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amazon 기업발전과정과 SWOT분석및 아마존 기업 경영 마케팅전략 사례연구및 아마존 향후전략제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마존 amazon 기업발전과정과 SWOT분석및 아마존 기업 경영 마케팅전략 사례연구및 아마존 향후전략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마존 Amazon 기업소개

2. 아마존 기업발전과정과 현재

3. CEO 제프베조스 인물소개

4. 아마존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아마존 기업전략
(1) 고객만족경영
(2) 서비스전략
(3) 물류 유통전략
(4) 인수합병 M&A전략
(5) 기술혁신과 차별화전략
(6) CRM (고객관계관리) 전략
(7) 자체 브랜드 마케팅
(8) 마케팅믹스 4P전략
- Product
- Price
- Place
- Promotion

6. 향후전략제시 (인공지능 AI기업으로의 변모)

본문내용

책 본문검색 서비스 제공 등 지금은 일반화됐지만 당시로선 획기적이었던 아이디어와 정교한 경영전략도 성공의 밑거름이 됐다. 베조스의 도전은 현재진행형이다. 2007년 11월 전자책‘킨들’을 출시하며 두 번째 승부수를 던졌다. 킨들은 휴대폰 전화망에 접속해 언제 어디서나 책을 내려 받을 수 있는 접근성과 풍부한 콘텐츠를 무기로10년 전부터 전자책을 만들어온 SONY를 제치고 세계 시장을 석권했다.
(6) CRM (고객관계관리) 전략
“시의 적절한 개별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아마존은 고객맞춤 전자우편 서비스인 ‘Amazon. com Delivers’로부터 아마존의 고객이 미리 지정한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보내준다. 또한, 예전에 고객이 구매한 서적의 세부 분야 등을 검토하여 고객의 독서 취향 및 관심 분야도 함께 맞추어진 정보를 제공한다. 물론 아마존으로부터 보내오는 전자우편 내용 속에는 책제목 뿐만 아니라 책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마우스를 클릭하면 해당되는 책의 서평에 대해서 접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한번에 주문이 가능한(1-Click) 윈스톱 서비스를 통해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정기적으로 받아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고객은 자신이 원하는 전문분야의 최신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었고, 해당 분야로 들어가 그 책과 관련돼 있는 서적과 다른 저자에 대한 정보도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게 된다.
(7) 자체 브랜드 마케팅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아마존은 기저귀, 식품, 아기용품, 청소용품 등 다양한 제품들을 현재 자체적으로 생산 중 이러한 제품들은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 멤버 회원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판매하고 있으며, 해당 제품 종류를 지속 확대할 것이라 예측된다
아마존은 자사 브랜드 의류를 선보였다. 당시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제품군을 더 늘려가고 있다. 아마마존 스스로 제품을 생산. 관리하고 포장작업까지 하기 때문에 자사 브랜드 판매 확대로 적잖은 비용 절감도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8) 마케팅믹스 4P전략
- Product
250만권의 책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비디오 테이프, CD, 유아용품, 오디오북,e-북, DVD, 건강용품, 미용용품, 여행상품, 가정소품, 컴퓨터, 소프트웨어등
- Price
신간을 포함 모든 책에 15-40% 할인정책
- Place
온라인 자사의 사이트 이용
여러 협력사이트로부터 간접 고객 유치
- Promotion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상에서 더욱 많은 광고
6. 향후전략제시 (인공지능 AI기업으로의 변모)
조직의 새로운 전략은 필연적으로 기업 구조의 변화를 수반한다. 하지만 관성 때문에 변화를 거부하는 일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유통업에서 AI기업으로 변화를 추구하는 아마존의 ‘아마존고’를 통해 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기존 세력이 헤게모니를 잃을 것이라는 위협 때문에 변화가 어렵다. 아마존은 유통업을 주로 하는 기업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유통업을 하던 사람들 입장에서 AI 기업으로 변화가 달가울리가 없다. 자칫잘못하다가 AI가 본인들의 일자리를 다 빼앗아가는 상황까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반발에 대응하기 위해서 아마존은 AI가 인간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야 한다.지난 주 학교에서 IBM Korea의 상무님의 강연을 들었다. IBM에서는 AI를 artificial intelligence가 아닌 augmented intelligence라고 해석하여 AI가 인간을 대체 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영역을 확장시켜 준다고 보고 있다. 이렇게 AI를 보는 관점을 달리 하여 아마존도 기존 직원들의 재교육 등을 해야한다. 이를 통해 AI가 인간의 영역이 확장시켜 주는 유용한 도구라는 것을 설득시켜야 할 것이다.
두 번째, 행정적 유산 때문에 변화가 어렵다. 아마존은 유통업을 하는 기업이었으므로 AI는 다소 생소하다. AI관련 부서는 어떻게 세워야 하며 인력은 어디서 충원해 와야 하는지 고민이 많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유통 관련 시설들은 어떻게 처분해야 하는지 행정적인 문제들이 많다.
이는 아마존이 어느정도 현재 잘 풀었다고 본다. 아마존은 유통업을 했기 때문에 기존 고객들의 빅데이터가 잘 구축되어있다. 따라서 IT서비스산업으로 전환하는데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만 들여도 사업 변화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사회 문화적인 관성이 남아있어서 변화가 어렵다. 아마존고는 QR코드만 찍고 매장에 입장하여 담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결제가 되는 시스템이다. 이는 신기하기는 하지만 기존 소비자들 입장에서 이러한 방식에 얼마나 빨리 익숙해질지 미지수이다. 쇼핑은 한두번 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마존고’가 신기한 방식의 상점에서 벗어나 사람들에게 일상적인 방식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프로모션을 많이 진행하여 소비자들에게 아마존고를 익숙하게 만들면 된다. <아마존고로 쇼핑하기>와 같은 행사를 자주 진행하여 새로운 쇼핑 방식을 소비자들에게 각인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삼성은 새로운 갤럭시 제품이 출시 될 때 마다 대리점, 서비스센터는 물론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도 자유롭게 이를 써볼 수 있게끔 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이는 소비자들이 새로운 제품에 대해 좀 더 익숙해도록 유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은 조직입장에서 어려운 일이다. 현실적으로는 기존 조직 내에서 새로운 전략을 수행하곤 한다 이를 위해, 서는 strategy process가 중요한데 이는 활발한 소통이 전제 되어야 한다. ‘기존’ 조직에다 ‘새로운’ 전략을 실행하다 보면 분명 현실과 맞지 않은 부분들이 발견될 것이다. 이를 발견해 내어 보완점을 찾아 내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활발한 소통으로 가능하다. 최고경영자가 상의하달식으로 본인의 생각만을 강조해서는 안된다. 전략 과정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오히려 실무에 익숙한 하위 직급의 사람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의상달식 소통 문화를 발달시켜 전략 과정에서 생기는 오류를 하위 직급일지라도 눈치 보지 않고 제대로 지적해내는 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 가격4,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4.04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