣記)〉(1953), 〈비오는 날>
(1953), 〈생활적〉(1953), 〈유실몽(流失夢)(1956), 〈치몽(稚夢)〉(1957), <잉여인
간〉(1958), <고독한 영웅〉(1958), 〈흑야(黑夜)〉(1970) 등이 있으며, 장편으로
낙서족(落書族)〉(1959), 〈부부〉(1962), 〈인간교실〉(1963), 〈길〉(1969), 〈삼
부녀(三父女)〉(1970) 등이 있다.
1950년대 소설 특징
비극을 겪은 1950년대에는, 전쟁의 고통과 전쟁 후의 사회적 혼란을 다룬 작품들이 많이 등장했다. 작가들은 동족 대립의 근본적 원인을 이데올로기적 갈등으로 봤기 때문에, 그들은 이데올로기를 배척하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휴머니즘을 끌어들였다. 그 결과, 이 시기의 소설은 이데올로기를 고발하고 인간성을 옹호하며 휴머니즘을 고양시키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1950년대의 사회·문화적 배경
전쟁 후의 불안한 정치적·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허무주의와 실존주의적 경향이 대두되었다. 6·25를 계기로 미국과 가까워지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
<참고>
조태일외4. 문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999
가오바타 야스나리. 소설의 구성. 건국대학교출판부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103&docid=1614750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103&docid=1179133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103&docid=1539888&ts=1111910806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103&docid=181828&ts=1054547449
http://www.edunet4u.net/ksearch/ksearch.do
http://www.edunet4u.net/ksearch/ksearch.do
아가는 것이다. 이 위에 40일 간 계속되는 장마는 끊임없이 비를 뿌린다. 소설 구성의 한
요소로 일컬어지는 배경은 이 소설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퇴락해 가는 폐가와
음산하게 계속되는 장마 비, 이것은 6.25 직후의 아무런 희망도 찾아볼 수 없었던 시대 상
황이면서 동시에 절망과 무력감에 젖어 사로잡혀 있던 전후 청년들의 심리 상태 이다 이 소
설에서 주의 깊게 읽어야 할 대목은 외부 세계에 적대감을 가진 채 철저히 불신으로 살아가
던 동옥을 향한 원구의 관심이다. 처음 친구 동욱을 찾아 이 폐가를 방문한 원구에게 보여
지던 동옥의 태도는 적대감과 무관심 바로 그것이었다. 처음 이러한 동옥에게 원구는 불쾌
감을 갖는다. 그러나 동옥의 적대감이 그녀의 신체적 불구에서 사실을 알게 된 원구는 그녀
에게 따뜻한 관심과 시선을 보낸다. 자기의 관심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 동옥의 태도에 흥미
와 기쁨을 느낀다. 상기한 내용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인간과 인간 사이에 아주 작지만 화
해가 싹트기 시작한다는 인간성 회복의 조짐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소중한 믿음
은 이내 산산이 깨어져 버리고 만다. 초상화를 그려 어렵게 모은 돈을 집주인이 사기를 쳐
달아나고 이에 참지 못한 동욱은 불구의 여동생을 버려 둔 채 입대해 버리고 동옥 조차 원
구가 찾아가 보지 못한 사이에 어디론가 떠나 버리고 만 것이다. 작품 끝머리에, 새로 집주
인으로 들어온 사내가 동옥을 사창가에 팔아 넘겼을지도 모른다는 강한 암시가 나오는데 이
로써 인간의 화해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고 만다
구성
1. 배경
-6. 25 전쟁 체험으로 인한 민족의 비극적 현실상
-전후 사회의 혼란된 가치관과 정신적 상처
-서구식 교육을 받은 신진 작가들에 의한 새로운 문학관 형성
2. 특징
1)전후의 다양한 현실 인식 : 전후 사회와 현실에 대한 다양한 인식으로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
예>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 장용학의 <요한시집> 등
2)현실 참여 의식 : 개인과 사회의 갈등 문제를 다루면서 소외된 삶의 문제, 삶의 내부에 자리한 부조리한 현실 인식, 행동을 통한 참여 문제를 다루어 참여 문학의 전통을 수립함.
예> 김성한의 <바비도>, 선우휘의 <불꽃> 등.
3)순수 소설 : 인간의 본질적인 삶의 문제를 서정적 필치로 다룸.
예> 오영수의 <갯마을>, 강신재의 <절벽> 등.
4)서구 실존주의 문학의 영향 : 인간의 본질 문제, 인간 존재의 해명 등을 다룬 작품들이 등장함. 예> 김성한의 <오분간> 등.
손창섭
1922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젊어서 만주·일본 등지를 전전하다가 일본대
학[日本大學]에 들어갔다. 그러나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중퇴한 뒤 초등학교 교
원, 잡지 편집원 등으로 일하였다. 1949년 연합신문에 〈얄궂은 비>를 연재하면서
집필생활을 시작하여 1952~1953년에 순수 문예지 《문예》에 공휴일〉과 〈비오
는 날〉 등의 단편소설이 추천됨으로써 작가로서의 위치를 굳혔다. 이후 〈생활적>
<미해결의 장〉,〈인간 동물원 초(抄)〉,혈서〉 등의 단편을 잇따라 발표하였는데
현실의 밑바닥을 어둡고 침통하게 파헤치는 작품경향으로 크게 주목을 받았다.
1955년 〈혈서〉로 《현대문학》 신인상을 수상하였고, 1959년 〈잉여인간〉으로
제4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61년 자전적 소설인 〈신의 희작(戱作)〉과 육
체추(肉體醜)〉를 발표한 이후로는 거의 작품을 발표하지 않았다. 천성이 비사교적
이고 외곬이어서 문단의 기인(奇人)으로 알려져 있다.
소설적 주제는 왜곡된 인간상의 창조라고 할 수 있다. 소설 속의 인물들은 대부분
비정상적인 성격의 소유자이거나 신체장애자로 등장한다. 이러한 인간의 불구성은
인간 자체의 결함이 아니라 전후 현실의 상황에서 비롯된 것인데, 사실적인 필치
로 이러한 기형적 인간형을 그려내 1950년대의 불안한 사회상황을 잘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작품으로는 단편으로 〈사연기(死緣記)〉(1953), 〈비오는 날>
(1953), 〈생활적〉(1953), 〈유실몽(流失夢)(1956), 〈치몽(稚夢)〉(1957), <잉여인
간〉(1958), <고독한 영웅〉(1958), 〈흑야(黑夜)〉(1970) 등이 있으며, 장편으로
낙서족(落書族)〉(1959), 〈부부〉(1962), 〈인간교실〉(1963), 〈길〉(1969), 〈삼
부녀(三父女)〉(1970) 등이 있다.
1950년대 소설 특징
비극을 겪은 1950년대에는, 전쟁의 고통과 전쟁 후의 사회적 혼란을 다룬 작품들이 많이 등장했다. 작가들은 동족 대립의 근본적 원인을 이데올로기적 갈등으로 봤기 때문에, 그들은 이데올로기를 배척하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휴머니즘을 끌어들였다. 그 결과, 이 시기의 소설은 이데올로기를 고발하고 인간성을 옹호하며 휴머니즘을 고양시키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1950년대의 사회·문화적 배경
전쟁 후의 불안한 정치적·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허무주의와 실존주의적 경향이 대두되었다. 6·25를 계기로 미국과 가까워지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
<참고>
조태일외4. 문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999
가오바타 야스나리. 소설의 구성. 건국대학교출판부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103&docid=1614750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103&docid=1179133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103&docid=1539888&ts=1111910806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103&docid=181828&ts=1054547449
http://www.edunet4u.net/ksearch/ksearch.do
http://www.edunet4u.net/ksearch/ksearch.d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