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토끼는 긴 귀를 가졌다는 변별 특징을 발견하게 되면서부터 두 동물을 구별하게 된다. Gibson은 지각학습의 동기는 선천적인 것으로, 출생하면서부터 인간은 능동적으로 정보를 추구해서 자연환경 내의 질서와 변별 특징을 찾는다고 보았다. Gibson과 그의 동료들은 4~8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문자모양의 형태를 변별하는 지각발달과정을 연구하였다. 아동들에게 표준 자극과 똑같은 자극을 여러 자극들 중에서 찾아내도록 하는 것이었다.
4-5세 유아들은 이 과제수행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6-8세 아동들은 표준 자극과 다른 자극을 구별할 수 있는 변별 특징을 찾아낼 수 있었다. Gibson은 어린 아동들도 끊임없이 환경으로부터 새롭고 정교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물과 사건들을 구별하는 변별 특징을 발견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분화라고 하였다. 나이가 들어 이러한 분화과정이 계속되면서 아동은 지각발달이 이루어지고 점차 감각기관으로부터 오는 정보를 정확하게 해석해 간다.
<그림> 미완성 그림 맞추기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4-5세 유아들은 이 과제수행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6-8세 아동들은 표준 자극과 다른 자극을 구별할 수 있는 변별 특징을 찾아낼 수 있었다. Gibson은 어린 아동들도 끊임없이 환경으로부터 새롭고 정교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물과 사건들을 구별하는 변별 특징을 발견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분화라고 하였다. 나이가 들어 이러한 분화과정이 계속되면서 아동은 지각발달이 이루어지고 점차 감각기관으로부터 오는 정보를 정확하게 해석해 간다.
<그림> 미완성 그림 맞추기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